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blog.naver.com/akrhkdgns/223579565626
성격 강점 및 지적 발달 장애 : 긍정심리학의 강점 기반 접근.(논문 리뷰)(Character Strengths and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A Strengths-Based Approach from Positive Psychology.)
Ryan M. Niemiec VIA Institute on Character, Karrie A. Shogren and Michael L. Wehmeyer University of Kansas(2017)
초록
특수교육 분야에서 성격의 강점을 증진시키기 위해 평가하고 중재하는 데에 제한된 초점이 있었다. 그러나 성격 강점은 긍정 심리학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 연구는 성장하는 성격강점에 대한 학문적 개요를 제공하고 지적 및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성격이 왜 그리고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강점 기반 관점을 탐구하였다. 우리는 핵심 개념, 연구 결과 및 성격학문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성격학문의 중재는 지적 발달 장애인이 경험하는 삶에 대한 지원과 질의 체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성격 강점의 연구를 시작하는 지적발달장애 분야에 발달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
핵심어: 발달 장애 / 정신 장애 / 삶의 질 / 장애인 / 긍정심리학 / 성격
출처: DALLE 누구에게나 강점이 있다.
성격 강점에 관한 연구는 긍정 심리학 분야에서 사고력, 감각력 및 행동에 대한 보편적 역량을 반영하여 자신과 타인에게 유익하고 가치 있는 삶의 결과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특성을 분류하고 구축하는 수단으로 등장했다 (Peterson & Seligman, 2004).
이 글에서는 성장하는 성격학문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지적 및 발달 장애인을 위한 성격학의 관련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우리는 지적발달장애의 성격강점의 적용과 미래의 연구를 위한 기본 틀을 제공 할 수 있는 성격학에서 핵심 개념, 연구 결과 및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성격강점 학문
연구자들은 2000년대 초반에 성격의 과학적 이해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기 시작했다. 성격의 중요성이 역사를 통해 인정되었지만 성격의 강점을 확인, 평가 및 활용하기 위한 체계를 개발하는 데 체계적인 관심이 없었다 (Peterson & Seligman, 2004). 그러나 이러한 관심 이래로 이 주제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안녕감, 업적 및 리더십을 포함한 긍정적인 결과를 촉진하는 데 있어 성격 강점의 역할을 확립했다 (Park, Peterson, & Seligman, 2004 Seligman, 2011). 또한, 성격 강점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분류 시스템이 등장하고 성격 강점 구축을 위해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지침을 제공했다. 이 분류는 VIA 성격강점 분류 (Peterson & Seligman, 2004)(이전의 "행동 가치 분류"라고 함)는 성격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구성하는 데 합의 된 명칭 또는 서술적 "언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VIA 분류 강점은 긍정적인 성격 특성을 확인하고 개념적 틀로 조직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유효한 도구를 만드는 55명의 사회 과학자를 포함하는 3년 프로젝트에서 나왔다 (Peterson & Seligman, 2004).
VIA 강점분류는 시간과 문화에 걸쳐 보편적이라고 제안 된 여섯 가지 중요한 속성 (즉, 지혜, 용기, 인성, 정의, 절제 및 초월)으로 구성된 24가지 특성 (표 1 참조)을 포함한다. (Biswas-Diener, 2006; Dahlsgaard, Peterson, & Seligman, 2005).
VIA 목록 (VIA-IS)과 VIA 청소년 감점 목록 (VIAYouth) (www.viacharacter.org)을 포함한 평가 도구는 문화 전반에 걸쳐 개발 및 연구 되어 왔다 (McGrath, 2014; Park & Peterson, 2006년, Shryack, Steger, Krueger & Kallie, 2010, K. Singh & Choubisa, 2010, van Eeden, Wissing, Dreyer, Park, & Peterson, 2008).
연습적용
성격학문의 인식된 한계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성격 강점 (Harzer & Ruch, 2014, Vertilo & Gibson, 2014, Weber, Wagner, & Ruch, 2014)에 의해 여러 긍정적 인 결과가 예측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학업 성취는 절제와 인내로 예측된다. 인생, 호기심 및 희망에서 더 높은 열정을 보고한 사람들은 삶의 만족도와 안녕감이 더 높다고 보고했다. (Park & Peterson, 2006b; Park et al., 2004).
지적발달장애인과 성격강점 덕목의 적용
성격강점과 덕목의 필요성 확립과 평행이동(parallel movements)
긍정심리학 분야의 초점 영역으로서의 성격학문의 출현은 여러 면에서 장애 영역 내에서 일어난 변화를 반영한다. 심리학의 광범위한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장애 분야에서는 기능 결손(Wehmeyer et al., 2008)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결함 모델에서 지원 계획을 안내하기 위해 이해되고 활용되어야하는 역량을 가진 강점에 기반한 접근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Buntinx & Schalock, 2010). 성격강점의 중재를 위해서는 비슷한 도구가 필요하다. 이 조항은 전환 과정기에 있는 장애가 있는 청년들에게 강점을 문서화하고 (Carter, Brock, & Trainor, 2014) 강점 기반 사정 도구에 의한 의미 있는 IEP 및 전환 목표를 개발하는 데 사용 되도록 하는 연구의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예를 들어, 장애인 교육법 (2004)은 16세 이상의 청소년이 학교에서 성인 세계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환 서비스가 "아동의 강점, 관심사 및 흥미"를 고려해야한다고 명시하였다. 마찬가지로 연구자들은 장애가 있는 성인을 위한 지원 시스템과 개별화된 지원 계획은 능력, 관심사, 선호도 및 삶의 목표를 고려하여 능력을 수행하고 지원을 설계하는 강점 관점에 의해 주도 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Buntinx, 2013).
그러나 지적 발달 장애가 있는 청소년과 성인의 강점 기반 접근법과 관련된 특정 특성과 경험을 연구 한 문헌은 많지 않으며 (Shogren, Lopez, Wehmeyer, Little, & Pressgrove, 2006, Skotko, Levine, Goldstein , 2011; Wehmeyer, 2013), 지적 ·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광범위한 긍정심리학 분야의 연구에 포함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Shogren, Wehmeyer, Pressgrove and Lopez (2006)는 1975년과 2004년 사이의 지적 장애 연구 문헌에 긍정 심리학 구조의 적용을 검토했다. 이러한 연구항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긍정심리학을 연구하는 논문의 비율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긍정 심리학과 관련된 구성의 단 15%만 포함되었다. 더구나 긍정심리학 분야에 출간된 논문을 검토하여Shogren(2013)은 문헌에 나타난 지적장애에 국한되지 않는 장애(일반적으로 지적장애가 아닌)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긍정심리학 분야에서 출간된 논문을 검토했다. 그녀는 2006년과 2011년 사이에 발표된 162 개의 항목 중에서 단지 6개의 항목 (4%)만이 긍정 심리학 저널에서 장애인 또는 건강 관련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명시적으로 언급했고 장애 문제에 대한 제한된 초점을 찾았다. 6개 항목 중 대다수는 장애 (예 : 천식, 만성 질환 및 암)와 관련되거나 관련 될 수 있는 특정 건강 관련 상황에 중점을 두었다.
발달장애인의 성격학문 적용
성격강점 기반 사정
장애가 있거나 없는 사람들의 성격을 이해하기위한 중요한 출발점은 성격강점과 덕성에 대한 검증 된 척도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VIA 목록 (VIA-IS)과 VIA 청소년판 (VIA-Youth)를 포함한 평가 도구는 비록 장애가 없는 사람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다양한 문화에 걸쳐 개발 및 연구되어 왔다 (McGrath, 2015; Park & Peterson, 2006a Peterson & Seligman, 2004).
성격강점 기반 중재
이전 절에서는 지적 장애와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성격 평가에 관한 작지만 성장하는 연구의 실체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성격강점 평가 도구의 정보를 사용하여 성격강점을 사용하여 삶의 질을 비롯한 가치 있는 결과를 촉진하는 계획과 중재의 효과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일이 적었다. 그러나 이전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범위한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개입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중재는 일반 대중의 일상생활에서 성격강점을 키우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즉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과 지원 노력에 대한 그러한 중재의 적용과 같이 지적 장애 및 발달 장애인이 겪는 맥락적 요구에 대한 적합성 및 필요한 수정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Shogren, Luckasson, & Schalock, 2014, Shogren, Luckasson, & Schalock, 2015).
비장애 집단에서 연구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성격강점을 사용하는 것이, 많은 긍정적 인 결과와 관련되어 있으며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지적 및 발달 장애인이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러한 성격을 교육 및 지원 조항에 포함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한다.
예를 들어, 강점 발견과 같은 기존의 연습은 "매일 새로운 방식으로 대표 강점을 사용"(Seligman et al., 2005), "친절행동 세기"(Otake et al., 2006) 및 "시간 선물하기"( Gander et al., 2012)는 특히 교육자, 지원 제공자 및 가족 구성원을 위한 자원이 개발될 경우 쉽게 교육 및 지역 사회 환경에 통합 될 수 있다.
비록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장애인은 종종 도움을 주기보다는 필요로 하는 역할을 하며 상호관계를 제한(Snell & Brown, 2010)하기 때문에 강점관점 중재는 지적 장애인과 그 동료 간의 관계 구축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확인 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적 장애인이 자신의 강점을 사용하여 동료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화 된 방법을 만들면 동료 관계의 상호성이 향상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러한 접근법은 현장에서 기존 중재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중심의 계획 과정의 일부로 장애인(성격강점 목록사용)과 지원 제공자(24가지의 강점 목록 또는 ASPeCT-DD와 같은 도구 사용 또는 24성격강점의 체크리스트 사용)는 자신의 성격강점을 자신과 자신의 힘을 이해하고 필요를 지원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에서 지적 및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친절행동을 세는 자기점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지적 장애를 가진 청소년은 각 개인에게 어떤 강점이 희망 (즉, 희망의 주입)을 주는지를 탐구 할 수 있다. 사람이 고난을 이겨내는 데 자신의 강점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Aware-Explore-Apply 모델 (Niemiec, 2013, 2014)을 사용하여 가능한 해결책을 만들고 구현하는 데 강점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우드워드 (Woodard, 2009)는 "당신의 삶의 질은 당신이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덜 결정될 수 있으며, 당신이 가지고 있는 것에 따라 무엇을 선택 하느냐에 따라 결정 된다"(435 페이지). 따라서, 행동하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만드는 것에 있어 성격강점이 특히 문제를 탐색하는 데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부 성과는 성격의 강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상으로 단순히 성격강점을 보증하는 것,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Littman-Ovadia & Steger, 2010).
지적 장애 분야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단기 또는 장기간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는 한 가지 방법이며 지능 및 발달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강화된 자기결정과 삶의 질의 결과를 가져올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자체 규제 된 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hogren, Wehmeyer, Palmer, Rifenbark, & Little, 2015; Wehmeyer et al., 2012).
강점 발견은 긍정 심리학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확인된 또 다른 접근 방법이며, 이 접근법은 지적 및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에서 모범을 보았고 성격의 힘을 설명하는 개요를 작성함으로써 구체화 될 수 있었다.
특히 VIA Youth를 사용할 때 성격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지적 및 발달 장애가있는 사람들에게 더 의미 있는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연구가 있었다.(Shogren, Wehmeyer, et al., 2014).
전반적으로, 성격 강점을 기반으로 하는 지적 및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경험 한 지원 및 결과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전략의 적용이 있다. 위의 예는 긍정적인 심리학 및 관련 분야의 활동 및 연구가 지적 및 발달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삶을 살아가는 맥락에 적용되고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및 평가는 지적 장애 및 발달 장애 분야에서 다양한 지원 요구 사항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러한 접근법을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고 평가된 지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적 장애가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VIA 청소년용을 관리하기 위한 안내서가 개발되어 지적 및 발달 장애가 있는 청소년과의 연구를 통해 유효한 응답을 보장하기 위해 질문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시한다 (Shogren, Wehmeyer, Forber-Pratt, et al., 2015).
번역을 하며 느낀 점
성격강점, 덕성 즉 인성적 요소를 길러주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타인의 삶에 기여한다면 행복감을 느끼며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장애학생에게도 인성교육(성격강점)이 필요하며, 이것이 기본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는 논문이 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https://blog.naver.com/akrhkdgns/223579565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