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박씨(寶城 朴氏)의 뿌리를 찾아주자
보성박씨의 경과
13세 박번(朴蕃)이 임실박씨로 분적을 했는데 손자 成霖이 아들 언용(彦龍)을 보성박씨로 분적을 하니 문중에서는 화가나서 壽海의 아들에서 삭제를 해 버렸다고 보여진다.
함양박씨 2파 문원공의 제2자 문양공 리(理)의 6대손인 13세 번(蕃)의 손 성림( 成霖)의 자 언용이 보성박씨로 분적이 되었는데 1939년 기묘대동보를 하면서 보성박씨의 뿌리체(문중)를 부사공(4파)의 16세 정립(挺立)공의 300여년의 절손 무후가에 34세의 연장자를 아들로 입적을 했다. 엣 법에 먼촌의 양자를 했다는말은 들었어도 문중의 재산과 묘소까지를 이런식으로 양자를 해 간것을 대종회에서만이 다루어 저야 할것입니다. 보성박씨는 부사공파의 양자로 끌어갈것이 아니라 당당한 보성박씨로 살아가게 하던가 생가의 무후된 자리에 본종으로 돌아가게 하던가 대종회차원에서 뿌리를 찾아 주어야 할것입니다.
팔자가 아는대로 참고 자료를 첨부합니다.
임실 박씨(任實朴氏)
관향조 는 박번(朴蕃)으로 전해오며 문헌은 없다. 다만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임실(任實)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박번(朴蕃)의
자는 덕재(德材). 호는 인덕재(仁德齋). 본관은 함양(咸陽). 교수 평(枰)의 손
자. 생졸년대(生卒年代)에 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공조전서 상(祥)의 현
손이자 현동(玄童)의 아들이다.
정암 조광조(趙光祖)에게 유학(儒學)을 공부하였고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아버지 병환에 대소
변을 맛보아 병세를 가늠했으며 부모의 상(喪)을 당하였을 때에는 3년 시묘를
마치기도 하였고 이로 말니암아 그가 죽은 뒤 중종 7년(1512) 그에게 정려가
내려졌다.
1. 유적: 학정서원(鶴亭書院). 압구정(狎鷗亭). 효자정려
2. 지명유래: 백제 때의 임실군(任實郡)이 신라 때도 같은 이름으로 불리 워 오
다가 고려 때에는 남경부(南京府에 속하고 1413년에 현감을 두 었고 1895년에
는 임실군(任實郡)이 되었다.
3. 가구 인구: 현재 남한에 47가구 149명이 살고 있다
[참고문헌] 國朝人物志 大東野乘 燃藜室記述 朝鮮王朝實錄
朝鮮人名辭書 海東人物志 海東雜錄
임실 박씨(任實朴氏)
예종2(기축1469)생 ~ 중종37(임인1542) 74세로 하세
본인 - 박번 ---- 生卒 1469 ~ 1542
아들 - 수해 ---- 生卒 1500 ~ 15---추정
손자 - 성림 ---- 生卒 1488 ~ 15---추정
증손 - 언용 ---- 生卒 1562 ~ 1632
***********************************************************
기묘대동보
응립 生正德12丁丑 1517
世蓊-生1493 癸丑-------父
정립 生嘉靖1 壬午 1522--본인
명립 生嘉靖10辛卯 1531--동생
------------------------------------
박성림(朴成霖)
입향조로 성종20(1488)(조작)년 무신(戊申)生
성림 ---- 生卒 1488 ~ 15----12
언용 ---- 生卒 1562 ~ 1632--62+12=74
성림-12+62=성림-74세 >生언용****
정립-1522****養父--나이가 34살 많은 아들을 양자로 했다.
성림-1488****養子--
함양박씨 14세. (문원공파) 자(字)는 상부(商傅)
부사공파(副使公派) 참판공(參判公) 정립(挺立)의 아들로 문중 이동 되었다.
경기도 의왕시함양박씨 입향조로 성종20(1488)년 무신(戊申)생으로 의금부도사를 지내시고 후에 호조참판에 증직되셨다.
자(子)는 언용,서용,계용 세분을 두셨다.
묘는 전북 임실군 청웅면 석두리 구상동 산2번지 와 경기도 의왕시 고천 두군데 있다.
박언용(朴彦龍)
生卒 1562 ~ 1632
함양박씨 15세. (문원공파) 자(字) 택경(澤卿)
명종 17(1562)년 생으로 선조 21(1588 무자)년에 진사로
선조 36(1603 계묘만력31년 10월19일)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로 문과 급제후
선조 40년(1607) 보령현감(종6품), 사간원 정언(정6품), 병조 정랑(정5품),사헌부 지평(정5품)을 거쳐 외직으로 자인군수,
해미군수, 경성군수, 영월군수, 여주군수,진주군수를 하시고
사헌부장령(정4품)을 지내시고 인조 9(1632 임신)년 71세로 하세 하시었다.
배는 완산이씨로 참봉 이광필의 따님과 또한분 우봉이씨로 사직 이경위의 따님이시다.
묘소는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골우물]에 세분이 합장 되었다.
자(子)는 내명(乃明), 내경, 내선, 내정, 내신 다섯분을 두셨다.
보성 박씨(寶城 朴氏)
生卒 명종 17(1562)년 임술(壬戌) ~ 인조 9(1632 임신)년 71세로 하세 하다.
자료제공: 함양문중 박용상
보성박씨의 기록
선조 36년(1603년 계묘 만력 31년 10월 19일)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자 기록에 본관이 보성박씨 아고 기록이 되어있을뿐 그 이후의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아래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등재되어 있는 보성박씨의 기록이다.
본관명 | 보성(寶城) |
성씨명 | 박씨(朴氏) |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全羅南道) 보성군(寶城郡) |
본관이칭 | |
시조명 | 박언룡(朴彦龍) |
시조(始祖) 박언룡(朴彦龍)은 속함대군(速咸大君)의 후손으로서 조선조(朝鮮朝) 선조(宣祖) 36년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정랑(兵曹正郞)을 역임했다.
관향조 박언용(朴彦龍) 함양박씨 상서공(尙書公) 선(善)의 15세 손으로 2파 문원공(文元公) 지빈(之彬)의 2子 문양공(文良公) 리(理)의 8세손[번(蕃)의 (曾孫)]이시다. 자(字) 택경(澤卿) 명종 17(1562)년 임술(壬戌생으 선조 21(1588 무자)년에 진사로 선조 36년(1603년 계묘 만력 31년 10월 19일)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후 선조 40년(1607년) 보령현감(종6품), 사간원 정언(정6품), 병조 정랑(정5품),사헌부 지평(정5품) 을 거쳐 외직으로 자인군수, 해미군수, 경성군수, 영월군수,여주군수,진주군수를 하시고 사헌부장령(정4품)을 지내시고 인조 9(1632 임신)년 71세로 하세 하시었다. 배(配)는 완산이씨로 참봉 이광필의 따님과 또한분 우봉이씨로 사직 이경위의 따님이시다. 묘소는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골우물]에 세분이 합장 되었다. 자(子)는 내명(乃明), 내경, 내선, 내정, 내신 다섯분을 두셨다.
통계청 2003년 발표 남한에 294가구 940명이 살고 있다.
******************************************************
성림과 언용의 거계도(영명재지)
와 成霖 의 가상 出生年代
丁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