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악(載岳)할아버지[1734-1814]는 자는 탁중(卓中), 호는 인촌(仁村), 대구 출신이시다.
조부는 홍수(洪受)할아버지로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문인이다.
1764년 경주 인산서원에 송시열을 봉안할 때 윤봉오와 함께 小․大學을 강의.
1795년(정조 19) 경상감영에서 오경백선(五經百選) 중 1권을 교정(校正), 正祖로부터 시전(詩傳), 추서(鄒書), 주서백선(朱書百選)을 하사받았다. 이듬해 경학행의(經學行義)로 관찰사의 추천을 받았으며 正祖로부터 경연(經筵) 참석을 허가받아 白衣로 참석, 經學에 관해 토론을 한 후 복호(復戶, 조선 시대에, 충신‧효자‧군인 등 특정한 대상자에게 부역이나 조세를 면제하여 주던 일.)를 받고 휘릉참봉(徽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60여년간을 은거, 講學에 힘썼다.
1813년(순조 13)에 팔십 노인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시문집인 《인촌선생문집(仁村先生文集)》이 있다
-------------------------------------------------------------------------
仁村先生集(奎12452)
禹載岳(朝鮮)著. 6卷 3冊 筆寫本 24×18.8cm.
仁村 재악할아버지의 詩文集. 曾孫 東範, 族孫 成圭 등이 1898년에 수집, 간행했으나 奎章閣本은 筆寫本으로 그 경위는 밝혀져 있지 않다.
{卷1}:詩 38수. {卷2}:登對筵說, 書 35편(與李華泉采書, 答金慶山問目, 與洪梅山直弼書, 答具景春問目, 答趙士久問目 등). {卷3}:序 3편(送洪梅山序, 仁山書院鄕飮禮序, 敬養齋序), 記6편(邑誌修正記, 龜巖書院東西齋扁名記, 德洞書院 등), 跋 17편(傳巖金公詩集跋, 松庵金公夏重遺稿跋, 跋好古契序, 書月谷先生倡義錄後, 書家禮增解小敍後, 徐竹溪晩覺齋遺跋, 書石崗堂記後, 書松京古蹟後, 書沾上人遺稿序後 등), 贊 1편(遠溪師畵像贊). {卷4}:雜著 12편(大邱農書, 尙德祠移建事蹟, 龜巖書院學規, 種菊說, 記夢說, 邑誌修正時小識, 承召日記 등), 祝文 21편(格齋孫公肇瑞還安文, 告知守齋文 등), 祭文 3편(祭鏡湖李公宜朝文, 祭成知事爾演文, 祭族兄希甫文), 上樑文 2편(油然齋上樑文, 德洞書院上樑文). {卷5}:墓碣 2편(李君遂泰墓碣銘, 玄亭李公급墓碣銘), 行狀 16편(玉泉金處士학行狀, 玩松亭金公憲章行狀, 百忍齋李公遂涵行狀, 牧使崔公鎭南行狀, 鏡湖李公宜朝言行錄등). {卷6}:附錄:遺命, 五經百選校準事實, 承召時事實, 輓, 行狀, 祭文, 序, 墓碣 등.
書에 나오는 問目은 주로 喪, 葬, 祭 및 婚齡 등에 관한 禮와 中庸에 관한 問答이다.「書月谷先生倡義錄後」는 義兵將 禹拜善(1569~1621)에 관한 기록이다. 「大邱農書」는 大邱 지방은 南北多山하고 東西皆水이나 灌槪시설이 없어 홍수와 한발의 피해가 많다고 지적, 농사짓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稅金, 水利시설 등 이에 대한 대책을 세움이 긴급하다는 내용이다. 「龜巖書院學規」에는 {1}訓長, 直月, 掌議 등의 선발, {2}講案作成, {3}齊會, {4}必讀先小學, {5}文義爲主, {6}設講은 每月朔現, {7}講義진행방법, {8}講生의 태도 등 覺規 10개항이 들어 있다. 卷末에 이헌영의 跋과 禹成圭의書가 있다.
<참고문헌> 朝鮮人名辭書, 仁村先生集
첫댓글 경호 이의조선생께서 편찬하신 '가례증해'에 인촌선생께서 상당부분 교정을 하신걸로 알고있는데
그 사실은 잘 안타나 있는것 같네요! 달성후인 하성대.
달성 하윤곤님으로 인해 좋은 정보 알게되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