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음실에서 마이크 사용이란 사실 별다른게 없습니다만.
먼저, 녹음전 설정해준 그대로 또한 지시해준 거리에서
편안하게 노래를 부르시면 됩니다만, 정말 중요한고
꼭 지켜야 할 사항 두가지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노래의 1절과 2절 일정한 같은 거리에서 불러야만 된다는 것.
녹음실 마이크는 대부분 고가인 고성능의 콘덴서마이크들 입니다.
성능으로 말하자면 30Cm거리에서나 2m, 3m, 5m의 거리에서
똑같은 크기의 목소리로 녹음을 해본다면 소리의 크기는 거의
비슷? 아니 같다고 할 정도로 성능이 좋습니다.
이정도니 세밀하기야 말할것도 없겠지요?^^
그렇지만 거리마다의 음색이 다르다는것과 편집할때
예를들어 한가지 종류의 이팩트(효과음.에코종류)를 같은 수치로
녹음된 소리에 각각 입혀본다고 볼때 각기 완전히 다른 색깔로 들린답니다.
이유는 그때문이랍니다.

같은 거리에 그대로 노래를 하다보면 노래마다 크라이막스 부분이
있는데 그부분은 대부분 음정도 높으며 소리의 크기도 당연 크지게 마련
인데 이걸 걱정하실 필요또한 없답니다.
왜냐구요? 그건 녹음전에 노래를 부를 곡이나 그 노래를 부를 사람의
목소리와 톤, 볼륨등을 시험을 하여 미리 수치가 맞춰진 컴프레스를
걸어놓고 녹음을 하기 때문 소리가 크진다고 해서 자신이 마이크에서 멀어진다거나 고개를 다른방향으로 돌린다거나, 소리를 작게 억제 할려고 하실 필요는 전혀 없답니다. 오히려 그대로 그 크라이막스 부분을 양껏 쭈욱- 쭈욱 빼어내 뿜는것이 정석이란걸 염두하시길 바랍니다. 정석대로 한것 이것역시 편집시에
오히려 더욱 잘나온다는 것. 효과음도 그 부분에서 만큼은 더욱 화려하고
뭉클한 감동까지 자아낼 수 있다는 것을 기억 해 두시길 바랍니다.
잠시 컴프레서(comprsser)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컴프레서란 말은 말 그대로 해석하면 압축이란 뜻입니다.
큰소리와 작은 소리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정하게 하는 스튜디오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랍니다. 녹음중 혹시 노래를 부르다가
아까 말씀 드린대로 그 커지는 부분에서 간혹 내가 쓰고있는
해드폰에서 약간이라도 찌글어 지는듯한 소리가 들려도 그대로
내뿜으셔도 무방 하답니다. 만약 1절에서 찌글지는 소리던데 하고
2절에서 소리를 작게 줄인다거나 고개를 돌린다면 녹음은 망치게
되는 것이랍니다. 다시 해야져 뭐~ㅎㅎ 아님 부분수정으로도
고칠수는 있습니다.
참고로 녹음할때 에코(효과음)에 대해서 말씀을 드릴게요.
녹음할때 목소리에 에코를 넣을수도 있고 안넣고 할수도
있습니다. 보통 에코를 넣어주면 부르기가 낫다고들 합니다.
그야 상관은 없습니다만, 에코를 넣고 녹음을 해도 레코딩기에
녹음되는 소리는 에코가 전혀 없는 원음만 녹음이 된답니다.
녹음후 편집할때 그노래에 어울리면서 가수의 목소리가 화려하며
공간감 있는 효과음으로 믹스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문인들은 에코가 없는 생목소리로 들으면서들 합니다.
왜냐하면, 일단 에코종류를 걸쳐 놓으면 어물쩡 거려도 우선
좋게 들립니다. 또한 길게 빼어내어야 할 부분도 작동되고 있는
에코의 영향으로 적당히 빼내고 멈춰버리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편집할때 들어보면 저희로선 아쉬움이 너무나 많답니다.
충분한 음과 선명하고도 뚜렷한 소리들로 녹음이 되어 있다면
편집에서도 엔지니어는 흥이나고 편하기도 하고, 좋은 작품으로
나올 수 때문입니다. 원래 유명하고 시설이 아주좋고, 전문가들이
많이 찾는 녹음실은 녹음시에 아예 에코종류를 사용치 않는답니다.
또 한가지는 대부분 일반인들은 자신도 모르게 마이크에 입을
바싹 갖다 댈려고 합니다. 이것또한 금물입니다.
녹음엔지니어가 지시해 준대로 하셔야만 됩니다.
지시만 잘 따르시면 좋은 녹음이 완성된답니다. 필수^^
참고로 녹음실 마이크의 성능들에 관해 말씀드리자면,
물론 비싸고 이름있는 유명메이커는 말할것도 없는건
당연지사 입니다만, 악기들이나 특수음향을 필요로 하거나
할때는 그때그때 어울리는 마이크들을 사용합니다만
주로 보컬에 사용하는 마이크는 크게 비싸지 않는 중급
정도만 되어도, 엔지니어의 셋팅으로 충분히 비싼마이크
못지않은 음색과 음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1천만원 가까이나 되는 노이먼 정도를 두고 작업을
한다면야 미련도 후회도 없이 맘이야 편할수 있겠지요...
그러나, 능숙한 엔지니어들은 크게 따지진 않습니다.
2010. 5. 13 셀마(이창록)
첫댓글 무조건 노래방에서처럼 부르는것이 아니군요 ^^
녹음을 할려면 체계적으로 배워야 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