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절기(節氣)의 둘째.
입춘 후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이 된다.
태양이 황경 330°에 올 때,
우수입기일(雨水入氣日)이 되는데,음력 정월의 중기이다.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다.
옛사람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간의 기간을
3후(三候)로 5일씩 세분하여
①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②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③ 초목에는 싹이 튼다고 하였다.
수달은 강이 풀리면서 물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하고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초목에 싹이 튼다.
흔히 양력 3월에 꽃샘 추위가 기승을 부리지만,
이맘때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새싹이 난다.
예로부터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고 하였다.
♤ 기후
날씨가 거의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새싹이 날 때이다.
수달이 물고기로 제를 지내고,
기러기들이 오며, 초목에 싹이 튼다.
☞ 풍속
옛날부터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말이 있다.
☞
정인지, 《고려사》 권 제20, 조선초
우수의 별자리
≪기후≫ 『高麗史』卷50,志4,曆 宣明曆 上,
初候 = 에 수달이 물고기로 제를 지낸다 (獺祭魚)(獺= 수달달)
次候 = 에 기러기 들어 온다 (鴻雁來)
末候 = 에 초목들에 새싹이 튼다 (草木萌動)(萌= 싹맹)
≪절입시각≫ 양력 2월 19일 오전9시 25분,
일출(日出) = 오전 7시 18분 (주(晝) = 10시간 57분)
일입(日入) = 오후 6시 15분 (야(夜) = 13시간 3분)
(낮이 동지로부터 그동안 “25분”이 길어 젔다)
≪속담의 이야기≫
1), “우수,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우수는 2월 19일이고 경칩은 3월 6일이다
이때가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려 진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북쪽인 평양 대동강에는 봄이늦게 온다지만 입춘이 지나서 보름이면 우수이 고 한달이 지나면 경칩인데 대동강에도 어름이 녹고 날이 풀린다는 말이다,
유래로는 우리가사(歌辭) 수심가(愁心歌)에 “우수경칩에 대동강이 풀리더니 정든님 말씀에 요내 마음 풀리누나,차마 진정 임의생각에 그리워 나못살겠구나”하는 대목이 있는데 여기서 유래하지 않았나 생각 한다,
2), “우수 지난뒤의 어름같이”
우수가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진다 하여 얼음이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이르 는 속담 이다
◎ = 우수는 명절이나 속절이 아니어서 그런지 문헌에도 기록이 별로 없다,(연천향교 도평)
대금연주-초소의 봄
첫댓글 봄내음이나네요..머물러..행복했어요..
.
봄의 설레임인가~~~^^ 허한 이느낌.....뭘까????
봄처녀 바람나는 계절이 다가오고 있네요~~^^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