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저 레이싱 및 외양항해에 있어 VMG 만큼 자주 접하는 용어가 SOG이다.
SOG란 보트의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Speed Over the Ground (SOG)를 말하는 것이다.
번역하면 요트가 육상에서라면 얼마나 어느방향으로 움직였나를 나타내 주는 것이다.
물위에 떠 있는 요트의 속도라면 Speed Over the water (SOW)로 나타내야 할텐데
왜 SOG라는 개념이 필요할까?
(즉 시속 5마일로 항해하고 있다면 요트의 속도는 5노트이면 그만이 아닌가?)
그 이유는 물 (바다)은 육상과 달라 조류, 해류 등의 부가적인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쉽게 갈 것이다.

위 그림은 세대의 요트가 5노트의 속도로 (즉 시속 5마일)로 항해하고 있다.
하지만 1) 맨 위의 요트는 진행방향과 반대인 2노트의 조류를 거슬러 항해하고 있고,
2) 가운데 요트는 이와는 반대로 진행방향으로 2노트의 조류가 흐르고 있다.
3) 마지막 요트는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2노트의 조류가 흐르고 있다.
모든 요트의 속도와 SOW는 똑같이 5노트이므로 한시간 후면 5마일을 항해했어야지만
실제로 요트가 이동한 거리는 1)번 요트 3마일, 2번 요트 7마일, 3번 요트 5.3마일이다.
한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라면 속력은 각각 3노트, 7노트, 5.3노트가 된다.
이와 같이 조류와 해류로 인해 달라진 요트의 시간당 이동거리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된 것이 SOG 이다.
통상 보트 스피드하면 SOW를 말하며 줄여서 water speed라고 한다.
따라서 해류 및 조류의 영향을 받는 해상에서의 항해속도를 고려할 때는 단순히
water speed보다는 SOG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함을 알아야 한다.
통상 Speed Over the Ground (SOG)를 줄여서 ground speed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GPS 항해계기에는 SOG를 나타내 주는 기능이 있다.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지혜로운 내비게이션의 지름길이라고 생각된다.
[정리]
요트(보트)의 속도는 water speed (boat speed= SOW)와 ground speed (SOG)로
구분하여 이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