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先祖) 서원소개(書院紹介)
--------------------------------------------------------------------------------
서원(書院)은 조선왕조(朝鮮王朝) 중엽부터 보급된 유생(儒生)의 사학(私學)기관이다. 우리 선조(先祖)와 관련된 각 지방(各地方)의 서원(書院)은 다음과 같다.
--------------------------------------------------------------------------------
해천재(蟹川齋)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90~3(선조묘성내)
창건 연대 : 1959년
창 건 자 : 강릉유씨 해천재 건립 기성회
규 모 : 재래식 한옥 (韓屋) 사간(四間) 겹집 전후좌우 퇴마루 약23평
지금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90~3으로 되어 있으나 구 한말의 지명은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 해천리(蟹川里)라고 불렀다. 이 일대의 지역은 조선조 4대왕 세종께서 강릉유씨의 중현조(中顯祖)이신 문희공(文僖公) 휘 敞(창) 할아버지의 묘소로 지정하여 하사(下賜)하신 땅으로서 사패지(賜牌地)라고도 한다. 세종대왕으로 부터 하사받은 이래 지금까지 이 사패지에는 문희공(文僖公) 휘 敞(창) 중현조(中顯祖)님을 비롯하여 선조님의 묘소를 연면(連綿)히 보존관리해 오고 있다.
그런데 이곳에는 아무리 혹심(酷甚)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물이 철철 넘처 흐르는 샘이 있었는데 이 샘을 해천(蟹泉)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샘으로 인하여 근처에 마을이 생겼으며 그 마을 이름도 해천리(蟹川里)라고 불러 왔고 또 선조님의 제사(祭祀)를 모시기 위하여 건립한 재각(齋閣)의 이름도 해천재(蟹川齋)라고 하였다.
묘소로는 문희공(文僖公) 휘 敞(창) 중현조(中顯祖)님 양위분(兩位分)과 서판공(書判公) 휘 仁統(인통)선조 양위분, 경력공(經歷公) 휘 智周(지주)선조님 양위분과, 좌랑공(佐郞公) 휘 繼周(계주)선조님 양위분, 그리고 목사공(牧使公) 휘 琨(곤) 양위분의 묘소가 계신다.
묘사(墓祀)는 춘추로 모시는데 봄에는 매년 청명일에는 실전한 시조(휘 승비)님 이하 2대와 문희공 할아버지의 절사를, 가을에는 매년 음(陰) 10월 3일에는 경내에 모셔있는 할아버지의 시제를, 년 2회로 해천재에서 제사를 모시고 있다. 해천재 상양문은 1959년 3월에 안동김정회(安東金正會)씨가 지었으며 해천재 기문(記文)은 1970년 9월에 화산(花山) 권순명(權純命)씨가 지었다고 한다. 옛날에는 초가(草家)로 된 재실(齋室)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해천재만 남아 있다.
--------------------------------------------------------------------------------
송계서원(松溪書院)
소 재 지 : 전남 장성군 북이면 송산리 190~1
창 건 일 : 성종23년(1429년)
창 건 자 : 진원현감(珍原縣監) 휘 世(세분) 선생의 현손(玄孫)
향 사 일 : 매년 음(陰) 3월 15일 오전 10시
주벽봉안위(主壁奉安位) 문희공(文僖公) 仙菴(선암) 유선생(劉先生)
배향(配享) 유사눌(柳思訥) 자 而行(이행) 시호 文肅(문숙) 문화인 대제학
劉漢良(유한량) 자 忠謙(충겸) 호 隱齋(은재) 강릉인 무장현감임란공신
劉德文(유덕문) 자 柳卿(유경) 호 述齋(술재) 강릉인 임란 및 이괄란공신
劉好仁(유호인) 자 克己(극기) 호 天放(천방) 강릉인 진사 도덕 문학시인
문희공 선암 유선생의 현손인 세분이 진원현감 재직시 오천사동(鰲川社洞)에 선생의 학문과 그 덕행을 높이 추모하기 위하여 사당을 건립하였다. 그후에 장성유림(長城儒林)과 사론(士論)에 의하여 현재의 송계서원 자리에 서원을 건립하였다 그후 선조 27년(1594년) 임진왜란 때 전화(戰禍)로 인하여 소실 되어 정조(正祖) 22년(1798년)에 다시 복원하였다가 고종5년(1868년) 대원군의 전국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毁撤) 당했다가 서기 1924년에 그자리에 그대로 서원을 재건립하여 지금까지 유림(儒林)과 본손(本孫)이 정성드려 향사(享祀)하고 있다.
--------------------------------------------------------------------------------
조산사(造山祠)
소 재 지 : 전북 고창군 고수면(古水面) 하두치(下斗峙)
창 건 일 : 1979년
향 사 일 : 매년 음(陰) 3월 12일 오전 10시
주벽봉안위(主壁奉安位) 문희공(文僖公) 仙菴(선암) 유선생(劉先生)
배향(配享) 길사순(吉師舜) 호 송운(松雲) 야은재(冶隱再)의 자(子) 선산인(善山人)
劉漢良(유한량) 자 忠謙(충겸) 호 隱齋(은재) 강릉인 무장현감임란공신
조산사(造山祠) 건립배경(建立背景)
영조 38년(1762년)에 고창(高敞) 흥덕무장(興德茂長) 삼향교(三鄕校)의 유림(儒林)들의 총의(總意)에 의하여 조선왕조 개국이등공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세자이사(世子貳師) 증영의정(贈領議政)을 역임하신 문희공 선암(仙菴) 유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높이 추모하기 위하여 검암서원(儉岩書院)을 세우고 매년 향사(享祀)해 오다가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毁撤)되었다. 그후 1899년에 다시 그곳에 서원을 복원하고 이름을 정산사(鼎山祠)라고 하였다. 그러나 1974년부터 후손이 빈약해져서 향사에 참석하지 못하게 되자 주벽(主璧)으로 봉안해온 선암 유선생을 직제학(直提學) 밖에 되지 않는 청간조서(淸澗曺庶)를 주벽(主璧)으로 하여 그 위차(位次)를 임의로 바꾸고 또 결향(缺享)까지 하게 되어 1978년에 삼향교 유림들의 여론에 따라 지금의 조산사(造山祠)를 건립하게 되었다.
-------------------------------------------------------------------------------- 主要 遺蹟 명 칭(名 稱) 배향위(配享位) 소재지(所在地)
송계서원(松溪書院) 유 창(劉 敞) 전남 장성군
예양서원(汭陽書院) 유호인(劉好仁) 전남 장흥군 장흥읍 예양리
검 암 사(儉 巖 祠) 유 창(劉 敞)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
자 강 사(紫 岡 祠) 유 창(劉 敞) 경북 칠곡군 북삼면 숭오리
용 계 사(龍 溪 祠) 유 창(劉 敞) 충북 단양군 영춘면 사이곡리
안 덕 사(安 德 祠) 유 창(劉 敞) 함남 북청군
덕 산 사(德 山 祠) 유한량(劉漢良) 전북 고창군 무장면
정 산 사(鼎 山 祠) 유한량(劉漢良)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
월 계 사(月 溪 祠) 유호인(劉好仁) 전남 순천시 월등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