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
김유정
오늘도 또 우리 수탉이 막 쫓기었다. 내가 점심을 먹고 나무를 하러 갈 양으로 나올 때이었다. 산으로 올라서려니까 등뒤에서 푸드득 푸드득 하고 닭의 횃소리가 야단이다. 깜짝 놀라서 고개를 돌려 보니 아니나다르랴 두 놈이 또 얼리었다.
점순네 수탉(대강이가 크고 똑 오소리같이 실팍하게 생긴 놈)이 덩저리 작은 우리 수탉을 함부로 해내는 것이다. 그것도 그냥 해내는 것이 아니라 푸드득하고 면두를 쪼고 물러섰다가 좀 사이를 두고 푸드득하고 모가지를 쪼았다. 이렇게 멋을 부려 가며 여지없이 닦아 놓는다. 그러면 이 못생긴 것은 쪼일 적마다 주둥이로 땅을 받으며 그 비명이 킥, 킥, 할 뿐이다. 물론 미처 아물지도 않은 면두를 또 쪼이며 붉은 선혈은 뚝뚝 떨어진다. 이걸 가만히 내려다보자니 내 대강이가 터져서 피가 흐르는 것같이 두눈에서 불이 번쩍 난다. 대뜸 지게막대기를 메고 달려들어 점순네 닭을 후려칠까 하다가 생각을 고쳐먹고 헛매질로 떼어만 놓았다.
이번에도 점순이가 쌈을 붙여 놨을 것이다. 바짝바짝 내 기를 올리느라고 그랬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고놈의 계집애가 요새로 들어서 왜 나를 못 먹겠다고 고렇게 아르릉거리는지 모른다.나흘 전 감자 쪼간만 하더라도 나는 저에게 조금도 잘못한 것은 없다. 계집애가 나물을 캐러 가면 갔지 남 울타리 엮는 데 쌩이질을 하는 것은 다 뭐냐. 그것도 발소리를 죽여 가지고 등뒤로 살며시 와서,
"얘! 너 혼자만 일하니?"
하고 긴치 않는 수작을 하는 것이다.
어제까지도 저와 나는 이야기도 잘 않고 서로 만나도 본체만척체고 이렇게 점잖게 지내던 터이련만 오늘로 갑작스레 대견해졌음은 웬일인가. 항차 망아지만 한 계집애가 남 일하는 놈 보구…….
"그럼 혼자 하지 떼루 하듸?"
내가 이렇게 내배앝는 소리를 하니까,
"너 일하기 좋니?"
또는,
"한여름이나 되거든 하지 벌써 울타리를 하니?"
잔소리를 두루 늘어놓다가 남이 들을까 봐 손으로 입을 틀어막고는 그 속에서 깔깔댄다. 별로 우스울 것도 없는데 날씨가 풀리더니 이 놈의 계집애가 미쳤나 하고 의심하였다. 게다가 조금 뒤에는 제 집께를 할금할금 돌아보더니 행주치마의 속으로 꼈던 바른손을 뽑아서 나의 턱밑으로 불쑥 내미는 것이다. 언제 구웠는지 더운 김이 홱 끼치는 굵은 감자 세 개가 손에 뿌듯이 쥐였다.
"느 집엔 이거 없지?"
하고 생색있는 큰소리를 하고는 제가 준 것을 남이 알면은 큰일날 테니 여기서 얼른 먹어 버리란다. 그리고 또 하는 소리가,
"너 봄감자가 맛있단다."
"난 감자 안 먹는다. 너나 먹어라."
나는 고개도 돌리지 않고 일하던 손으로 그 감자를 도로 어깨 너머로 쑥 밀어 버렸다. (발단부) (중략)
"그래 그래 이젠 안 그럴 테야!"
"닭 죽은 건 염려 마라, 내 안 이를 테니."
그리고 뭣에 떠다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 채 그대로 퍽 쓰러진다. 그 바람에 나의 몸뚱이도 겹쳐서 쓰러지며,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 버렸다.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였다.
"너 말 마라!"
"그래!"
조금 있더니 요 아래서,
"점순아! 점순아! 이년이 바느질을 하다 말구 어딜 갔어?"
하고 어딜 갔다 온 듯싶은 그 어머니가 역정이 대단히 났다.
점순이가 겁을 잔뜩 집어먹고 꽃밑을 살금살금 기어서 산알로 내려간 다음 나는 바위를 끼고 엉금엉금 기어서 산위로 치빼지 않을 수 없었다.
◱ 내용정리
갈래 : 단편소설, 토속적 농민소설
배경 : 1930년대 봄, 강원도 산골의 농촌 마을
성격 : 향토적, 해학적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문체 : 간결체, 사투리를 사용한 토속적 문체
어조 : 해학적 어조
표현 : 과장과 익살이 넘치는 토속적 어휘 구사. 간결한 대화. 현재와 과거가 교차되는 표현.
의의 : 판소리 미학의 현대적 계승
주제 : 산골 젊은 남녀의 순박한 사랑.
인물 :
"나"- 소작인의 아들로, 우직하고 순박한 청년. 점순의 구애를 이해 못함.
점순 - 마름[地主]의 딸로 깜찍스럽고 조숙한 처녀. 적극적, 개성적, 동적(動的)인 인물.
구성 :
① 발단 - 닭싸움으로 나의 기를 자꾸 올리는 점순
② 전개 - 나흘 전, 감자를 준 호의를 거절당한 점순이가 "나"의 닭을 더욱 학대함.
③ 위기 - 닭에게 고추장을 먹여 싸우게 했으나 소용없음.
④ 절정 - 빈사 지경이 된 닭을 보고 화가 나서 점순네 닭을 때려 죽임.
⑤ 결말 - 점순이가 닭 사건을 봐 주기로 하여 함께 동백꽃 속에 넘어져 파묻힘.
줄거리
내가 점심을 먹고 나무를 하러 갈 양으로 산으로 올라서려는데, 점순네 수탉이 아직 상처가 아물지도 않은 우리 닭을 다시 쪼아서 선혈이 낭자했다. 나는 작대기를 들고 헛매질을 하여 떼어 놓았다. 나흘 전에 점순이는 울타리 엮는 내 등뒤로 와서 더운 김이 홱 끼치는 감자를 내밀었다. 나는 그녀의 손을 밀어 버렸다. 이상한 낌새에 뒤를 돌아본 나는, 쌔근쌔근 하고 독이 오른 그녀가 나를 쳐다보다가 나중에는 눈물까지 흘리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다음날 점순이는 자기 집 봉당에 홀로 걸터앉아 우리 집 씨암탉을 붙들어 놓고 때리고 있었다. 점순이는 사람들이 없으면 수탉을 몰고 와서 우리 집 수탉과 싸움을 붙였다. 하루는 나도 우리 집 수탉에게 고추장을 먹이고 용을 쓸 때까지 기다려서 점순네 닭과 싸움을 붙였다. 그 보람으로 우리 닭은 발톱으로 점순네 닭의 눈을 후볐다. 그러나 점순네 닭이 한번 쪼인 앙갚음으로 우리 닭을 쪼인다. 점순이가 싸움을 붙일 것을 안 나는 우리 닭을 잡아다가 가두고 나무하러 갔다. 소나무 삭정이를 따면서 나는 고년의 목쟁이를 돌려 놓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점순이가 바윗돌 틈에 소복이 깔아 놓고 앉아서 닭싸움을 보며 청승맞게 호드기를 불고 있다. 약이 오른 나는 지게 막대기로 점순네 큰 수탉을 때려 죽였다. 그러자 점순이가 눈을 홉뜨고 내게 달려든다. 다음부터는 그러지 않겠느냐고 다짐하는 점순이에게 그러마고 약속한다. 노란 동백꽃 속에 함께 파묻힌 나는 점순이의 향긋한 냄새에 정신이 아찔해진다. 이때 점순이는 어머니가 부르자 겁을 먹고 꽃 밑을 살금살금 기어서 내려가고 나는 산으로 내뺀다
동백꽃
점순이가 요즘 들어 닭싸움을 시키며 나를 약올리느라 애를 쓴다. 나흘 전에 점순이가 내게 감자를 갖다 줬는데 안 받아 먹어서 화가 났기 때문이다. 점순네는 마름이고 우리는 소작인이라 우리는 항상 굽신거린다. 그래서 점순이가 우리 닭을 막 패 주다가 집어던지고 욕지거리를 퍼부어도, 나는 대거리 한 번 못 했다. 그러다가 나도 다른 대응책으로 우리 닭에게 고추장을 먹여 점순네 닭과 싸움을 붙여 보기도 했지만 닭만 죽일 뻔했다. 그런데 오늘 다시 점순이가 우리 닭과 자기네 닭을 싸움 붙여 놓자 나는 화가 나서 지게 지팡이로 점순네 닭을 패 죽여 버렸다. 점순이가 화를 내며 달려들고 나는 어쩔 줄 모르고 눈물만 글썽이며 있는데, 점순이가 다시는 그러지 말라며 타이르다 언뜻 쓰러지며 나를 안고 넘어져 버렸다. 점순이는 나를 감싸 주기로 거듭 약속을 하는데, 점순이 어머니가 점순이를 부르자 점순이는 산 아래로 내려가고, 나는 산 위로 기어서 달아났다.
작품 해제
작자 김유정(金裕貞)
갈래 단편 소설, 순수 소설, 농촌 소설
문체 간결체
성격 해학적, 토속적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1930년대 봄(시간). 강원도 어느 산골 마을(공간)
주제 산골 마을 젊은 남녀의 순수한 사랑
출전 <조광(朝光). 1936>
등장 인물
나 소작인의 아들. 순박하고 천진하며 감수성이 둔함. 어리숙하고 우직한 인물
점순이 마름의 딸. 성적으로 조숙하며 깜찍스럽고 영악한 인물. 활달하며 도전적임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산골 마을을 배경으로 삼고 닭싸움을 매개로 하여 남녀의 미묘한 감정의 흐름을 해학적으로 그려냈을 뿐만 아니라, 토속성이 물씬 풍기는 우수한 토착어를 사용하여 향토적 서정성을 짙게 풍기고 있다. "동백꽃"이라는 제목이 암시하는 대로 자연의 원색이 넘치는 배경 속에서 펼쳐지는 순수한 사랑의 전개가 김유정 특유의 해학적 관점과 따스한 인간관으로 인해 더욱 돋보이는 소설이다.
이 작품을 소작인과 마름이라는 사회 계층간의 갈등으로 보는 관점도 있으나, 사춘기의 소년, 소녀의 순박한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보는 것이 더 좋을 듯 하다.
"닭싸움"의 기능
이 작품에서 닭싸움은 나와 점순이의 갈등을 매개하는 동시에,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즉 점순이는 나에 대한 애정 표현을 거절당하자 닭싸움을 통해 관심을 끌고자 하고, 나는 점순이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채 닭싸움에서의 승리를 목표로 한다. 그러다가 점순네 닭의 죽음을 계기로 극적인 화해가 이루어진다.
"동백꽃"의 시간 구조
이 작품은 닭싸움을 계기로 해서 갈등이 심화, 고조되고, 또 그것으로 해서 화해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시간적으로 볼 때, 사건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현재와 과거를 역전시키는 구성상 특질을 보인다. 곧 "현재-과거-현재"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닭싸움을 매개로 한 갈등 구조를 중심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발단에 해당하는 소설 서두 부분은 작품의 갈등이 무엇인지를 현재 시점에서 제시하는데 그친다. 그리고는 다시 과거로 돌아가 정작 그 갈등이 어떻게 발단되었고 심화되어 갔는지를 보여 주며, 다시 현재로 돌아와 갈등이 정점에 이르렀다가 화해의 대단원으로 종결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