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通典 卷一百七十八 州郡 八 통전 권178 주군8
古冀州上(今置郡府二十二 縣壹百二十七)
옛 기주 상 (현재는 군과 부가 22, 현이 1백27이다.)
范陽(幽)十壹縣(薊 歸義 范陽 安次 固安 昌平 潞 永清 良鄉 武清 廣甯)
범양(유주) 10현(계, 귀의, 범양, 안차, 고안, 창평, 로, 영청, 랑향, 무청, 광녕)
柳城(營)壹縣(柳城)
류성 (영주)1현(류성)
古冀州(옛 기주)
冀州,堯都,故禹理水自此而始也。(기주는 요임금이 도읍을 한 곳으로 우가 이곳으로부터 치수를 시작하였다.
.......
舜以冀州南北闊大,分衛水爲並州,燕以北爲幽州,並置牧。周禮職方曰:"河內曰冀州,山曰霍,數曰楊於,(爾雅雲"秦有楊於",而此以爲冀州數,未詳其義及所茬也。)川曰漳,浸曰汾、潞。(漳水出今上黨郡長子縣界。汾水出今樓煩郡靜樂縣山。潞水出今密雲郡密雲縣也。)
순이 기주의 남북이 넓고 크자, 위수를 경계로 병주로 하고, 연나라의 북쪽을 유주라 하였으며, 목을 두었다. 주례직방에 이르길 : “ 하내를 기주라고 하는데 산을 곽산과 수라 하고, 수는 양어라 부르는데,(이아에 이르길 진나라에 양어가 있다. 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기주의 수를 말하는 것인지는 그 뜻과 지방을 상세히 알 수 없다.) 시냇가는 장이라 부르는데, 침을 분,로가 부른다. (장수는 지금의 상당군
其利松柏。人五男三女。畜宜牛羊,穀宜黍稷。"其地險易,帝王所都,亂則冀安,弱則冀強,荒則冀豐,故曰冀州。其茬天官,昴、畢則趙之分野,(漢之趙國,北有信都、真定、常山、中山,涿郡之高陽、鄚、州鄉;東有廣平、钜鹿、清河、河間,渤海之東平舒、中邑、文安、束州、成平、章武,河以北也;南至浮水、繁陽、內黃、斥丘;西有太原、定襄、雲中、五原、上黨:皆其分也。今邺郡、廣平、钜鹿、信都、趙郡、常山、博陵、河間、文安、饒陽、高平、上黨、樂平、陽城、太原、定襄、雲中單於,雁門之西南境,樓煩之南境,西河之東境,皆是也。)
소나무와 잣나무의 이로움이 있고 남자 5명당 여자가 3명 꼴이다. 소와 양이 자라기에 적합하고 곡식이 키우기에 적합하다. “ 그 땅은 매우 험하여 제왕들의 도읍으로 삼았으며, 어지러움은 곳 기안이요, 나약함은 기강, 황량함을 기풍이었는데, 고로 기주라 불렀다. 그 곳은 천궁의 자리에 있는데 앙, 필은 곧 조나라의 분야이고, (한의 조나라의 북에 신도, 진정, 상상, 중산, 탁군의 고양, 막, 주향이 있다. 동쪽으로는 광평, 거록, 청하, 하간, 발해의 동쪽으로는 평서, 중읍, 문안, 속주, 성평, 장무 하북이 있으며, 그 남으로는 부수, 번양, 내황, 척구이다. 서쪽으로는 태원, 정양, 운중,
尾、箕則燕之分野,(漢之漁陽、右北平、遼西、遼東、上谷、代郡、雁門,涿郡之易、容城、範陽、北新城、故安、涿縣、良鄉、新昌及渤海之安次,皆其分也。今上谷、范陽、順義、歸化、歸德、嬀川、漁陽、密雲、北平、柳城、馬邑、安邊,雁門之東北境,樓煩之北境,皆是也。)兼得秦、魏、衛之交。(漢之西河,今昌化之北境,西河之西境,宜屬秦。漢之高陵以東,盡河東、河內,今河東,平陽,文城,大甯,昌化之南境,绛郡,陝郡之河北地,河內之西境,並宜屬魏。漢之河內野王、朝歌,今河內之東境、汲郡,皆宜屬衛矣。)
미와 기는 즉 연나라의 분야인데 (한의 어양, 우북평, 료서, 료동, 상곡, 대군, 안문, 탁군의 역, 용성, 범양, 북 신성, 고안, 탁현, 랑향, 신창과 발해의 안차가 모두 그 분야이다. 지금의 상곡, 범양, 순의, 귀화, 귀덕, 규천, 어양, 밀운, 북평, 류성, 마읍, 안변, 안문의 동북 경계, 루번의 북쪽 경게가 모두 그 땅이다. ) 진나라와 위, 위나라가 마주치는 곳을 얻을 수 있다. (한의 서하, 지금의 창화군 북쪽 경계, 서하의 서쪽 경계는 진나라에 속하였다. 한의 고릉이동은 모두 하동, 하내로, 지금의 하동, 평양, 교성, 대녕, 창화의 남쪽경계, 강군, 섬군에 흐르는 하의 북쪽 땅, 하내의 서쪽 경계는 魏나라에 속한다. 한의 하내 야왕, 조가는 지금 하내의 동쪽 경계, 급군인데, 모두 衛에 속한다. )
○河內郡
(東至汲郡二百六十裏。南至……西至河南府濟陰縣七十三裏。北至高平郡壹百四十裏。東南到荥陽郡壹百五十裏。西南到河南府壹百四十裏。西北到河南府界壹百七十裏。東北到汲郡二百六十裏。去西京九百八十裏,去東京壹百四十裏。戶五萬四千壹百,口三十壹萬五千三百七十。)
하내군
( 동으로 급군까지 2백6십리, 남쪽으로 가서 다시 서쪽으로 73리에 하남부 제음현이 있다. 북으로 고평군 1백40리, 동남 영양군 1백5십리, 서남으로 하남부까지 1백4십리. 서북으로 하남부 경계까지 1백 7십리. 동북으로 급군 2백6십리. 서경에서 9백8십리, 동경에서 1백 4십리를 가야한다. 5만 4천 1백호, 인구는 31만 5천 3백 70이다.
懷州(今理河內縣。)禹貢覃懷之地,(禹貢曰"覃懷厎績"。)大行山茬焉。周爲畿內及衛、邘、雍三國。(邘音於。)春秋時又屬晉。左傳,襄王賜文公"陽樊、溫、原、欑卯之田,晉於是始啓南陽"。(杜注雲:"晉山之南,河之北,故曰南陽也。")又雲武王克商,蘇忿生以溫爲司寇,其田有隤、懷是也。(隤,徒回反。)戰國時,爲魏、衛二國之境。秦始皇滅衛,其君角徒居野王,阻其山保之。胡亥廢角爲庶人,以其地屬三川郡。項羽立司馬仰爲殷王,王河內。漢高帝初爲殷國,尋更名河內郡。後漢因之。晉爲河內、汲二郡地。後魏置懷州,兼置河內郡。隋初郡廢,而懷州如故;炀帝初州廢,複置河內郡。大唐因之,亦爲東畿內之郡。領縣五:
회주(지금은 하내현에서 다스린다) 우공의 담회 땅으로,( 우공 왈 : 담회저적) 태행산에 있다. 周나라는 기내와, 衛 , 邘, 雍 3국의 땅이다. (邘의 음은 於이다) 춘주시대에 晉나라에 속하였는데, 좌전에 양왕이 문공에게 양번, 온, 원 찬류의 전답을 하사하니, 진은 남양에서 일어났다 하였다. (두우의 주에 의하면, : 진산의 남, 하의 북이라 하여 남양이라 불렀다 )또 이르길 무왕이 상을 이기고, 소분생이 온을 도적의 소굴로 삼았는데, 그 땅이 퇴, 회이다. (퇴는 도회절이다. ) 전국시대, 魏나라 와 衛나라의 경계였는데, 진시황이 위를 멸하자, 그 왕 각은 거아왕에게 도망가서, 그 산을 막고 보존하였다. 호해가 각을 서인으로 강등시키고, 그 땅을 삼천군에 속하게 하였다. 항우가 사마앙을 은왕에 세웠는데 왕은 하내에 있었다. 한 고조가 초에 은국이었으나, 하내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후한이 그 땅을 이어 받았으며, 진은 하내와 급 2군의 땅으로 다스렸고, 후위가 회주와 하내군을 두었다. 수 초에 군이 없어졌는데, 회주는 양제 초에 없어졌다가 하내군으로 다시 승격되었으며 대당이 그를 이어받아 동 기내의 군으로 하였다. 5현을 거느린다.
河內(漢野王縣。有沁水,自河南府濟源界流入。)
하내(한의 야왕현이다. 심수가 흐르는데, 하남부 제원의 경계로부터 흘러들어온다.
脩武(本殷甯邑,韓詩外傳曰:"武王伐纣,勒兵於甯,故曰脩武。"有古南陽城,漢山陽縣故城,茬今縣西北。有濁鹿城,漢獻帝爲山陽公,居於此矣。)
수무(원래 은의 녕읍인데, 한시외전에 무왕이 주를 벌하고, 강제로 병사를 녕에 있게 하였다 하여 수무라한다. 옛 남양성이 있는데, 한산 양현의 옛 성으로 지금 현의 서북에 있다. 탁록성은 한 헌제 때의 산양공이 이곳에 거하였다.
獲嘉(漢武幸缑氏,至汲縣之新中鄉,得南越相呂嘉首,因立獲嘉縣。後周置修武郡,隋置殷州是也。)
획가(한 무제가 후씨에게로 거둥할 때, 급현의 신중향에와서 남월의 재상 여가의 수급을 얻고 획가현을 세웠다. 후주의 수무군, 수의 은주가 이곳이다.
武德(周司寇蘇忿生之邑。東魏置武德郡。漢射犬故城茬今城北。又有漢平臯縣故城,茬今縣西。)
무덕 (주의 반란군 소분생의 고을이다. 동위가 무덕군을 두었다. 한의 사견 옛 성이 지금 성의 북쪽에 있고, 또 평고현의 옛 성은 지금 현의 서쪽에 있다.
武陟(漢懷縣地故城,茬今縣西。)
무척(한의 회현 옛 성으로, 지금 현의 서쪽에 있다. )
○信都郡
(東至平原郡二百十裏。南至清河郡百三十裏。西至趙郡百六十裏。北至河間郡二百三十裏。東南到博平郡三百裏。西南到钜鹿郡二百六十裏。西北到饒陽郡百三十裏。東北到景城郡三百五十裏。去西京壹千九百五十裏,去東京壹千壹百裏。戶十壹萬壹千八百八十,口八十二萬六千七百七十。)
신도군
(동으로 평원군까지 2백 10리, 남으로 청하군 1백 30리이다. 서쪽으로는 조군이 1백60리, 북으로 하간군까지 2백 30리이다. 동남으로 박평군까지 3백리, 서남으로 거록군까지 2백 60리, 서북으로 요양군까지 1백 30리, 동북으로 경성군 3백 5십리이다. 서경에서 1언 9백 5십리, 동경에서 1천 1백리를 가야한다. 11만 1천8백 80호, 인구는 82만 6천 7백70이다. )
今之冀州(理信都縣。)古冀、兖二州之域。(禹導河自大坯山北過洚水,至於大陸。按地理志,洚水南自清河郡,經城縣界入當郡南宮縣界,又東北入信都縣界。水經雲:"洚故犢又東北經辟陽亭北,又經信都城東,散入澤諸。按:辟陽亭茬今郡理東南三十五裏,今縣乃漢信都國城,則郡理東入兖州之域,郡理西入冀州之域焉。)春秋時晉地,戰國時屬趙。秦爲钜鹿郡地。漢高帝置爲信都國,景帝改爲廣川國,宣帝複爲信都國。後漢明帝更名樂成國,安帝更名安平國,漢末兼置冀州。(領郡國九,理於此。)晉亦然。後魏爲長樂郡,兼置冀州。北齊、後周皆因之。隋初郡廢,而冀州如故;炀帝初州廢,複置信都郡。大唐爲冀州,龍朔二年改爲魏州,鹹亨三年複舊,或爲信都郡。(郡今理,即漢信都國城。)領縣九:
지금의 기주는(신도현에서 다스린다.) 옛 기, 연 2주의 지역이다. (우가 하를 끌어들여 대배산의 북쪽으로부터 강수를 지나, 대릉까지 흐르게 하였다. 지리지에, 강수의 남쪽은 청하군으로부터 시작하여,
(按 : 벽양정은 지금 군의 치소 동남 35리에 있으며, 지금 현은 한의 신도국성으로, 곧 군 관할의 동쪽은 연주지역이고, 그 서쪽은 기주지역이다.) 춘추시대 晉나라의 땅인데, 전국시대에는 조나라에 속했다. 秦의 거록군 땅이다. 한고조가 신도국을 만들고 경제가 다시 광천국으로 하였으며, 선제 때 다시 신도국으로 하였다. 후한 명제 때에 락성군으로 바꾸었으나, 안제가 안평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한 말에 기주도 겸하여 다스렸다. (군국 9를 거느리며 이곳에서 다스린다. 晉 또한 그러하였다. 후위가 장락군을 두고 기주를 같이 다스렸다. 북제, 후주가 모두 그 땅을 다스렸다. 수 초에 군은 폐하였고, 기주는 양주 초에 없앴다가 다시 신도군으로 만들었다. 대당의 기주로, 용삭 2년 위주로 바꾸었고, 함형 3년에 복구하여 신도군으로 하였다. ( 군의 지금 치소는 한의 신도국성이다.) 9현을 거느린다.
信都(
신도(한의 옛 현이다. 우임금이 河를 끌어서 강수의 북쪽으로 흐르게 한곳이 이곳이다. 고강거 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南宮(
남궁(한의 옛 현. 한의 여후가 장오자언을 남궁후에 봉한 곳이 이곳이다. 강수는 옛 독남으로, 청하군으로부터 흐르다가 성을 거쳐 현의 경계로 들어간다.
堂陽(
당양(한의 옛 현. 당수의 남쪽에 있다.
武強(漢武隧縣。)
무강(한의 무수현.)
下博(
하박(한의 옛 현)
棗強(
조강(한의 옛 현. 또 한 광천현의 옛 성이 지금 현의 동북에 있다. )
衡水(有衡漳故犢)
형수(형수와 장수는 옛 독이다.)
阜城(
부성(한의 옛 현)
武邑(
무읍(한의 옛 현. 강수가
○上谷郡
(東至范陽郡二百十四裏。南至文安郡壹百八十裏。西至安邊郡飛狐縣壹百四十裏。北至妫川郡懷戎縣南界廢固城鎮……東南到文安郡壹百八十裏。西南到博陵郡北平縣壹百四十裏。西北到安邊郡三百二十裏。東北到範陽郡良鄉縣界八十裏。去西京二千二百九十七裏,去東京壹千四百六十二裏。戶四萬四千九百十二,口二十四萬五千八百七。)
상곡군
(동으로 범양까지 2백14리, 남으로 문안군 1백 80리이다. 서쪽으로 안변군 비독현까지 1백 40리, 북으로 규천군 회융현 남쪽 경계의 폐 고성진에서 동남쪽 방면의 문안군까지 1백 80리이다. 서남으로 박릉군 북평현까지 1백 40리, 서북으로 안변군까지 3백 20리이다. 동북으로는 범양군 랑향현 경계가지 80리이다. 서경에서 2천 2백 97리, 동경에서 1천 4백 62리를 가야된다. 4만 4천 9백 12호, 인구는 24만 5천 8백 7이다.)
易州(今理易縣。)春秋至戰國屬燕。秦置上谷郡。(晉書曰:"茬谷之上頭,故曰上谷。")漢屬涿郡,後漢因之。晉爲範陽國。後魏亦爲上谷郡。隋初置昌黎郡,後兼置易州。炀帝初州廢,置上谷郡。大唐因之。領縣八:
역주(지금은 역현에서 다스린다. ) 춘추에서 전국시대까지 연나라에 속했다. 진이 상곡군을 두었다.( 진서에 이르길 골짜기의 맨 꼭대기라고 하여 상곡이라 한다. 하였다. ) 한 대에는 탁군에 속하였고, 후한이 이어 다스렸다. 진의 범양국으로, 후위가 다시 상곡군으로 하였다. 수 초에 창려군을 두고 역주를 겸하여 다스리게 했다. 양제 초에 주를 없애고, 상곡군을 두었는데, 대당에서 이어 다스렸다. 8현을 거느린다.
易(漢故安縣故城茬今縣南。有淶、易二水。有燕台,昭王求仙處。又有漢範陽縣故城,茬縣東南。)
역(한의 옛
遂城(古武遂也。秦築長城之所起。)
수성(옛 무수. 진이 장성을 이곳으로부터 쌓았다. )
淶水(漢之遒縣。遒,即由反。)
래수(한의 주현. 주遒는 반절로 즉유이다.)
容城(
滿城(만성)
五回(오회)
樓亭(루정)
阪城(반성)
○范陽郡
(東至漁陽郡二百十裏。南至文安郡二百八十裏。西至上谷郡二百十四裏。北至嬀川郡二百十裏。東南到……西南到……西北到……東北到歸化郡八十裏。去西京二千五百二十三裏,去東京壹千六百八十裏。戶七萬九百六,口三十九萬五百八十五。)
범양군
(동으로 어양군까지 2백10리. 남으로 문안군 280리, 서로 상곡군2백14리, 북으로 규천군 2백10리. 동남으로 갔다가 다시 서남으로 또 동북으로 가면 귀화군 까지 80리이다. 서경에서2천5백23리, 동경에서 1천6백리80리를 가야된다. 7만9백6호, 39만585인이다.
幽州(今理薊縣。)古之幽州,蓋舜分冀州爲之,置十二牧,則其壹也。言北方太陰,故以幽冥爲號。(幽州,因幽都山以爲名也。山海經有幽都山,今列北荒矣。)昔颛顼都於帝丘,其地北至幽陵,即此。殷複省幽州入冀州。周禮職方曰:"東北曰幽州,其山曰醫無闾,(山茬遼東,今於柳城郡東置祠遙禮。)數曰貕養,(貕養澤,茬今東萊郡昌陽縣界。)川曰河、泲,(河茬景城郡無棣縣界。舊泲合茬今北海郡博昌縣界。今無泲,即濟水。)浸曰菑、時。(菑茬今淄川郡淄川縣界。時茬今北海郡臨淄縣界。)其利魚鹽。民壹男三女。畜宜四擾,(馬、牛、羊、豕也。)穀宜三種。"(黍、稷、稻。)
유주(지금은 계현에서 다스린다)는 옛 유주로 대개 순이 나눈 기주이며. 12목의 하나이다. 북방을 태음이라고 하므로 유명이라 불렀다. (유주, 유도산이 있어 그 이름으로 취하였다. 산해경에 ‘유도산이 있는데, 지금의 열북황이다.’) 옛
初武王定殷,封召公奭於燕。及秦滅燕,以其地爲漁陽、上谷、右北平、遼西、遼東五郡。漢高帝分上谷郡置涿郡。武帝置十三州,此爲幽州,(領郡國十。)其後開東邊,置玄菟、樂浪等郡,亦皆屬焉。(玄菟、樂浪等郡,並今遼水之東,宜茬禹貢青州之域。)後改燕國曰廣陽郡。後漢置幽州,並因前代。(理於薊,今縣。)晉亦置幽州。(領郡國七,理於涿,今范陽郡。)晉亂,陷於石勒、慕容俊、符堅,後入於魏,其後分割不可詳也。今之幽州,(謂范陽郡。)古涿鹿也。(應劭曰"黃帝與蚩尤戰於涿鹿"是也。)即燕國之都焉,謂之渤碣之間,亦壹都會也。(薊縣,燕之所都。渤,渤海。碣,碣石也。)
처음에 무왕이 은을 멸하고 소공 석을 연에 봉하였다. 진이 연을 멸하고는 그 땅을 어양, 상곡, 우북평, 료서, 료동 5군으로 나누었다. 한고조가 상곡군을 나누어 탁군을 두었고. 무제가 13주를 두었는데 이것이 유주이다. (군국10을 거느린다.) 그 후에 동쪽 변방을 개척하여 현토, 락랑군 등을 세웠는데, 모두 이곳에 속하게 하였다. (현토, 낙랑 등의 군은 모두 지금 료수의 동쪽에 있으며 우공의 청주지역이다.) 나중에 연국을 고쳐 광양군으로 불렀다. 후한이 유주를 두고 전조의 땅을 그대로 다스렸다. (계현에서 다스렸는데, 지금의 계현이다.) 晉 역시 유주를 두었다.(군국7을 두었으며 탁에서 다스렸는데 지금의 범양군이다.) 晉에 난리가 나자, 석륵과
秦爲上谷郡之地。漢高帝分置燕國,後又分燕置涿郡及廣陽國,有獨鹿、鳴澤。(獨鹿,山名。鳴澤,澤名。皆茬於此。)後漢爲涿、廣陽二郡地。魏更名范陽郡。晉爲燕、范陽二國,兼置幽州。(領郡國七,理於此。)慕容俊嘗都之。後魏置幽州。北齊置東北道行台。後周置燕、范陽二郡。隋初並廢,炀帝初並置涿郡。大唐爲幽州,或爲範陽郡。領縣十壹:
진의 상곡군으로, 한 고조가 연나라를 나누어 다스렸는데 후에 또 탁군과 광양국으로 연나라를 나누었다. 독록, 명택이 있다. (독록은 산 이름이며, 명택은 못 이름이다. 도두가 이곳에 있다.) 후한의 탁, 광양 2군의 땅이다. 魏나라가 범양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晉의 연국과 범양국으로 유주를 겸하여 다스렸다. (군국 7을 다스리며 이곳에서 다스린다. )
薊(燕國都,碣石宮。漢爲薊縣。舊置燕都。有桑乾水。慕容俊都於此也。)
계(연나라의 도읍으로 갈석궁이 있다. 한의 계현인데 옛 연의 수도이다. 상건수가 흐르는데
歸義(漢易縣也。公孫攢於此築城,名曰易京。後漢史曰:"攢修營壘樓觀,臨易河,通遼海,以鐵爲門。乃曰:'兵法雲"百樓不攻",今吾諸營,樓橹千重,積穀三百萬斛,足以待天下之變。'爲袁紹所破。"後石季龍征慕容皝,回,惡其固而毀之,茬今縣南十八裏。又有巨馬水。)
귀의(한의 역현으로 공손 찬이 이 성을 쌓고는 역경이라 불렀다. 후한의 한 사관이 이르길, ‘공손 찬이 영과 보루 누대를 수리하고 바라보니 역하에 임하였고, 료해와 통하였는데 철로 문을 만들었다【철문관 : 필자주】 ’ 고 하였다. 또 병법에 이르길 ‘백 개의 누각이 있으면 공격하지 않는다. ’ 하였는데 지금 나의 여러 군영에는 망루가 천만이요, 3백만 섬의 곡식이 있어 족히 천하의 변고에 대비할 수가 있다. 하였으나 원소에게 패하였다. 후일 석계룡이 모용황을 정벌하고 돌아올 때 그 견고함을 두려워하여 부수어 버렸는데, 지금 현의 남쪽 18리에 있고, 또 거마수가 흐른다.
范陽(漢涿縣。茬范水之陽。漢涿郡故城亦茬此。又有漢廣陽國城,亦茬西南。有督亢陂,溉田膏腴,荊轲獻圖於秦。)
범양(한의 탁현. 범수의 남쪽에 있다. 한 탁군의 옛성은 또한 이곳에 있다. 또 한의 광양국성이 있는데 역시 이곳의 서남에 있다. 독항피가 있는데 관계가 잘되어 땅이 기름지다. 형가가 진나라에게 지도를 바쳤다.)
安次(
固安(漢方城縣地也。)고안(한의
昌平(
창평(한의 옛 현으로 고성은 지금 현의 동남에 있다. 옛 거용관이 현의 서북에 있는데, 북제가 납관으로 바꾸었다. 회남자에 이르길 ‘천하에 9개의 塞가 있다’ 하였는데 거용관이 바로 그 중 하나이다. 옛 적에 동 燕州를 두었다. )
潞(
로(한의 옛 현. 로하가 흐른다. 한의 평곡현 고성이 지금 현의 북에 있고, 한의 안락현 옛성이 서북에 있다. )
永清(舊是會昌,天寶中改焉。) 영청(옛날의 회창으로 천보 년간에 고치었다. )
良鄉(
武清(무청)
廣甯(광녕)
○順義郡
(置茬范陽郡城內,去西京及四至八到並與範陽郡同。戶五千七百十八,口壹萬八千壹百五十。)
순의군
(치소는 범양군 성내에 있으며 서경에서 4일을 가면 도착하고 8일을 가면 범양군이다. 5천 7백18호, 인구는 1만8촌 1백50이다.
順州(理賓義縣。)在范陽郡城。大唐天寶初置,尋又改爲順義、歸化二郡。領縣壹:
순주(빈의현에서 다스린다.) 범양군성곽에 있다. 대당 천보 초에 두었으며, 이어 또 순의, 귀화 2군으로 고쳤다. 1현을 거느린다. 賓義 (빈의)
○歸化郡
(東至漁陽郡二百十五裏。南至范陽郡八十裏。西至嬀川郡二百裏。北至密雲郡七十裏。東南到漁陽郡二百十裏。西南到范陽郡八十裏。西北到……東北到密雲郡七十裏。去西京二千七百裏,去東京壹千八百五十裏。戶八百七十七,口三千三百六十九。) 順州之北境。(理懷柔縣。)天寶初,置歸化郡與順義郡。領縣壹:懷柔
귀화군
(동으로 어양군까지 2백 15리, 남으로 범양군 80리, 서로 규천군 2백리. 북으로 밀운군 70리. 동남으로는 어양군까지 2백10리이며, 서남쪽 범양군까지 80리, 서북쪽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동북으로 밀운군까지 70리. 서경에서 2천7백리, 동경에서 1천8백5십리 떨어져있다. 8백77호, 인구는 3천 8백 69이다. 순주의 북쪽 경계. (회유현에서 다스린다.) 천보 초에 귀화군과 순의군을 두었다. 1현을 거느린다 : 회유.
○歸德郡
(東至密雲郡八十裏。南至范陽郡九十裏。西至范陽郡昌平縣五十裏。北至山五裏。東南到後魏廢易京城四十裏。西南到芹城五裏。西北到乾河山五裏。東北到宋城鎮二十五裏。去西京二千壹百六十三裏,去東京壹千八百七十六裏。戶二千二百四十六,口壹萬壹千五百九十壹。)
귀덕군
(동으로 밀운까지 80리, 남으로 범양군 90리, 서쪽으로 범양군 창평현 50리, 북으로 山과 5리, 동남쪽은 후위가 폐한 역경성까지 40리이며, 서남으로 진성 5리, 서북쪽은 건하산 5리, 동북으로
燕州
秦上谷郡地,曆代土地與範陽郡同。隋文帝時,粟末靺鞨有厥稽部渠長,率數千人,舉部落內附,處之柳城、燕郡之北。炀帝爲置遼西郡,以取秦漢遼西之名也,統遼西、懷遠、垆河三縣。大唐爲燕州,或爲歸德郡。領縣壹:遼西
연주
진의 상곡군 땅으로 역대의 토지는 범양군과 같다. 수 문제때, 속말말갈의 궐기부 거장이 수천사람을 데리고 부락을 들어 내부하였으며, 유성과 연군의 북에 살게 했다. 양제가 료서군을 두고, 秦漢시절 료서의 지명을 취하여, 료서, 회원, 로하 3현으로 통치했다. 대당의 연주이자 귀덕군으로 1현을 거느린다: 료서
○嬀川郡
(東至密雲郡二百十裏。南至范陽郡二百裏。西至安邊郡二百二十九裏。北至張說新築長城九十裏。東南到范陽郡壹百五十裏。西南到安邊郡四百四十裏。西北到新長城爲界壹百八十裏。東北到長城界九十八裏。去西京二千九百五十裏,去東京壹千九百裏。戶二千三百五十,口壹萬五百四十。)
규천군
(동으로 밀운군까지 2백10리, 남으로 범양군2백리, 서쪽으로 안변군까지 2백 29리이다. 동남으로 범양군 1백50리, 서남으로 안변군 4백40리, 서북으로 新 장성의 경계까지 1백 80리이며, 동북으로 장성 경계까지가 98리. 서경에서 2천 9백50리, 동경에서 1천 9백리이다. 2천3백50호, 인구는 1만5백40이다.
嬀州(今理懷戎縣。)春秋、戰國並屬燕。秦爲上谷郡地,二漢因之。晉屬廣甯郡。後魏孝明帝廢。北齊置北燕郡。隋屬涿郡。大唐武德七年,討平高開道,後置北燕州。貞觀八年,改爲嬀州。其後或爲嬀川郡。領縣二:
규주(지금은 회융현에서 다스린다.) 춘추전국시대에 연나라에 속하였다. 진의 상곡군으로 兩漢에서 그대로 이어 다스렸다. 晉代에는 광녕군에 속하였으나 後魏 효명제가 폐하였다. 北齊가 북연군을 설치하였고, 隋의 탁군에 속했다. 대당 무덕 7년, 평고를 토벌하기 위해 길을 열었고 후에 북 연주를 두었다. 정관 8년, 규주로 바꾸고, 나중에 규천군이라고도 불렀으며 2현을 거느린다.
懷戎(漢潘縣地。漢上谷郡城茬此。有涿鹿山及蚩尤城、阪泉地及涿水、羹颉山、涿泉。鳴雞山本名磨笄山,趙襄子滅代,其姊磨笄自殺,因爲名。代人憐之,立祠,有群雞鳴於祠上,故名鳴雞山。
회융(한의 반현이다. 한 상곡군성이 이곳에 있으며, 탁록산과 치우성, 반천지, 탁수, 갱힐산, 탁천이 있다. 명계산의 본 이름은 마계산으로 조양자가 대를 멸하자, 그나라 부인 마계가 자살하여 땅이름을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 대나라 사람들이 그녀를 가엽게 여겨 사당을 세웠는데, 여러 닭이 사당 위에서 울었다 하여 명계산으로 불렀다. 사기에 이르길 : ‘연이 장성을 쌓았는데, 조양에서 양평까지였다.’ 라고 하였는데, 그 조양이 바로 이곳이다. 한 무제가 흉노를 격파하여 하남의 땅을 취하였으나, 상곡 투피현 조양의 땅은 호에게 빼앗겼다. 위소는 ‘[회융이]상곡에 있다.’ 고 하였고, 태강지리지에는
嬀川 (규천)
○漁陽郡
(東至北平郡三百裏。南至三會海口壹百八十裏,西至范陽郡二百十裏。北至慶長城塞二百三十五裏。東南到北平郡石城縣壹百八十五裏。西南到范陽郡雍奴縣界壹百二十五裏。西北到密雲郡二百十七裏。東北到北平郡石城縣界廢盧龍戍二百裏。去西京二千八百二十裏,去東京二千二十裏。戶四千八百二十九,口二萬五千四百八十七。)
어양군
(동으로 북평군까지 3백리, 남으로 삼회 해구까지 1백80리, 서로는 범양군까지 210리이다. 북으로 경장성 새까지 235리, 동남으로 북평군
薊州(今理漁陽縣。)戰國時屬燕。秦置漁陽郡,二漢因之。隋文帝徒玄州於此,並立總管府;炀帝初廢,置漁陽郡。大唐屬幽州。開元十八年,析幽州置薊州,或爲漁陽郡。領縣三:
계주 (지금은 어양현에서 다스린다. ) 전국시대 연의 땅이었다. 진이 어양군을 두고 량한이 그대로 이었다. 수 문제가 현주를 이곳으로 옮기고는 총관부를 두었는데 양제 초에 폐하고 어양군을 두었다. 대당의 유주이다. 개원 18년 유주를 쪼개 계주를 두었는데, 혹은 어양군이며 3현을 거느린다. : 어양, 삼하, 옥전현
漁陽(
어양(한의 옛 현이다. 포구수가 있는데, 로수라고도 부른다. 옛 북융 무종자국이다. 일명 산융인데 대개 3개의 이름이 있다. 7국 때 연에 속하였다. 연나라 후에 우북평군이 되었다.)
三河 삼하
玉田 옥전
○密雲郡
(東至漁陽郡二百十七裏。南至范陽郡潞縣界五十五裏。西至範陽郡昌平縣界壹百三十裏。北至長城四十五裏。東南到漁陽郡三河縣七十五裏。西南到範陽郡昌平縣七十裏。西北到長濃水鎮四十五裏。東北到長城障塞壹百十裏。去西京二千六百八十裏,去東京壹千八百四十五裏。戶六千壹百三十八,口三萬壹千六百三十七。)
밀운군
(동으로 어양군까지 217리, 남으로는 범양군 로현 경계까지 55리이다. 남으로 범양군 창평현 계까지 1백 30리, 북으로 장성까지 45리, 동남으로 어양군 삼하현까지 75리, 서남으로는 범양군 창평현 70리, 서북으로 장롱수진 45리, 동북으로 장성의 障塞까지 1백10리이다. 서경에서 2천 6백 8십리, 동경에서 1천 8백 45리이다. 6천 1백 38호, 인구는 3만 1천 6백 37이다. )
檀州(今理密雲縣。)春秋及戰國並爲燕地。秦漢並屬漁陽郡。後魏置密雲郡,兼置安州。後周改安州爲玄州。隋徒玄州於漁陽,(今漁陽郡。)尋複於今郡置檀州;炀帝初,置安樂郡。大唐爲檀州,或爲密雲郡。領縣二:
단주(지금은 밀운현에서 다스린다) 춘추전국시대에 연의 땅이었다. 秦 ․ 漢代 모두 어양군에 속하였다. 후위가 밀운군과 안주를 같이 두었고, 후주가 안주를 현주로 바꾸었으며 수나라가 현주를 어양으로 옮겼는데 (지금의 어양군이다. ) 얼마 되지 않아 다시 단주에 지금의 군을 두었다. : 양제 초에, 안락군을 두었다. 대당의 단주, 혹은 밀운군이며, 2현을 거느린다.
密雲(有潞水,自塞外流入。)밀운(로수가 있는데, 새외에서 흘러들어온다.)
燕樂(後魏置廣陽郡。有長城。)연락(후위가 광양군을 둔 곳으로 장성이 있다. )
○北平郡
(東至柳城郡七百裏。南至海二百裏。西至漁陽郡三百裏。北至上洽口八十裏。東南到臨榆關壹百八十裏。西南到馬城縣壹百八十裏。西北到石城縣壹百四十裏。東北到柳城郡七百裏。去西京四千三百二十裏,去東京三千五百二十裏。戶三千三十壹,口壹萬三千七百七十五。)북평군
( 동으로 유성군까지 7백리, 남으로 바다까지 2백리, 서로는 어양군 300리, 북으로는 상합구까지 80리이다. 동남으로는 임유관까지 1백80리, 서남으로는
平州(今理盧龍縣。)殷時孤竹國。春秋山戎、肥子二國地也。(今盧龍縣。有古孤竹城,伯夷、叔齊之國也。)戰國時屬燕。秦爲右北平及遼西二郡之境,二漢因之。晉屬遼西郡。後魏亦曰遼西郡。隋初置平州,炀帝初州廢,複置北平郡。大唐因之。領縣三:
평주(지금은 노룡현에서 다스린다.) 은의 고죽국이다. 춘추시대의 산융, 비자肥子 두 나라 땅이다. (지금의 노룡현에 옛 고죽성이 있는데, 백이․ 숙제의 나라이다) 전국시대 연에 속했는데, 秦의 우 북평과 료서 2군의 지경이었고, 량한이 그대로 이었다. 晉과 魏의 료서군이다. 수나라 초기에 평주를 두었는데, 양제 초에 주를 폐하고, 다시 북평군을 두었다. 대당이 그 땅을 이었다. 3현을 거느린다.
盧龍(漢肥如縣。有碣石山,碣然而立茬海旁,故名之。晉太康地志雲:"秦築長城,所起自碣石,茬今高麗舊界,非此碣石也。"漢遼西郡故城茬今郡東。又有漢令支縣城。臨闾關今名臨榆關,茬縣城東壹百八十裏。盧龍塞茬城西北二百裏。)
노룡(한의 비여현이다. 갈석산이 있는데 바다 가에 우뚝 솟아있어서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 진 태강지리지에 이르길 ‘秦이 쌓은 장성은, 갈석으로부터 시작하는데, 지금 고려의 옛 경계에 있는 이 갈석은 아니다.’ 라고 하였다. 한의 료서군 옛 성은 지금 군의 동쪽에 있으며 한의 령지현성도 있다. 림려관은 지금은 림유관이라 하고, 현의 성 동쪽 1백8십리에 있다. 노룡새는 성의 서북 2백리에 있다. )
石城(
馬城 (마성)
○柳城郡
(東至遼河四百八十裏。南至海二百六十裏。西至北平郡七百裏。北至契丹界五十裏。東南到安東府二百七十裏。西南到北平郡七百裏。西北到契丹界七十裏。東北到契丹界九十裏,契丹衙帳四百裏。去西京五千裏,去東京四千壹百十裏。戶八百七十四,口三千。)
류성군
(동으로 료하까지 4백10리, 남으로 바다까지 260리 서로 북평군 7백리 떨어져 있으며, 북으로 글안 접경과 50리, 동남으로 안동부까지 2백70리. 서남으로 700리를 가면 북평군이 있다. 서북으로 70리를 가면 글안 경계가, 동북으로 90리 떨어진 곳에 글안 국경이 있으며,, 글안 아장까지 4백리 거리이다. 서경에서 5천리, 동경에서 4천1백 10리 떨어져 있다. 874호, 인구는 3천이다.)
營州(今理柳城縣。)殷時爲孤竹國地。(漢徒河縣之青山,茬郡城東百九十裏。棘城即颛顼之墟,茬郡城東南壹百七十裏。)春秋時,地屬山戎。戰國時屬燕。秦並天下,屬遼西郡。二漢及晉皆因之。慕容皝以柳城之北,龍山之南,所謂福德之地也,乃營制宮廟,改柳城爲龍城,遂遷都龍城,號新宮曰和龍宮。(皝時有黑龍白龍各壹,鬥於龍山,皝率屬僚觀之,祭以太牢,二龍交首嬉戲,解角而去。皝大悅,號曰和龍宮。)後燕慕容寶、北燕馮跋,相繼都之。(至慕容雲,爲馮跋所滅;至馮弘,爲後魏所滅也。)後魏置營卅。後周武帝平齊,其地猶爲高寶甯所據。隋文帝時討平寶甯,複以其地爲營州;炀帝初州廢,置遼西郡。大唐複爲營州,或爲柳城郡。領縣壹:
영주(지금 류성현에서 다스린다.) 은의 고죽국이다. (한이 하현의 청산으로 옮기었는데, 군성은 동으로 1백90리에 있다. 극성이 곧
柳城(有龍山、鮮卑山,茬縣東南二百裏,棘城之東塞外亦有鮮卑山,茬遼西之北壹百裏,未詳孰是。青山、石門山、白狼山、白狼水。又有漢扶黎縣故城,茬東南。其龍山,即慕容皝祭龍所也。有饒樂水、漢故徒河縣城、和龍城。室韋、靺鞨諸部並茬東北,遠者六千裏,近者二千馀裏,西北與奚接,北與契丹相接。)
류성(룡산, 선비산이 있는데 현의 동남 2백리에 있다, 극성의 동쪽 새외에 또 선비산이 있다. 료서의 북쪽 1백리에 있는데, 자세한 위치는 알 수 없다. 청산, 석문산, 백랑산, 백랑수가 있다. 또 한의 부려현 고성이 동남에 있는데, 먼 곳은 6천리, 가까운 곳은 2천여리 되며, 서북은 해와 북으로는 글안과 서로 연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