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79차 가야산칠불봉(伽倻山七佛峯)-1433m
◈산행일:2007년 03월25일 ◈날씨:오전-맑음/오후-맑음
◈위치: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가야산국립공원주차장
◈참가인원:20명 ◈산행소요시간:5시간40분(09:20~15:00)
◈교통(동원고속관광제웅식기사):마산(07:08)-칠원요금소(07:24)-칠서휴게소(07:32-55)-현풍요금소(08:20)-26번도로(08:35)-33번도로(08:45)-59번도로(08:58)-백운동관광타운 하차(09:16)
◈산행구간:백운동→마애불→동성재→재골산(동성봉)→칠불봉→우두봉→마애불갈림길→해인사→주차장
◈산행안내 : 전체(김기수) 선두(전임수), 중간(김기수), 후미(정명수)
◈특기사항 : 경북 고령군 고령읍 쾌빈1리 소재 그린목욕탕(☏054-956-7007)에서 목욕
![](https://t1.daumcdn.net/cafeattach/175P6/0a4867d33693a113dd29f1c7f0b9cf684420ec65)
◈산행메모: 현풍요금소를 나와서 5번도로를 따라 가다가 26번과 59번도로로 따르니 백운동국민관광단지에 도착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3/30_cafe_2007_03_29_16_22_460b691b57ea5)
탐방지원센터에서 9시20분을 가리키며 산행이 시작된다. 돌을 깔아 잘 정비된 등산로가 오름으로 밋밋하게 이어진다. 어제 내린 비의 영향으로 숲에서 나오는 나무향이 상큼하다. 제1백운교를 지나고 제2백운교를 건너 진행하니 갈림길을 만난다(09:4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26/16_cafe_2007_03_29_16_23_460b69540a090)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짧은 之자를 그리며 발자국이 덜 묻은 길을 가파르게 올라간다. 10분 후 이정표를 만난다. 왼쪽으로 일요암터0.2, 오른쪽으로 마애불0.2km다. 오른쪽으로 밋밋하게 진행하니 바위들을 만나고 암자가 있었던 장소로 보이는 공터도 만난다. 이어서 가야산성도 만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9/22_cafe_2007_03_29_16_23_460b69875d766)
직벽바위 아래 약수터도 만나 목을 적신다. 앞에는 도깨비 뿔처럼 솟은 암봉이 막는다. 봉사이로 올라 왼쪽으로 휘어져 돌밭길이 가파르게 치솟는다. 돌길이 끝나며 성주 백운리 마애불상을 만나 숨을 고른다(10:07).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5/39_cafe_2007_03_29_16_24_460b69ae79570)
옆에는 안내판도 있다. 오른쪽으로 능선에 올라 왼쪽으로 올라간다. 시원한 바람이 일어난다. 소나무 낙엽을 밟으며 오르니 해발900m 하늘바위 이정표다. 왼쪽에는 손만 대어도 구를듯한 큰 바위다. 안내판도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7/28_cafe_2007_03_29_16_25_460b69d4aa7a3)
<이 바위를 하늘바위(일명 건들바위)라고 한다. 아파트2층높이도 더 될 것 같은 바위위에 또 그만한 바위 하나가 모로 세워져 미끄러질 듯 위태로우면서도 균형을 잡고 하늘을 떠받치듯 우람하여 태고적 신비를 느끼게 한다. 동서로 이어지던 가야산의 주능선이 이 능선 위쪽 해발1227m 재골산(才骨山)에서 남으로 방향을 틀어 아래로 뻗어 동맥(東脈)을 이루고 하늘바위는 동맥의 중간쯤에 자리를 잡고 있다.하늘바위 바로 아래쪽으로 보이는 기암의 봉우리는 천상의 옥황상제가 내려와 산신과 함께 노닐던 백운대(白雲臺)로 속세의 먼지 한 점 때 묻음 없이 수 백리 광활한 시계를 펼쳐주는 성령(聖嶺)으로 불러지고 있다.주변에는 원형에 가까운 가야산성터와 신라 下代의 마애여래입상, 고려말기의 일요암지(日曜庵址), 육대신장(六大神將) 문화유적지가 자리잡고 있다.>
백운동에서 재골산까지 2.7km란다. 진행방향으로 용기사지1.1km다. 산죽도 만나며 봉에 올라 무너진 성을 넘고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니 묘2기가 있는 동성재다(10:21).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26/33_cafe_2007_03_29_16_26_460b6a0a5a0cc)
잠깐씩 앉기도 하며 가파르게 올라 재골산(동성봉) 정상에 오르니 바위들만 엉겨있는 봉이다(10:5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3/12_cafe_2007_03_29_16_26_460b6a343b0ff)
표석이 없어 서운하다. 왼쪽으로 꺾어 칠불봉을 향한다. 돌길과 암릉을 오르내리지만 사이사이 비단길도 만난다. 산죽사이로 난 길에 앉아 식사를 한다(11:26-36).
까마귀 한마리가 까악 소리를 내며 머리 위를 지나가더니 또 한 마리가 소리를 내며 원을 그리다가 자취를 감춘다. 같이 가던 일행들이 막아서는 봉 위로 보인다. 끙끙거리며 올라갔는데 앞을 보아도 옆으로 가서 보아도 절벽이다. 이 사람들이 어디로 갔지? 신호를 보내도 반응이 없어 되돌아 내려간다. 내려가기가 더 어렵다. 갈림길에서 암봉을 왼쪽에 끼고 진행하니 또 암봉이 막아선다. 발자국이 있어 왼쪽으로 따라 갔더니 또 실패한다. 왼쪽에 암봉을 끼고 사면돌길로 오르내리니 녹다가 멈춘 눈과 얼음도 만난다. 사람소리가 가까이서 들리며 철계단을 만난다(12:40).
바위위에 사람들이 개미처럼 모여 있다. 여유있는 마음으로 다시 보니 우두봉이다. 계단 따라 왼쪽으로 올라가니 칠불봉이정표다. 오른쪽으로 백운동주차장4.4, 뒤로 상왕봉0.2km다. 정상표지석에는 칠불봉1433m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8/12_cafe_2007_03_29_16_27_460b6a52ea3b9)
높이로 보면 가야산의 주봉은 우두봉이 아닌 칠불봉이다. 백운동주차장에서 재골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재골산에서 여기로 이어지는 암릉구간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5/42_cafe_2007_03_29_16_27_460b6a7bcfe46)
-백운동에서 재골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서성재와 가야산공룡능선도 눈 아래로 펼쳐진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9/42_cafe_2007_03_29_16_37_460b6caf8c392)
-가야산 공룡능선-
되돌아 내려가서 상왕봉으로 향한다. 바위 아래에서 철계단 따라 오르니 해발1430m 우두봉표지석이다(13:00-0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2/22_cafe_2007_03_29_16_38_460b6cdbc9f9a)
계곡 아래로 해인사도 보인다. 연무가 약간 끼기는 했지만 사방으로 조망이 좋다. 정기산행에서 가야산을 찾은 것은 오늘이 5번째다. 230차(00.05.21)엔 북쪽에 있는 사봉정에서 올라왔고, 상개금과 백운동에서 2번씩 올라왔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8/29_cafe_2007_03_29_16_38_460b6d0cca4fd)
-가야산 북쪽 조망-
되돌아 내려가서 갈림길에서 해인사방향으로 직진한다. 길바닥을 돌과 시멘트로 정비했다. 어린아이들과 올라오는 가족팀이 의외로 많다. 차림새도 운동화가 대부분이다. 철계단을 내려서니 석조마애불 갈림길이다(13:2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26/30_cafe_2007_03_29_16_39_460b6d2f2cafe)
통나무계단을 지나니 좌우로 산죽이 깔린 비단길도 잠시 만난다. 울창한 잡목 아래로 깔린 산죽이 원시림그대로다. 또 갈림길을 만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7/10_cafe_2007_03_29_16_39_460b6d48b5e2d)
때 묻지 않은 솔숲, 산죽사이로 내려가서 개울을 건너니 임도다(14:10).
따라 내려가니 기다란 기와건물에 海印律院 현판이 걸렸다. 농구장, 축구장도 있다. 스님들의 체력단련장인 듯. 왼쪽으로 들어가니 해인사본당이다(14:2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9/24_cafe_2007_03_29_16_40_460b6d60422df)
물을 마시고 일주문을 지나 옛 해인초등학교자리에 새로 세워진 海印寺聖寶博物館을 지나 주차장에서 산행을 마감한다(14:51).
고령읍에 들어서며 대가야고분군과 대가야박물관 관람의 여유도 가졌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23/28_cafe_2007_03_29_16_40_460b6d82dc46c)
- 대가야 고분군-
☆승차이동(15:25)-해인사요금소(15:45)-고령요금소(15:54)-대가야박물관(16:20-32)-목욕(16:35-17:50)-5번도로(18:03)-현풍요금소(18:17)-영산휴게소(18:37-50)-칠원요금소(19:02)-마산도착(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