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 정조대왕(正祖大王) 동상(銅像)
수원시내 한복판에 위치한 팔달산 옛 신풍배수지에 세워진 정조대왕 동상은 높이 6m 너비 3m로 수운시내를 바라보고 서 있다, 동상뒤쪽에 화성 축조의 역사 등을 담은 높이 11m 너비 4, 6m의 시공의 탑과 높이 4, 8m 너비 7, 9m의 역사의 벽이 자리하고 있다,
⦿ 정조대왕 기념 조형물
건립목적 ─ 세계문화유산 화성을 축조하고 효를 몸소 실천하며 끝없는 개 혁과 애민정신으로 위대한 업적을 이룩하신 정조대왕을 기리 는 역사적인 조형물을 21 C 문화의 세기에 걸 맞는 수원의 상징물로 건립하여 후세의 영원한 산 교육장이 되도록 함,
작품성명 ─ 화성의 성곽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단순, 함축시킨 미니멀 추상 의 현대적 조형미,
─ 공간의 음과 양이 상하 좌우 입체적으로 소통되는 다기능 복 합 공간 구조,
─ 조형물의 중심부 만천위에 사용을 초월해 우리 앞에 우뚝 선 정조대왕동상,
─ 작품의 내외 벽 동선을 따라 실사부각한 원형도와 도설 업 적 등 여사기록
─ 역사도시 수원의 오늘과 앞날의 발전을 상징하는 미래비전 수원 “부조,,
제작 김 인 겸 참가작가 이 두 한, 김 동 숙
중공 2003년 6월 수원시
⦿ 정조연보(正祖年譜)
1752년 9월 22일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의 아들로 창경궁 경춘전(景春殿)에 서 출생
1759년 6월 왕세자손(王世子孫)에 책봉(冊封)(8세)
1761년 3월 성균관에서 입학례를 거행하고 관례(冠禮) 올림(10세)
1762년 2월 청원부원군 김시묵(金時黙)의 딸과 가례(嘉禮)올림(11세)
1762년 윤5월13일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가 별세(別世)함
1762년 7월 동궁(東宮)이 됨
1764년 2월 요절(夭折)한 큰아버지 효장세자(孝章世子)의 후사(後嗣)로 입양(入養)됨(13세)
1775년 12월 영조의 병환(病患)이 심해져 대신 국정을 수행함 (24세)
1776년 3월 10일 영조가 승하 하자 경희궁 숭정문에서 왕위에 오름(25세)
1776년 3월 사도세자의 존호를 장헌(莊獻)으로 올리고 수은묘(垂恩墓) 를 영우원(永祐園), 사당(祠堂)을 경모궁(景慕宮)이라함
1776년 9월 규장각(奎章閣)을 설립함
1781년 7월 영조실록 경종개수 실록을 편찬(編纂)함
1782몀 2월 강화도(江華島)에 외규장각(外奎章閣)을 설립(設立)함
1784년 7월 원자 문효세자(文孝世子)를 왕세자로 책봉함
1786년 5월 왕세자 문효세자가 생후 5세만에 죽음
1789년 7월 하순부터 수원부를 화산 기슭의 구읍치로 부터 신읍치인 팔달산 기슭 일대로 옭기여 행궁, 관아, 민가등의 건설작 업 이 시작됨
1789년 10월 아버지 장현세자의 묘소를 양주 남쪽 배봉산에서 수원 화산 기슭 계좌(癸坐)의 언덕으로 옮기고 원호(園號)를 현능원(顯 陵園)으로 고침(38세)
1790년 6월 왕자 순조(純祖) 출생
1791년 1월 채재공(蔡齋恭)의 건의로 시전(市廛) 상업에서 통공정책을 실시함
1793년 1월 수원을 화성(華城)으로 고치고 유수부(留守府)로 승격 시킴
1794년 1월 화성성역을 시작함
1795년 2월 어머니 혜경궁홍씨를 모시고 화성에 행차함 (44세)
1796년 9월 화성성역 완공(45세)
1796년10월18일 화성 낙성연(落成宴)이 벌어짐
1798년 10월 화성의 장용외영(將勇外營) 제도를 5위 체제로 개편함
1800년 1월 왕자를 왕세자로 책봉함
1800년 6월28일 창경궁 영춘헌(迎春軒)에서 승하(49세)
1800년 11월6일 헌릉원 동쪽 해자(亥子) 언덕에 안장하고 능 이름을 건릉(健 陵)이라 함
1814년 3월18일 100책의 정조 저작물 홍재전서(弘齋全書)가 가행됨
1821년 3월 효의왕후(孝懿王后) 김씨 승하(69세)
1821년 9월 건릉을 헌릉원 서쪽 자좌(子坐)의 언덕 현 위치로 이장
1899년 11월 정조선황제(正祖宣皇帝)로 추존됨
☞ (25) 복원되지 못한 화성(華城) 시설물(施設物)
⦿ 남은구(南隱溝)
남은구는 숨겨진 도랑이란 뜻으로 성안의 물을 빼내기 위한 비밀(秘密) 배수구이다, 남서적대의 서쪽 40보 1척 남치(南雉)의 동쪽에서 남은구의 서쪽까지 71보 거리에 있다, 팔달산에서 내려오는 개울물이 신풍루를 지나 남지(南池)에 물을 대고 이 은구로 빠져나가게 되어있다, 성벽을 쌓을 자리에 벽돌을 깔고 그 위에 짧은 기둥을 세 줄로 세워 네 개의 도랑을 만들었다,
그 안쪽으로 기둥을 보이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하여 사람이 은구로 성을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도랑위에 돌을 얹어 성벽을 쌓았다, 남은구를 통과하던 개천은 복개되어 도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남은구와 그 주변 성곽은 미복원상태이다,
⦿ 북은구(北隱溝)
북은구는 북서포루(北西砲樓)의 서쪽 90보 북포루(北舖樓)의 동쪽 37보 지점에 있다, 만든 방식은 남은구와 같고 도랑의 전체 넓이는 2보 5척이다, 성밖에서 들어오는 가느다란 도랑물이 흘러들어 성안의 북지(北池)에 물을 댄다, 북은구는 1975년 화성복원공사 당시 성벽의 및으로 유구(流溝)가 확인되었으나 심히 교란되었고 연못을 복원하지 못한다면 북은구의 복원도 어렵다는 이유로 복원공사에서 제외 되었다,
⦿ 남지(南池)
남지는 상하 두 개의 연못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팔달문과 팔달산 사이 현재 성벽이 끊어져 있는 곳에서 중앙극장 뒤편에 있었다, 일명 와룡지(臥龍池)라고도 한다, 상남지는 1794년(정조 18) 3월 14일 공사에 착수하여 4월 1일 공사를 마쳤다, 가운데에 작은 섬 1개를 만들고 홍련(紅蓮)과 백련(白蓮)을 심었다, 하삼지는 1796년(정조 20) 7월 7일 공사에 착수하여 7월 27일 공사를 마쳤다, 가운데에 2개의 작은 섬을 만들었다, 하남지는 상남지와 규모가 같고 깊이가 더 깊었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은구도(隱溝圖)에는 바로 남지의 원형(原形)을 담고 있는 것으로 당시의 연못조경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화성전도에는 상하 연못 사이에 정자(亭子)가 그려져 있어 이 곳이 유락(遊樂)의 장소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화성성역의궤의 내용을 살펴보면 남창의 남에는 상지 가운데 작은 섬 하나와 하지에 섬 두 개가 있으며 두 못의 사이에 정자(亭子)터가 있다고 기록 되어있다,
⦿ 북지(北池)
북은구(北隱溝) 안쪽에 있는 북지는 성 밖의 도랑물을 끌어서 만든 연못이다, 1794년(정조 18) 3월 14일 공사에 착수(着手)하여 4월 4일 공사를 마쳤다 ⦗화성전도(華城全圖⦘에 그러진 북지는 하나의 연못으로 북지 앞에 담을 둘러친 2채의 누각(樓閣)이 있었다. 북지는 북은구 안에 있는데 성 밖의 도랑의 물을 끌어대었기 때문에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런데⦗수원성 복원 정화지⦘의 조사기록에는 상북지는 완전히 유실되었고 하북지 일부가 남아있어 복원이 가능하였으나 이미 주택가가 들어서 있어 화성복원공사 때 제외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위의 기록을 미루어 보면 북지는 어는 때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1개의 연못이 추가로 만들어져 상하 연못으로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지에는 수초와 연꽃을 심고 가꾸어져 19세기 초반 정리된 수원 팔경(八景) 중 북지상연(北池賞蓮) 연꽃 곱게 피어난 북지)이란 아름다운 경관(景觀)으로 발전한 것으로 짐작된다,
⦿ 동지(東池)
동지는 상하 2개의 연못으로 만들어 졌다, 1795년(정조 18) 4월 7일 공사에 착수하여 4월 21일 공사를 마쳤다 동지는 오교(午橋)를 건너 매향동(梅香洞) 어귀와 구천동(龜川洞)의 북방에 있었는데 1894년에 작성된 ⦗기전영지⦘에 의하면 동지(東池)는 없고 동창지(東倉池)로 불리우는 연못이 기재되어있다, 아마도 동지 주변(周邊)에 창고가 있어 연못을 기록(記錄)한 것으로 보인다, ⦗화성전도⦘를 살펴보면 동포루(東砲樓)와 동이치(東二雉)사이에 2개의 연못이 그려져 있은 것을 볼 수 있다, 1975년 화성복원공사 때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어 미쳐 복원하지 못했다고 한다,
⦿ 군무소(軍務所)
화성성역의궤에 의하면 군무소는 이른바 군무의 필요에 응하는 곳이라고 하였다, 서노대와 화성장대 중간 북쪽에 위치하였던 이 집은 화성장대 뒤에 건립한 후당(後堂)으로 전면 3칸(5, 58m) 측면 1칸(1, 86m)에 남측면에서 반칸퇴(半間退)를 달고 북측에서 전(塼)돌 담장을 둘렸고 동측 담 끝에 홍예문을 설치하였다, 1975년 복원공사에서 지표(地表)가 교란(攪亂)되고 주춧돌도 없어 복원에서 제외되어 미복원 상대이다, 수원시는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점차적으로 발굴 조사하여 복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