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연보
1925 1월 18일 파리에서 엔지니어인 아버지와 가정주부인 어머니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에게는 다섯 살 맏인 형(Georges)이 있다.
아버지는 사회활동으로 크르와 드 푀(Croix-de-Feu) 모임에 가담하였다. 이 활동단체는 나중에 사회당에 흡수되었다.
1941 파리의 카르노 고등학교에서 공부하였다. 이때 미셸 뚜르니에를 자주 만났다.
1942-43 앙리4세 고등학교에서 파리 고등사범학교(ENS) 준비반에 들어가다.
1944(열아홉) 1944년 7월 2일 그의 형 조르쥬는 레지스탕스 활동으로 체포되었다. 형은 부헨발트(Buchenwald) 수용소로 이송 중에 사망했다. 들뢰즈는 영웅의 동생 « le frère du héros »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형의 사후, 어느 글에는 형의 서클에 동생이 참여했다고 한다.]
- 사르트르를 모방한 “Description de la femme: pour une philosophie d'autrui sexuée”를 출판했다.
1945(스물) 고등사범 준비1차반(hypokhâgne)과 준비반(khâgne)에 들어갔다. - 고등사범학교(ENS) 시험에 낙방했으나, 우수한 성적 덕분에 ‘교수자격시험을 위한 장학금’을 얻어서 파리 소르본 대학에 입학하였다. 교수들, 페르디낭 알키에(Ferdinand Alquié, 1906-1985), 모리스 드 강디악(Maurice de Gandillac, 1906-2006), 장 이폴리트(Jean Hyppolite 1907-1968), 조르주 캉길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 등에게서 배우다. 그리고 프랑수와 샤틀레(François Chatelet, 1925-1985), 미셀 뷔토르(Michel Butor, 1926-2016), 미셀 투르니에(Michel Tournier 1924-2016) 등을 만나다.
1946(스물하나) 「크리스트에서 부르주아지로(Du Christ à la bourgeoisie, 1946)」, Espace, 1946, pp. 93-106.
1947(스물둘) 대학을 졸업하다. 이폴리트와 캉길렘의 지도로 흄에 관한 논문을 제출하다. 이는 1953년 경험론과 주관성(Empirisme et subjectivité)이라는 제목으로 PUF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이 당시 캉길렘은 스트라스부르 대학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있다.]
- 교수 자격시험으로 벩송의 “물질과 기억”이 과제였는데 시험을 준비하였다. 당시 맑스주의 경향의 준비생들은 벩송 속에서 “spiritualiste poussiéreux”(먼지투성이 정신주의자)를 보았다. 그는 벩송을 제일 구도(평면)의 철학자(un philosophe de tout premier plan)라고 생각했다.고등사범 입학의 낙방 때문에, 구두시험을 걱정했으나, 샤뜰레가 용기를 주었고, 시험을 치렀다. - 8등으로 통과하였다.]
1948(스물셋) 교수자격 시험을 통과하다. 경제적 자치를 얻었다. 그가 공부한 주요 철학자는 플라톤, 말브랑쉬, 라이프니츠였다. 이때부터 라 포르텔 성(le château de La Fortelle)에서 마리-마들렌 다비(Marie-Madeleine Davy, 1903-1998)가 이끌었던 지식인과 작가들 모임(매달 마지막 토요일)에 드나들기 시작하였다. 거기서 들뢰즈는 라깡(Jaques Lacan, 1901-1981), 폴랑(Jean Paulhan, 1884-1968), 클로소프스키(Pierre Klossowski, 1905-2001)를 만났다.
1948-57 아미앙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여, 오를레앙, 파리 등에서 철학교수를 지내다.
1949(스물넷) 깡길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은 1949년 그에게 본능과 제도(Instinct et Institution)라는 작은 책의 방향을 제시했었다.
1952(스물일곱) 흄, 그의 삶, 그의 저작(Hume, sa vie, son oeuvre, avec un exposé de sa philosophie)을PUF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여기서 예술, 도덕, 종교를 주제로 하는 흄의 작품에 대한 성찰을 다루고 있다.
1953(스물여덟) 경험주의와 주관성(Empirisme et Subjectivité, 1953), PUF
1953 본능과 제도(Instincts et institutions)를 아셰뜨(Hachette) 출판사에서 출판하다. 이것은 깡길렘이 주관하는 총서에서 들뢰즈가 텍스트를 모아서 펴낸 책이다.
1954(스물아홉) 「이뽈리뜨: 논리와 현존(Hyppolite, Logique et existence」 [Book Review], Revue Philosophique de la France Et de l'Etranger 144:457 (1954)
1956(서른하나) 들뢰즈(Gilles Deleuze), "벩송에서 차이의 개념작업(La conception de la différence chez Bergson)" dans Les Etudes bergsoniennes 4, Paris, PUF, 1956, pp. 77-112.
1956 들뢰즈 “벩송” 항목 집필: 메를로-퐁티(Merleau-Ponty, 1908-1961)는 마즈노(Mazenot)사전의 출판의 기회에, 그에게 베르그송의 항목을 집필할 것을 권했다. [Gilles Deleuze, "Bergson" dans Les Philosophes célèbres, sous la direction de Merleau-Ponty, Paris, Mazenod, 1956. pp. 292-299 (457).]
1956(서른하나) 그랑주앙(Denise Paul « Fanny » Grandjouan, s.d.)과 결혼하다. 그녀는 영국 작가 D.H. 로렌스의 번역가이다. (1960년 아들 줄리앙, 1964년 딸 에밀리가 있다)
1957-60 파리 소르본 대학 철학사학과에서 조교를 지내다.
1957(서른둘) 들뢰즈의 베르그송: 기억과 생명(Bergson: Mémoire et Vie, 1957)(Textes choisis), PUF, 1957,
1959-1960 학기: 소르본 조교 였던 들뢰즈는 그 해 일 년 강의에서 루소의 정치철학을 강의 하였다.
1960(서른다섯) 아들 줄리앙(Julien Deleuze)이 태어나다. 줄리앙은 영어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1960-64 국립과학 연구소(CNRS)의 연구원을 지내다.
1961(서른여섯) 「루크레티우스와 자연주의(Lucrèce et le naturalisme, 1961)」 in Les etudes philosophique 1961 -> 「루크레티우스와 모방(Lucrèce et le simulacre」 1969
1962(서른일곱) 미셀 푸꼬(Michel Foucault, 1926-1984)와 함께 클레르몽페랑 대학의 학생운동에 가담하다.
1962 니체와 철학(Nietzsche et la philosophie, 1962)(PUF)을 출간하다. 푸꼬는 1983년 회고에서 들뢰즈와 평생 공유한 문제의식을 이렇게 정식화한다. “우리가 진정으로 니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962 들뢰즈, (루소 탄생 250주년 기념에서) 「카프카, 셀린, 뽕쥬의 선구자, 쟝-자끄 루소(Jean-Jacques Rousseau précurseur de Kafka, de Céline et de Ponge, 1962)」, in Arts, n. 872, 6-12 juin 1962.]
1963(서른여덟) 칸트의 비판철학(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PUF)을 출판하다. 칸트의 개념적 조작을 허위비판의 표본으로 삼아 체계적으로 분해하였다. 대학을 중심으로 공식적 지식제도에 속해 있던 들뢰즈가 이 책에서부터 비로소 창조적 철학자로서의 글쓰기에 대한 자의식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1963 들뢰즈 논문, 「아리아드네의 불가사의(Mystere d'Ariane)」 (on Nietzsche), in Bulletin de la Société francaise d'études nietzschéennes, (March 1963), 12—15,
1964(서른아홉) 리용 대학 철학부 전임강사(1964-1969)로 시작하다. 프루스트와 기호들(Proust et les signes, 1964)을 출간(PUF)하였다. 사유를 새로이 창조하는 작가 프루스트의 면모를 다루고 있다.
니체 7차 학술대회, 화요몽에서 7월 4일-8일. 발표 « Conclusions sur la volonté de puissance et l'éternel retour »
1964 에밀리(Emilie Deleuze 1964-) 태어나다. 프랑스 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1965(마흔) 니체(Nietzsche, 1965)(PUF)를 출판하였다. 여기서 니체의 텍스트를 발췌 편집하였다.
1965 「클로소프스키 또는 신체-언어(Klossowski ou les corps-langage」“”, in Critique, n°214, mars 1965. - 의미의 논리부록에 Phantasme et littérature moderne: III. Klossowski ou les corps-langage 로 실림.
1966(마흔하나) 베르그송주의(Le Bergsonisme, 1966)(PUF)를 출간하였다. 직관, 지속, 기억, 생명 등의 개념을 조명하면서, 베르그송의 보수주의자 정신주의자의 이미지를 떨쳐버렸다고 평가되는 책이다. 베르그송은 질료의 차원에서 발생을 중요시하는 합리적 경험주의자이다.
1966 「플라톤주의를 전복하다(Rverser le platonisme: Les simulacre, 1966)」(형이상학과도덕 지) -> 「플라톤과 모방(Platon et le simulacre 1969)」
1967(마흔둘) 「드라마화의 방법(La méthode de dramatisation)」, 프랑스 철학회(SFP; Société française de philosophie)에서 발표. Séance du 28 janvier 1967. Exposé: Gilles Deleuze / 토론 첨여자: F. Alquié, J. Beaufret, S. Breton, M. de Gandillac, J. Merleau-Ponty, N. Mouloud, A. Philonenko, L. Prenant, P.-M. Schuhl, M. Souriau, J. Ullmo, J. Wahl. - in 프랑스 철학회 회보(Bulletin de la Société française de philosophie: SFP), 61e année, n° 3, juillet-sept, 1967, pp. 89-118 출간. 그리고 「무인도와 다른 원문들(L'île déserte et autres textes, 2002)」, pp. 131-162에 재수록.
1967 푸꼬와 함께, 니체 비판전집(Kritische Gesamtausgabe) 불역본 총책임을 맡다.
1967 「(구조주의에 대한 인식)구조주의를 어떤 기준으로 재인식해야 할까?("A quoi reconnait-on le structualisme?」, dans La Philosophie au XXe siecle(v.8), Hachette, 1973.)
1967 자허-마조흐의 소개: 냉정함과 잔인함(Presentation de Sacher-Masoch: Le froid et le cruel, 1967)를 출판(Minuit)하다. - 또 1973년 10/18총서로 다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마조히즘은 사디즘의 반대라는 견해를 뒤엎는 글이다.
1967 「타인 이론(Une théorie d'autrui, Michel Tournier)」, Critique, 1967 ; -> IV. 「미셀 투르니에와 타인없는 세계(Michel Tournier et le monde sans autrui)」.
1967 Deleuze (G.), 「짐승 같은 인간 입문: 졸라(Introduction à La Bête Humaine), in Les Oeuvres complets d’Emile Zola, Paris, Dnoel, Vol 6, OC VI, 1967. pp. 13-21. -> V. 「졸라와 균열(Zola et la fêlure, 1969)」
1968(마흔셋) 박사학위 주 논문 차이와 반복(Différence et répétition, 1969)(PUF)을 발표하고, 학위 부논문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Spinoza et le problème de l'expression, 1969)(Minuit)를 출판하였다. 주 논문은 강디악이, 부 논문은 알끼에가 지도하였다.
1969(마흔넷) 의미의 논리(Logique du Sens, 1969)(Minuit)를 출판하다. 이것은 1973년 10/19총서에서 다시 출간되었다.
이해 미셀 푸코의 자리를 이어서 파리 8대학(Paris VIII-Vincinnes) 철학과 교수로 되었다. 이 대학에서 샤틀레, 리오타르(Jean François Lyotard 1924-1998),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 뱅상 데꽁브(Vincent Descombes 1943-) 등을 만난다.
또한 중요한 것은 공산주의자이며 정신과 의사인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 1930-1992)를 만났고, “탈영토화”의 개념을 형성하다. 이 둘은 안티외디푸스, 카프카, 리좀, 천개의 고원, 철학이란 무엇인가(1991)까지 같이 작업할 것이다.
1969 심한 폐질환으로 수술을 받았다.
1970(마흔다섯) 스피노자(Spinoza, 1970)를 출판(PUF)하였다.
____ 비평(Critique)지(誌)에 푸꼬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과 의미의 논리에 대한 서평을 실었다. 여기에 “아마도 언젠가는 들뢰즈의 세기가 올 것이다”라는 문구가 있다. - 나로서는 이 두 작품이 플라톤주의 전복으로 스토아주의를 부각시킨 것이기도 하며, 현존의 근원에서 아페이론(자연, 역능)의 실재성을 파악한 벩송에 영향으로 쓰여진 것으로 본다.
1971(마흔여섯) 푸꼬와 드페르(Daniel Defert)와 함께 GIP(Group d'information sur les prisons)을 창설하다. 이에 대해 들뢰즈의 회고에 따르면, 죄수들에게 말할 기회를 주는 것, 그들에게 외부 와 연락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 이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1972(마흔일곱) 그는 가타리와 더불어 안티 외디푸스(L'Anti-O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1972)(Minuit)를 출판하였다. 이 책은 서구 기독교의 삼위일체의 도식이 가족에 덧 씌여진 것을 비판하는 것이며, 이 비판을 통해 사회의 형태에 대한 비판을 한다. 새로운 사회는 자기 분신을 새로이 만드는 자들이 각 부분의 혁명을 통해 생성해 나갈 것이다.
___ 아르크(L'Arc)지에 들뢰즈 특집호가 나오다. 여기에 ‘지식인과 권력’에 대한 들뢰즈와 푸꼬의 대담이 있다.
「유목적 사유(Pensée Nomade, 1972)」,en juillet 1972 au Centre culturel international de Cerisy-la-Salle. le colloque « Nietzsche aujourd’hui »
1975(쉰) 가타리와 함께 쓴 카프카: 소수문학을 위하여(Kafka: Pour une littérature mineure, 1975)(Minuit)를 출판간다.
1976(쉰하나) 가타리와 함께 쓴 리좀(Rhizome, 1976)을 출간(Minuit)하다. 필연의 덩이, 질료의 덩이, 카오스모스의 덩이 즉 기억의 덩이로서 다양체는 리좀이다. 이 지하의 심층에는 여러 계열의 노마드가 있다. 이 노마드가 기억의 덩이로서 사회체이다. 생명체 즉 사회체의 분석은 천개의 고원을 형성하는 것이 이 덩이 속에 어떤 선들이다
1977(쉰둘) 클레르 파르네(Claire Parnet, s.d.)[1948?]와 함께 이야기한 대화(Dialogue)를 출판(Flammarion)하다.
- 안티 외디푸스 영어판, 서문을 푸꼬가 쓰다. “비-파시스트적인 삶으로 인도하는 안내서”, “프랑스에서 저술되어온 책들 중에 아주 오랜만에 나온 윤리학 서적”, “정치를 슬픈 정서(정념), 부정과 원한의 힘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책”
1977 11월(November 1977), 네그리 구속 반대 서명: L'Appel des intellectuels français contre la répression en Italie (The Call of French Intellectuals Against Repression in Italy)
1978(쉰셋) 테러리즘 문제와 철학 노선의 차이로 들뢰즈와 푸꼬가 결별하다.
1979(쉰넷) 중첩(Superposition, 1979)(avec Carmelo Bene, Minuit)을 출판하다. 베네(Carmelo Bene, 1937-2002)의 극작품 「리차드 3세(Richard III, 1977)」에 대한 분석이다.
1980(쉰다섯) 안티외디푸스의 자본주의 비판과 분열 분석을 이어서, 가타리와 함께 천개의 고원(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2, 1980)를 출판(Minuit)하다. 들뢰즈는 이탈리아 판 서문에서 “앞의 책이 출간 된 시기는 68운동의 영향 아래 있었지만, 뒤의 책은 천박한 향상의 침체와 무관심의 시기에 출간되었다” 썼다.
____ 『스피노자, 실천철학(Spinoza, philosophie pratique, 1980)』, Minuit
1981(쉰여섯) 프란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을 출간하다.
1983(쉰여덟) 영화에 관하여 영화1: 이미지-운동(Cinéma 1: L'image-mouvement)을 출판(Minuit)하다.
1984(쉰아홉) 푸꼬 죽음. 푸꼬가 죽기 전에 둘은 만나지 못했다. 들뢰즈는 추도사를 낭독했다.
1985(예순) 영화 2: 이미지-시간(Cinéma 2: L'image-temps)를 출간하다.
1986(예순하나) 푸꼬(Foucault)를 출간(Minuit)하다. [푸꼬(1926-1984) 사후 2년이 지나], 새로운 시각으로 푸꼬를 조명한 연구서이다. 들뢰즈는 이 책을 “내가 필요했기 때문에, 또 푸꼬에 대한 존경 때문에”썼다고 했다.
[1986년 리오타르 정년퇴임. 이때쯤일까? 리요타르(1924-1998)와 들뢰즈(1925-1995)는 낭시(Nancy, 1940-)와 라꾸-라바르뜨(Lacoue-Labarthe, 1940-)에게 8대학의 자리를 제안했다고 한다. 이 둘은 학문의 탈영토화를 위해 스트라스부르에 머물기로 했다고 한다.]
1987(예순둘) 파리 8대학 철학과 교수 정년퇴임하다.
키메라(La revue Chimères)지, 이 잡지는 분열분석 잡지이다. 연간 2회 출간, 들뢰즈와 카타리가 1987년 창간하다.
1988(예순셋)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Le pli, Leibniz et le baroque), 페리클레스와 베르디, 프랑스와 샤틀레의 철학(Périclès et Verdi, La philosophie de François Châtelet)을출간(Minuit)하다.
1988 「기호들과 사건들(Signes et événements, 1988)」, in Magazine Littérairen°257 Sept 1988
1988 「주체에 관한 질문의 답변(Réponse àune question sur le sujet, 1988)」- 영어로 발표, 원문 상실, 불어로 재 번역본. / A philosophical concept‥…, in Topoï, sept. 1988. pp. 111-112. Julien Deleuze 번역으로 영어로 발표.
1989 「바틀비(Bartleby, ou la formule, 1989)」. Postface, à Melville, Bartleby, Flammarion, 1989.
1990(예순여섯) 담판(Pourparlers, 1990)을 출판(Minuit)하다.
1991(예순일곱) 가타리와 마지막이 공저가 된 철학이란 무엇인가?(Qu'est-ce que la philosophie?, 1991)를 출간(Minuit)하다.
1992 플라톤과 그리스인들(Platon, Les Grecs) : 원래 발표 “Remarques(주의)”, Barbara Cassin, ed., Nos Grecs et leurs modernes(우리의 그리스인들과 그들의 현대인들), Seuil, 1992, pp. 249-250.(2쪽) 1993년에 “Platon, Les Grecs”. Critique et clinique, Minuit, 1993, pp. 170-171. 으로 실린다.
1992(예순여덟) 가타리 사망하다.
1993(예순아홉) 마지막 저서 비평과 임상의학(Critique et Clinique)를 출간(Minuit)하다.
1995(일흔하나) 들뢰즈는 「내재성: 생명…(L’Immanence: une vie…)」을 철학지에 기고하다. 이는 「집합과 다양체(Ensembles et multiplicités)」의 기획물의 첫째 꼭지라 한다.
1995 1993년 이래 오랜 병의 고통으로 11월 4일 아파트에서 자살하다. 1995년 11월 4일
1996 유고 「현실적인 것과 잠재적인 것(L’actuel et le virtuel)」: 「집합과 다양체(Ensembles et multiplicités)」의 기획물./ 그는 1947년 교수자격시험에서 벩송의 사상의 기본이 제1평면이라 생각했고, 생을 마감하지 전에도 같은 생각으로 내재성의 평면 즉 온생명을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53MMI)
(41RKE, 42LKF, 43NMJ) (5:13, 52VKH) (6:10, 52VMG)(6:25, 53ULF)
*
1996 부땅(Pierre-André Boutang), L'Abécédaire de Gilles Deleuze
1996 Dialogues, avec Gilles Deleuze, Paris, Flammarion, 1977; nouvelle édition augmentée d'un texte inédit de G. Deleuze, « L'actuel et le virtuel », « Champs », 1996(재판).
2002 삭막한 섬과 다른 원문들(L'île déserte et autres textes: Textes et entretiens 1953-1974, Broché – 25 janvier 2002. par David Lapoujade, Minuit, (2002) P.416.
2003 Claire Parnet avec Richard Pinhas(réalisation), 라이프니츠: 영혼과 고뇌(천벌)(Leibniz: âme et damnation), conférence de Gilles Deleuze, Gallimard, « À voix haute », 2003. Contient 2 CD audio. Durée d'écoute : 112 mn 32 s.
2003 광인의 두 체제: 1975-1995년 사이 본문들과 대화들(Deux régimes de fous. Textes et entretiens 1975-1995), édition préparée par David Lapoujade,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coll. « Paradoxe », 2003.
2004 질 들뢰즈의 초보(입문)(L'Abécédaire de Gilles Deleuze, de Pierre-André Boutang, entretiens avec Claire Parnet), Éditions Montparnasse, 2004.
(5:22, 52ULA) (6:14, 52VMG) (6:29, 53MMI)
* 연구자 및 연구 관련자******** 단행본의 경우 굵은 글씨이다.
495 페리클레스(Pericles, Περικλῆς, 전495-429) 고대 그리스 아테나이의 정치가, 웅변가, 장군. 그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사이에 아테네의 지도자로서 아테네의 황금시대를 열었다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넓은, 어깨 폭이 넓은";기원전 427년-기원전 347년)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이다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했다.
99 루크레티우스(Titus Lucretius Carus, 기원전 99-기원전 55) 고대 로마의 시인, 철학자.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De rerum natura)》
O
1266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 프란체스코파, 스코틀랜드의 스콜라 철학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민한 박사'(Doctor Subtilis). 주요작품, 'Opus oxoniense'와 'Opus parisiense' 2부로 구성된 명제집 주석서가 있다.
1632 스피노자(Baruch Spinoza, lat. Benedictus de Spinoza, 1632-1677)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포르투갈계 유대인 혈통의 철학자이다.[1]
1646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독일 철학자, 수학자. 그의 책은 라틴어(~40%), 프랑스어(~30%), 독일어(~15%)로 되어 있다.
1711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철학자, 경제학자, 역사가.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739년),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1779년)
1724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현재로는 폴란드보다 더 동쪽에 있는 쾨니히스베르그 출신의 프러시아 공화국의 철학자이다. 인간의 표상적 인식의 조건을 규정하고, 도덕적 이성의 신에게 종속을 요청하고, 미적으로 신의 작업의 숭고함에 경건하게 기도하는 듯이 긍정한 프로테스탄트 철학을 구성하였다.
1770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 프랑스 혁명에서 인민의 자유를 너머 멀리서 바라보면서 인간의 정신이 신의 인격에 이를 것으로 만든 또 하나의 토마스 주의자로 철학을 하였다. 그는 프러시아 통일의 영광을 만들기 위하여 루터파 교리에 맞추어 신의 절대성을 강조한 근대판 교부 철학자이다.
1813 주세페 베르디(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1901) 이탈리아의 작곡가, 주로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1836 자허마조흐(Leopold Ritter von Sacher-Masoch, 1836-1895) 오스트리아의 귀족으로 작가, 언론인. 평생 픽션 및 논픽션을 저술하며 사회주의자와 인본주의자들이 이상향으로 제시한 것들을 옹호했고, 유토피아에 대해 연구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1840 에밀 졸라(Émile François Zola, 1840-1902) 프랑스의 소설가, 비평가, 저술가.
1844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 독일 문헌학자, 철학자. 서구의 오랜 전통을 깨고 새로운 가치를 세우고자 했기 때문에 '망치를 든 철학자'라는 별명이 있다.
1859 베르그송* (Henri Bergson, 1859-1941) 유태인 출신의 프랑스 본성내재주의 철학자. 훗설과 달리 현상보다 강도성의 근원에 대한 탐문을 철학의 주요 관심으로 보았다. 그는 철학의 방식은 (내재적) 체험의 정확성과 문제 제기에 있다고 보았다.
1871 프루스트(Marcel Proust, 1871-192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1913-1928)를 쓴 프랑스의 소설가. 이 소설은 1,000매를 넘는 대작으로 3인칭 수법으로 저술되어 있다. 장 상퇴유(Jean Santeuil, 1952), 생트 뵈브에 반대하여(Contre Sainte-Beuve, 1954)
1891 게루(Martial Gueroult1, 1891-1976) 프랑스 철학자. 철학사가. 스피노자: 신(Spinoza: Dieu (Éthique, livre I) , 1968
1883 카프카(Franz Kafka, 1883-192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유대계 소설가. 현재 체코의 수도인 프라하(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에서 유대인 부모의 장남으로 태어나 독일어를 쓰는 프라하 유대인 사회 속에서 성장했다.
1896 아르토(Antonin Artaud 1896-1948), 프랑스 작가, Le Théâtre et son Double 1938에서 잔혹극(théâtre de la cruauté)의 개념을 발명한 자이다.
1902 뤼이에(Raymond Ruyer, 1902-1987) 프랑스 철학자 ENS 출신, 사이버네틱전공자. Éléments de psycho-biologie, 1946). 의식의 역설과 자동주의의 한계(Paradoxes de la conscience et limites de l'automatisme (Albin Michel, 1960 puis 1966)
1903 다비(Marie-Madeleine Davy, 1903-1998) 프랑스 여성 역사가 철학자. 소르본 대학에서 질송의 제자이다. 1941년 (카톨릭)신학으로 박사학위. 또한 프로테스탄트 신학으로 또 철학으로 박사. 생띠에리(Guillaume de Saint-Thierry, 1085-1148) 전공자[시토파 수도자이며, 신비가. 성 베르나르 친구이다.]
1904 조르주 캉길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 프랑스철학자, 의사, 인식론자, 과학사가, ENS네 문학으로 입학하여 철학으로 교수자격을 통과. Essai sur quelques problèmes concernant le normal et le pathologique(1943, 의학박사논문), / 깡길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은 1949년 그에게 『본능과 제도(Instinct et Institution)』라는 작은 책의 방향을 제시했었다.
1906 알끼에(Ferdinand Alquié, 1906-1985) 카톨릭과 왕당파 가정 출신, 프랑스 철학자, 소르본 교수, 그의 일기에 의하면, 다섯 살에 성정체성의 혼란을 느꼈으며, 나중에 자연주의자 되었다고 한다(카톨릭은 버리지 않은 것 같다). 들뢰즈가 배울 때는 주로 데카르트 강의를 한 것 같다. 나중에 스피노자 강의(Nature et vérité dans la philosophie de Spinoza, Les Cours de Sorbonne, CDU, 1965)가 있으나 합리주의로 본 것 같다.
1906 강디약(Maurice de Gandillac, 1906-2006) 프랑스 철학자, 철학사가. 소르본 교수. 들뢰즈 지도교수. Le Siècle traversé. Souvenirs de neuf décennies, Albin Michel, Paris, 1998
1907 장 이폴리트(Jean Hyppolite 1907-1968), 들뢰즈가 헌정할 정도로 존경하는 스승이다.
1908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 프랑스 철학. Éloge de la philosophie(leçon inaugurale faite au Collège de France, le jeudi 15 janvier 1953, NRF, Gallimard, 1953) 영혼과 신체의 통합(L’Union de l’âme et du corps, chez Malebranche, Biran et Bergson, 1968)
1909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아일랜드 태생 영국 화가. 대담성과 소박함, 강렬함과 원초적인 감정을 담은 화풍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24 시몽동(Gilbert Simondon, 1924-1989) 프랑스 철학자. L'individu et sa genèse physico-biologique, 1964, L'individuation psychique et collective, 1989
1924 미셀 투르니에(Michel Tournier 1924- ) 프랑스 소설가.
1924 리요타르(Jean-François Lyotard, 1924-1998), 파리 8대학에서 들뢰즈와 같이 근무.
1925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프랑스 철학자. 형이상학과 인식론에서 심층, 표면, 상층, 제도 속에서 토지, 국가(제국), 자본으로 위상을 규명하다.
1925 프랑수아 샤틀레(François Châtelet, 1925-1985) 철학과 정치 철학에 관련된 프랑스의 역사가이자 소크라테스 전통의 교수였다.
1926 푸꼬(Paul-Michel Foucault, 1926–1984), 프랑스 철학자. 푸코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미의 논리』를 묶어 ‘철학극장(Theatrum Philosophicum)(Critique, no 282. novembre 1970, pp. 885-908)’이라는 제목의 서평을 썼다. 거기에서 첫 문단 끝에 “언젠가 20세기는 들뢰즈의 세기로 기억될 것이다(Mais un jour, peut-être, le siècle sera deleuzien.”였다.
1930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 1930-1992) 프랑스 정신과의사. 공산주의자 들뢰즈와 함께 안티외디푸스, 카프카, 리좀, 천개의 고원, 철학이란 무엇인가(1991)까지 같이 작업하였다.
1931 루이스 볼프슨(Louis Wolfson, 1931-) 프랑스어로 글 쓰는 미국 작가. 분열증과 언어들(Le Schizo et les langues 1970)
1933 네그리(Antonio "Toni" Negri, 1933-) 이탈리아 맑스주의자, 사회학자, 정치철학자. Empire, 2000(with Michael Hardt), Multitude: War and Democracy in the Age of Empire, 2004(with Michael Hardt), / Gilles Deleuze, Lettre ouverte aux juges de Negri, text n°20 in Deux régimes de fous, Mille et une nuits, 2003 (transl. of Lettera aperta ai giudici di Negri published in La Repubblica on 10 May 1979); Ce livre est littéralement une preuve d'innocence, text n°21 (op.cit.), originally published in Le Matin de Paris on 13 December 1979
1936 폴락(Jean-Claude Polack, 1936-) 프랑스 정신과 의사, 정신분석학자. 가타리 영향을 많이 받음, 들뢰즈와 가타리가 창간한 키메라(La revue Chimères)의 현 편집장, 발행인.
1937 부땅(Pierre-André Boutang, 1937-2008) 기록영화 및 영화감독, [기록영상: L'Abécédaire de Gilles Deleuze 1996/ L'Abécédaire de Gilles Deleuze, de Pierre-André Boutang, entretiens avec Claire Parnet, Éditions Montparnasse, 2004.]
1937 까르멜로 베네(Carmelo Pompilio Realino Antonio Bene, 1937–2002) 이탈리아 배우, 시인,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 (avec Deleuze) "중첩(Superpositions)". 1977 : - Richard III d'après Shakespeare à l'Opéra-comique.
1943 슐레즈(Philippe Soulez, 1943-1994) 프랑스 철학자, 철학박사(Université Paris IV-Sorbonne, 1987), 파리 8대학 교수
1944 뒤몽셀(Jean-Claude Dumoncel, 1944-), 철학으로 국가박사. 수학자이며 철학자. /『의미의 논리(1969)』(Logique du sens, 1969)의 평자, dans Les Oeuvres II, Dictionnaire, PUF, 1992, p.3156. 저술로 Jean-Claude Dumoncel, Le jeu de Wittgenstein. Essai sur la mathesis universalis, 1991 La philosophie telle quelle: Suivie de Conversation apocryphe entre Bergson et Russell, 2005.
1945 께리앙(Anne Querrien, 1945-) 프랑스 사회학자, 도시설계자. « Deleuze/Guattari : histoire d'une rencontre », Magazine littéraire, no 406, février 2002.
1946 르세르끌(Jean-Jacques Lecercle, 1946-), ENS. 8대학교수, 영문학과 언어학 전공, Deleuze and Language, 2002
1949 슈미드(Anne-Françoise Schmid. 1949-) 로잔느 태생, 철학자, 인식론 전공.『차이와 반복(1969)』(Différence et répétition, 1968) 해제를 썼다. dans Les Oeuvres II, Dictionnaire, PUF, 1992, p.3155-3156.
? ? 클레르 파르네(Claire Parnet, s.d.) 들뢰즈 제자, 여성, 신문기자. 1977년 대화(Dialogue)를 출판(Flammarion)하다. L'Abécédaire de Gilles Deleuze, 1988
1950 도스(François Dosse, 1950-), 프랑스 역사가, 인식론자, 지성사 전공. Gilles Deleuze et Félix Guattari, biographie croisée, Paris, La Découverte, 2007. / “Les engagements politiques de Gilles Deleuze” in Cités, <Deleuze Politique>, 2009/4 (n° 40) Pages 21-37.
1951 피나스(Richard Pinhas, (pseudonyme occasionnel : Richard Dunn), 1951-) 프랑스 기타리스트, 들뢰즈 수강자. 산업음악 선구자. Les Larmes de Nietzsche : Deleuze et la musique, préface de Maurice G. Dantec, Paris, Flammarion, 2001 / 영화제작. Avec Claire Parnet (réal.), Leibniz : âme et damnation, conférence de Gilles Deleuze, Gallimard, « À voix haute », 2003. / Avec Claire Parnet (réal.), Gilles Deleuze, cinéma, coffret 6 CD, Gallimard, « À voix haute », 2006..
1952 마누엘 데란다(Manuel De Landa, 1952-) 멕시코-미국 저술가, 1975년부터 뉴욕에 살았던 멕시코 계 미국인 작가, 예술가, 철학자. 도시의 이해에있어서의 자기 조직화와 물질문화의 중요성에 중점을 둔 역사적 행위자로서의 도시 역사와 역동성을 다룬다. War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 1991, Intensive Science and Virtual Philosophy. 2002, Deleuze: History and Science. 2010.
1956 마수미(Brian Massumi, 1956-) 카나다 철학자, 사회이론가. 천개의 고원(영역자) A User's Guide to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Deviations from Deleuze and Guattari (MIT Press, 1992)
1958 베르노(André Bernold, 1958-)가 쓴 “수이다스(Suidas)”(Philosophie, no 47, septembre 1995, pp 8-9)에서 그 시작 문장은 “들뢰즈, 철학자, 디오게네스와 히파티아의 아들이다”라 한다. 또한 들뢰즈를 “혈거인(troglodyte)”[은둔지사]이라 한다. 들뢰즈가 학문 바깥을 기웃거리지 않고 연구실에서 연구만 했다는 의미이다. 우리나라에서 소은(素隱) 박홍규(朴洪奎, 1919-1994) 선생님도 혈거인이라 할 수 있다. (52VLB)
1960 하트(Michael Hardt, 1960-) 미국 문학비평, 정치이론가. Gilles Deleuze: an Apprenticeship in Philosophy, 1993, Empire, 2000(with Antonio Negri), Multitude: War and Democracy in the Age of Empire, 2004(with Antonio Negri),
1961 소브냐르그(Anne Sauvagnargues, 1961-) 프랑스 여성철학자. 들뢰즈 전문가. 화가 삽화가. / avec YUE Dai-yun(樂黛雲, 낙대운, 1931-) 중국 여성, 미국 옌칭연구소 /
1964 라푸자드(David Lapoujade, 1964-) 프랑스 철학자, 파리1대학 교수. 들뢰즈: 돌출적 운동들(Deleuze, les mouvements aberrants, 2014) / 「William James. Empirisme et pragmatisme, 1997」 「Puissances du temps. Versions de Bergson, 2010.」
1997 안토니오 네그리, 「천(千)의 고원에 대하여」, 탈주의 공간을 위하여, 서울 사회과학연구소편, 푸른숲, 1997, 361-384쪽을 참조
2001 니체의 눈물: 들뢰즈와 음악(Les Larmes de Nietzsche: Deleuze et la musique(préface de Maurice G. Dantec, Paris, Flammarion, 2001) - 피나스(Richard Pinhas, 가명 Richard Dunn, 1951-). 그는 기타연주자, 신디사이저연주자. 작곡가, 산업음악가.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1972년에 스키조 그룹을 형성했다가 해체하고, 그리고 8대학의 들뢰즈의 강의를 들었다. « Le rapport entre la schizoanalyse et la science-fiction », sous la direction du philosophe Jean-François Lyotard.
2005 베르노(André Bernold, 1958-)의 Deleuze épars[어수선한 들뢰즈], Textes recueillis par André Bernold et Richard Pinhas Hermann (éditions), 2005. [핀하스(Richard Pinhas (pseudonyme occasionnel : Richard Dunn, 1951-) 기타연주자, 신디사이저연주자. 작곡가, 산업음악가.
2016 내가 보기에 푸꼬는 천재(여우)이며, 들뢰즈는 장닭이다.
- [그(들뢰즈)는 스스로가 전쟁기계였다.(51UNA)] [가타리가 가로지르기를 행했다면, 들뢰는 다리 건너기(le pont)를 행했다.] (52VMG)]
**
1956 조정환(曺貞煥, 1956-) 정치철학자. 개념무기들: 들뢰즈 실천철학의 행동학, 2020
1958 김현수(金賢洙, 1958-), 석사, 프랑스사 전공, 들뢰즈, 비평과 진단 문학 삶 그리고 철학, 인간사랑, 2000.
1958 윤정임(1958-) 연세대 불어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 파리 10대학 문학박사. <De la preface a la critique litteraire: Saint Genet, comedien et martyr(서문에서 문학 비평으로: 사르트르의 [성 주네], 1991, 파리10대학, Michel Autrand.> / 들뢰즈/가타리, 철학이란 무엇인가(현대미학사, 1999)
1959 이정우(1959-) 서울대 섬유고분자학사 「미셸 푸코의 담론 공간 개념과 주체의 문제(Le concept de l'espace du discours et le probleme du sujet」(1994, 02) 시뮬라크르의 시대 들뢰즈와 사건의 철학(1999)
1959 김승숙(金勝淑, 1959-) 신라대, 부산대석사, 부산외대 박사 <소수의 시학-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사유양식, 2007, 정형철.>
1960 박찬국(朴贊國, 1960-) 서울대 교수.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 읽기. 2012
1961 장시기(張時基, 1961-2017) 동국대 영문학 교수. 노자와 들뢰즈의 노마돌로지(2005)
1963 박정태(1963-), 서울대 철학과 강사.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미학사, 2007), <들뢰즈 존재론의 내재적인 교차의 방법(La methode d'entrecroisement immanent dans l'ontologie de Deleuze), 2006, 파리8대학, 알랭바디우AlainBadiou>
1963 김연환(1963-) [비공개] <들뢰즈의 감각작용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베이컨의 회화를 중심으로, 2019, 홍익대, 하선규.>
1964 박영욱(朴永煜, 1964-) 숙명여대교수, <칸트 철학에서의 '선험적 연역'의 문제, 고려대, 1996, 최동희.> 데리다&들뢰즈: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2009(김영사)
1968 조성훈(趙成勳, 1968-) 중앙대 학석, 고대대 박사. <들뢰즈(G. Deleuze)의 증후미학: 잠재적 시간과 창조적 삶에 관한 연구. 고려대, 2008, 조규형>
1969 서동욱(徐東煜, 1969-) 서강대 교수. 박사논문 <익명성, 주체성, 타자성: 들뢰즈와 프랑스 현상학자들 사이의 논쟁(Anonymity, Subjectivity, Alterity: Deleuze in Debate with French Phenomenologists,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2002, A.Burms.>
1969 김재인(金在寅, 1969-) 천개의 고원(새물결, 2001), 안티 오이디푸스(민음사, 2014), <들뢰즈의 비인간주의 존재론, 2013, 서울대 김상환>,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느티나무책방, 2016)
1969? 탁양현(1969?-) 질 들뢰즈의 철학사상, 들뢰즈 철학(2018)
1970 조현수(趙賢秀, 1970-) 서울대, 불교능인대학, 벩송으로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 박사. 질 들뢰즈의 “마조히즘”읽기, 2020
1970 장정제(張政帝, 1970-) 건축과 철학 들뢰즈와 가타리 Thinkers for Architects(Andrew Ballantyne, 장정제, 송규만, 2010)
1971 신지영(申志英, 1971-) 경상대 교수, <Ethique et esthetique chez Gilles Deleuze ; sources, principes et actualite en comparaison avec l`ethique taoiste(들뢰즈에게 있어서 윤리와 미학 ; 도가 윤리와 비교한 그 원천과 원리 그리고 현재성), 리용대학, 2005, J.J.Wunenburger.>
1971 이지영(李志暎, 1971-) 서울대 <들뢰즈의 <시네마>에서 운동-이미지 개념에 대한 연구, 2007, 서울대, 김상환>, 영국 옥스퍼드대 영화미학으로<2016, Univ. of Oxford, Reidar Due>
1971 김범수(1971-)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과 잠재성의 문제(Gilles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e problem of virtuality), 2017, 숭실대, 한석환>
1972 한정헌(韓正憲, 1972-) 한국침례신학대학, 연세대석박. <들뢰즈-니체주의의 소수자 윤리학과 민중신학의 접속을 통한 소수자 신학 연구. 연세대, 2009, 노정선.>
1974 경혜영(1974-) 외대출신, 프와띠에 대학 박사<(창조적 전략으로서의 비개인성 (L'impersonnel comme stratégie créatrice, 2017, Arnaud François)>
1975 이찬웅(李燦雄 1975-) / 이화여자대학교 / 조교수 (75년생) 들뢰즈의 신체 개념: 결백한 괴물(2016)/ <Corps, signe et affect dans la pensee de Deleuze: les trois problemes de Mille Plateaux, 2010, Anne Sauvagnargues, Ecole Normale Superieure de Lyon> (4:9, 49LKJ) (5:1, 51UNA) (6:31, 52PKH) (8:06, 52ULA) (8:12, 52VLD) (9:27, 52VME) (10:25, 52VMG)
1977 이연선(李沿宣, 1977-) 부산대 학석박, <[미등재], Columbia University, 2013>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리세롯 마리엣 올슨, 이연선 , 이경화 , 손유진 , 김영연, 살림터, 2017)
1978 성기현(成嗜賢, 1978-) 경북대학사, 서울대 석박사. <질 들뢰즈의 감각론 연구, 서울대, 2017, 신혜경.>
안구(s.d.) 홍익대 예술학과 학부, 석사, 동 대학원에서 2018년 미술비평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으로 <들뢰즈의 ‘형상’으로 본 무빙이미지 연구: 구조영화에서 미디어 설치까지, 홍익대, 2018>
최영송(s,d,) 서강대 경영학과졸, 부경대학교에서 <들뢰즈의 커뮤니케이션론 연구: 차이와 반복의 변증법과 생성-커뮤니케이션>(2013)으로 박사학위
(11:30, 53OKE) (12:08, 53ULF) (13:10, 54LL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