|
아스콘의 개요
아스콘 이란 ? :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를 줄인 명칭이며, 아스팔트, 아스팔트 혼합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가열혼 합· 가열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KS F2349규격), HMA(hot mix asphalt) 등 으로 분류되고 있다.
일반적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은 아스팔트(asphalt)와 굵은골재 (자갈:Aggregate),잔골재(모래:Sand)또는 포장용 채움재 (필러, 석분:mineral filler)를 가열 또는 상온으로 혼합한 것으로 도로포장이나 주차장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목적이나 용도, 기능, 공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프라임코트
2. 택코트
|
일반적인 구조는 아스팔트 표층과 기층(基層), 그 밑에 있는 상층노반 및 하층노반으로 이루어져 있고, 표층과 기층은 쇄석 ·모래 ·석분(石粉)과 아스팔트를 가열 ·혼합하여 이것 을 고르게 갈아 롤러로 단단히 다진 것이다. 대체로 표층은 조성배합을 치밀하게 하고 기층은 어느 정도 성기게 한다.
외관이 곱고 티끌이나 먼지가 나지 않으며, 교층에 의한 소음이 적고, 노면이 평활하여 저항이 작다. 또 방수성이 크고 청소가 쉽고 무거운 차량에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콘크리트 포장은 표층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중간층, 보조기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는 직접 교통에 공용되어 그 하중을 지지하는 가장 중요한 층으로, 온도 변화 및 함수량 변화 등에 의한 응력(應力)을 줄이기 위해 줄눈(joint)을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등 단면을 두껍게 한다.
보조기층은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며 슬래브로부터 전달되는 교통하중을 분산하여 노상에 전달하는 층으로, 내구성이 좋고 충분한 지지력을 가진 재료가 사용된다. 이밖에 보조기층의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조기층 최상부에 아스팔트 중간층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두께는 4cm를 표준으로 한다.
수명은 30~40년으로 아스팔트 포장(수명 10~20년)에 비해 내구성이 좋고,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관리가 쉬운 것이 장점이다. 반면에 초기 공사비가 비싸고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우며 양생(養生) 기간이 긴 것이 단점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포장 외에 철근 콘크리트 포장, 연속 철근 콘크리트포장,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포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 등이 있다.
|
아스콘 포장의 종류
1. 공법에 의한 구분 |
2. 기능에 의한 구분 |
3. 장소에 의한 구분 |
1) 일반 아스콘 포장 |
1) 일반 포장 (보도, 자전차도로 등) |
1) 차도 포장 |
층구조를 크게 나누면 표층(表層)과 노반(路盤)으로 이루어진다. 표층은 하중을 받아 평활한 면을 유지하고, 마모에 강해야 한다.
또 미끄럼에 대해서도 마찰력이 커야 하고, 그 밖에 방수성이 있어 동결 ·융해의 파괴작용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노반은 표층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전하게 노반 밑에 노상(路床)으로 전달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
포장은 표층부의 재질에 따라 역청계(瀝靑系) 포장 ·콘크리트계 포장 및 블록 포장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
① 역청계 포장 : 표층부가 아스팔트 또는 타르에 의해 고결된 쇄석 등의 골재(骨材)로 되어 있는 것으로, 아스팔트 포장 ·타르 포장 등과 같이 부르고 있다. 아스팔트 포장은 현재 세계 각국의 도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 종류도 대단히 많다.
② 콘크리트계 포장 : 표층부에 콘크리트를 포설한 것인데, 콘크리트뿐이거나 콘크리트에 철망을 삽입한 보통의 콘크리트 포장 외에, 철근 콘크리트 포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등이 있다.
③ 블록포장 : 돌 ·벽돌 ·시멘트 ·나무 ·아스팔트 등의 각종 블록을 표층부에 깔아서 된 것으로, 현재 차도에는 별 로 쓰이지 않고, 보도나 광장 등에 쓰이고 있을 뿐이다.
포장이라고 하면 도로의 차도부의 것이 주체이며, 가장 중요한 것이다. 아스팔트 포장은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서 건설비가 약간 싸기는 하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면 유지비 등이 있어 콘크리트 포장이 유리할 때가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은 건설속도가 빠르고 평탄성이 좋으므로 국내 간선도로의 포장은 거의 아스팔트 포장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 포장에도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고, 특히 한국의 경우는 토질이 좋고, 시멘트의 생산량이 많으므로, 설계법이나 시공법에 개량만 가한다면 앞으로 크게 발전 할 수 있는 소지가 많다. 그리고 지방도로 등 차량통행이 많지 않은 도로의 포장에는 좋은 토질을 활용한 흙시멘트(soil cement) 포장도 이용될 전망이 많다.
도로포장의 두께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표층부의 두께와 그 아래의 노반의 두께를 합한 두께인데, 주로 교통량과 노상의 지지력(支持力)에 의해 결정한다. 한국의 경우는 그 두께가 60∼75 cm로 설계 시공된다. 포장표면은 도로면에 내린 빗물의 배수를 위해 도로횡단으로 약간의 구배를 주게 되는데,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는 1.5 % 정도, 블록 포장의 경우는 2 % 정도이다.
|
아스콘 포장의 구성
표 층 |
중 간 층 |
기 층 |
보 조 기 층 |
동상방지층 |
차 단 층 |
노 상 |
(Surface Course) |
(Binder Course) |
(Base Course) |
(Subbase Course) |
(Antifrost Layer) |
(filter Layer) |
(Subgrade) |
표층 아래의 노반(路盤)의 두께가 얇아서 많은 교통하중에 견딜 만큼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후 1년이 지나면 유지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보통 재래의 자갈길을 개량하여 노반으로 만들고, 그 위에 표층을 입힌다.
재료로는 쇄석(碎石) ·자갈 ·모래 또는 시멘트나 아스팔트로 안정처리한 흙이 사용된다. 철도에서는 침목(枕木)을 지지하는 쇄석층 밑에 있는 지반(地盤)의 표층부분을 가리킨다.
|
아스콘포장의 장단점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차이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