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로 가기 어려운 장소나, 배를 타고 가기엔 너무 먼 곳을 가야 할 때 비행기를 타게 되죠. 높은 곳에 점점 올라갈 때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 혹은 통증이 생기는 경우를 한번쯤은 느껴보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비행기 귀통증은 왜 생기는 것이며, 해결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원인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비행기가 올라가고 내려올 때 나타나는 바깥의 기압 변화로 인한 것인데요. 여기서 귀 내부와 외부에는 균형이 맞지 않는 압력차가 나타나게 됩니다. 귀가 이를 적응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자가적으로 나아지기 전에는 먹먹한 느낌,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세히 말씀드리게 되면 귓속 기관에는 중이, 이관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들과 연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비행기 귀통증은 대체로 해당 기관에 자극을 주게 되어 나타나는 것인데요. 늘 공기로 가득 차 있는 중이는 비행기가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외부 기압이 바뀌게 될 경우 내부에 있는 공기도 팽창 또는 수축이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활을 할 때에는 압력차가 상당히 적거나 굉장히 천천히 바뀌게 되어서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별다른 느낌을 받지 못합니다. 하지만 비행기와 같이 고도 변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면 중이가 적응할 시간이 확보되지 않고 갑작스러운 기압 차이가 발생해 통증을 겪게 되는 것이죠. 이관이라는 기관도 함께 영향을 받게 되는데요. 귀부터 코 안까지 이어진 기관으로 여기로 이동하는 공기가 고막 내부의 환기, 압력 조절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비행기를 탑승하게 되면 이관도 갑작스럽게 바뀌는 압력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귀와 코, 눈 주변까지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이염, 이관 기능이 떨어지신 분일 경우 통증의 정도가 심할 수 있고,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난청이 생기게 되어 소리가 제대로 들리지 않기도 하고 고막이 건강하지 않을 경우 피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행기 귀통증이 나타났을 때 괜찮아지게 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즉시 실행할 수 있는 것들 가운데 가장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것을 말씀드리자면, 침을 모아 삼키는 것인데요. 같은 내용으로 물을 받아 마시는 것도 증상을 개선하는데 좋은 방법이 됩니다. 이와 같이 액체를 삼키게 되면 귀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면서 서서히 이관이 열리게 되고 안쪽과 바깥쪽의 기압 차이가 정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침을 삼키게 될 경우 올라갈 때와 내려갈 때 삼키는 방법을 다르게 해주어야 하는데요. 내려갈때는 안쪽에 공기를 주입해줘야 되기 때문에 잠시 숨을 멈추고 삼키게 되면 공기가 주입되서 기압차가 정상적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 외에도 코를 손으로 막은 상태로 하품하는 방법, 껌을 씹는 방법 등 여러가지 비행기 귀통증을 개선하는 방법들을 볼 수 있지만, 일상 생활에서도 이관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을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관의 기능이 원활하다면 통증이 발생하더라도 더욱 빠르게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케어해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