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거(好家居)-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화(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호구이고수(狐裘而羔袖)- 여우 갖옷에 양 소매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우 갖옷에 양 새끼의 가죽으로 소매를 달면 보기 흉한 것처럼, 대체로 좋으나 작은 부분이 조금 있을 때 사용하는 말.
호기(好機)- ‘좋은 기회’이며,
호기심(好奇心)- ‘기이한 것을 좋아하는 마음’이라는 뜻이다.
호리정(狐狸精)- 여우나 너구리가 둔갑한 것. 도깨비.
호리정노미(狐狸精露尾)- 호리정이 꼬리를 드러낸다는 뜻으로, 위장하고 있던 것이 본성을 드러낸다는 의미.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오랑캐 말은 북풍을 의지한다는 뜻으로, 북풍이 불 때마다 호국을 그리워하는 호마처럼 고향을 잊지 못함을 이르는 말.
호말위구산(毫末爲丘山)-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호박방(琥珀房)- 소나무 진이 땅속에 들어 천년 묵으면 복령(茯 )이 되고 복령이 천년 묵어 호박이 되는 것으로 문헌에 나온다. 그호박으로 사방 14m, 높이 5m의 방 전체를 7t의 호박 판 22개로 장식한 세계에서 가장 호사스런 방이다.
호방(豪放)~ 호탕 걸걸하다.
호부무견자(虎父無犬子)- 호랑이 아비에 개 새끼는 없다는 뜻으로, 잘난 아버지 밑에 못난 아들은 없다는 의미.
호불귀(胡不歸)-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호사불여무(好事不如無)- 좋은 일은 없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좋은 일엔 흔히 나쁜 일이 뒤따르므로, 차라리 처음부터 좋은 일이 없는 것이 낫다는 의미. 곧 ‘無事(무사)’의 본래 의미와 통함.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좋은 일은 문밖으로 나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좋은 일은 세상에 알려지기 어렵다는 의미.
호상불육어(湖上不鬻魚)-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생모우악생창(好生毛羽惡生瘡)~ 좋으면 깃털처럼 감싸주고 싫으면 부스럼 낸다.
호소(縞素)- 상복을 입음.
호유미(狐濡尾)- 여우가 꼬리를 적신다는 뜻으로, 여우가 물을 건너 가다가 막판에 꼬리가 물에 젖어 건너가지 못했다는 이야기에서 일은 시작하기 쉬우나 끝마무리를 하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이관(虎而冠)- 호랑이면서 관을 쓰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은 범처럼 잔인 횡포(殘忍橫暴)하면서도, 사람의 의관(衣冠)을 하여 외모를 꾸미고 있음을 이르는 말 .
호적수(好敵手)- 좋은 적수라는 뜻으로, 알맞은 상대자(相對者)를 이르는 말.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아무리 오랑캐의 땅이라 한들 봄이 왔는데 어찌 풀 한포기, 나무 한 그루 없겠는가 -동방규의 <昭君怨(소군원)>
호탕건곤활(浩蕩乾坤濶)~ 호탕하게도 건곤은 너르나니
호학근호지(好學近乎知)- 배움을 좋아하면 앎에 가깝다는 뜻으로, 학문은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길이므로, 학문 좋아하는 것 자체가 벌써 ‘知’에 가까움을 이르는 말.
호학이불이(好學而不貳)- 한결같이 학문을 좋아 하여라.
호화미견용(好畵未見龍)- 보지 않은 용을 그리기를 좋아함. 곧 이룰 수도 없는 일을 하려고 함의 비유.
혹가혹불가(或可或不可)- 혹은 옳다하고 혹은 옳지 않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은 옳다 하고 어떤 사람은 그르다 하여 가부(可否)가 결정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혼돈(混沌)-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사흉 중 하나이다. 머리에 눈코입귀가 없다.
혼혼연(混混然)~ 물이 많이 흐르는 모양,
홀여조과목(忽如鳥過目)- 홀연히 새가 눈앞을 지나가는 것 같다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홍곡(鴻鵠)- 큰기러기,고니, 곧 큰인물을 말함.
홍곡고비부집오지(鴻鵠高飛不集汚地)- 큰기러기와 고니는 높이 날면서 더러운 땅에는 모이지 않는다 대인은 사사로운 이득에 마음을 팔지 않고 소인은 이익이라면 어떻게든 취하려 한다.
홍등가(紅燈街)- 붉은 등이 켜져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유곽(遊廓)이나 화류계(花柳界)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홍일점(紅一點)- 붉은 한 점이라는 뜻으로, 푸른 풀 속에 핀 한 떨기의 붉은 꽃의 의미에서 여러 남자들 중에 홀로 끼여 있는 여자를 비유하거나, 여럿 속에서 특별히 뛰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화가(畵家)-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이 경우의‘家'는 ‘학문이나 예능 분야에 전문적인 기능을 가진 사람’을 나타낸다.
화기어세미(禍起於細微)- 화는 작고 미세한 것에서 일어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서 재앙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
화득신이치(火得薪而熾)-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화류계(花柳界)- 노는계집들의 사회(社會).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열흘 붉은 꽃이 없음.
화발다풍우(花發多風雨)- 꽃이 피면 비바람이 많다는 뜻으로, 꽃샘추위의 비바람이 꽃을 떨어뜨리듯이, 인간 세상의 만사가 마음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화복무문 유인자초적선지가 필유여경(禍福無門 惟人自招積善之家 必有餘慶)~ 화와 복에는 문이 없고 오직 사람이 자초하는 일이다 선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경사스러움이 있다
화생(火生)~ 비로사나불이란 인류를 구하기 위해 석가가 인간의 몸으로 화생(火生)하여 세상에 나타났다고 보는 입장에서 석가를 화신불이라하고 석가불이 설한 불멸의 법을 상징하여 형상화한 것이 법신불이란 뜻의 비로사나불이다.
화생어해타(禍生於懈惰)- 재앙은 게으름에서 생김.부지런하여라. 화는 게으름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김.
화순제가지본(和順齊家之本)~ 화목하고 존중하는 것은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이다
화시화이기의-불가이위근(花是花而己矣-不可以爲根)~ 꽃은 꽃일 뿐 뿌리가 되지 못한다.
화요일(火曜日)- ‘불이 빛나는 날’이라는 뜻이다.
화재우호리(禍在于好利)- 이익을 탐하지 마라. 이익을 탐하는 사람은 재화를 부르는 일이 많다.
화조사(花鳥使)- 꽃과 새를 찾는 사신이라는 뜻으로,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는 사람. 곧 사랑의 사신.
화통(和通)~ 화합과 소통,
확청(廓淸)- 지저분하고 어지럽던 물건이나 제도를 없애서 깨끗하게 함.
환생이두연(還生李杜然)- 이백과 두보가 환생하기라도 한 듯
환지무성,간지무형(喚之無聲~看之無形)~ 깨치면 차별을 여의므로 [無聲無形].
환지지불립(患志之不立)~ 뜻을 세우지 못한 것을 근심한다.
활사인(活死人)- 살아있으면서 죽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한평생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는 사람의 의미에서 바보나 천치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황내붕조비지방(況乃鵬鳥飛止傍)~ 하물며 올빼미도 곁을 날도다.
황하천년일청(黃河千年一淸)- 황하(黃河)가 천 년에 한 번쯤 맑을 수 있을지 모름. 곧 성인(聖人)이 나기 어려움,
회자(膾炙)~ 널리 많은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름.
횡해린(橫海鱗)- 바다에 가득 찰 물고기라는 뜻으로, 바다를 채울 정도의 큰 물고기의 의미에서 훌륭한 인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효도(孝道)- 어버이에게 정성껏 효도하여, 자식된 도리를 다하라.
효백행지원(孝百行之源)- 효는 백가지 행실의 근원이다.
효빈(效顰)- 찡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주관을 잊고 맹목적이고 함부로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효색조림돈(曉色照林墩)~ 새벽 빛은 수풀 언덕을 비추는데
효쇠어처자(孝衰於妻子)- 효는 처자식에게서 쇠퇴해짐.
효자즉충신(孝子卽忠臣)- 부모에게 효도를 못하는 사람은 윗사람에게도 충실하지 못하다.
효파경(梟破鏡)- 올빼미의 파경이라는 뜻으로, 올빼미가 어미새를 잡아먹는 새고, ‘破鏡’은 아비 짐승을 잡아먹는 짐승이기 때문에 흉악무도(凶惡無道)한 악인을 이르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