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피적 척추 성형술,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통증 완화 효과
낮아...
환자 180명 12개월 추적관찰 결과, 위약 대조군과 큰 차이
없어
척추체에 골시멘트를
주입해 골절부위를 안정시키는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Vertebroplasty)이 골다공증 통증 완화에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틸버그 대학 Jolanda de Vries 교수는 “급성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 환자의 통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 180명을 대상으로 한 위약 대조군 연구 결과,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이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5월 9일자 BMJ 학술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척추체 성형술은 골절된 뼈에 특수 시멘트를
주입해 골절을 안정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시술의 이점, 위험성, 비용 효율성과 관련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그 논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연구진들은
척추 성형술을 받은 환자와 대조군으로 국소 마취 주사를 받았지만 뼈 시멘트를 투여하지 않은 환자를 설정해 통증 완화 정도를 서로
비교했다.
연구에는 50세 이상의 성인 180명이
참여했으며, 최대 9주까지 1~3 가지의 고통스러운 척추 압박 골절을 겪은 환자였다. 참가자는 무작위로 척추 성형술군(91명) 또는
대조군(89명)에 배정됐다.
1차 평가 지표로는 수술 후 1일, 1주,
1, 3, 6, 12개월의 통증 완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이 이뤄졌다. 2차 평가 지표로는 12개월 동안 환자의 삶의 질과 무력감을
측정했다.
통증은 ‘시각적 통증 평가 척도(VAS)’을
사용해 0(통증 없음)~10(심한 통증) 범위로 측정했다. 유의한 통증 완화에 대해서는 VAS 점수가 1.5점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1차 평가에서 그룹 간 VAS 점수의
평균적인 차이는
기저치에서 0.20 (95% CI
–0.53~0.94), 1일 –0.43 (-1.17~0.31),
일주일에 –0.11 (-0.85~0.63),
한 달에 0.41 (-0.33~1.15),
3개월 째는 0.21
(-0.54~0.96),
6개월 째는 0.39
(-0.37~1.15),
12개월 째는 0.45
(-0.37~1.24)로 나타나,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차 평가에서 최종 측정 시점(12개월)에서
두 군 간 평균적인 통증 완화 점수는
척추 성형술군(골시멘트군)이 7.71(95%
CI 5.87~9.55),
대조군이 7.47(95% CI
5.56~9.38)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척추 성형술군(골시멘트군)에서
호흡부전과 혈관미주신경반응 등 두 개의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
Jolanda 교수는 “급성 골다공증 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경피적 척추 성형술은 대조군과 비교해 통증 완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면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기간이 6~9주 미만인 환자에게는 특히 적용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비교대상인
치료 받지 않은 대조군 표본 수와 다른 증상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는 지 확인하는 일반화 가능성의 확인이 부족했다”면서 “더 큰 환자군과 더 긴
추적 관찰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