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경론 중권
11. 보시의 복덕이 많다, 항하의 수의 비유
【經】
부처님께서 수보리(須菩提)에게 말씀하셨다.
“가령 항하강(恒河江) 가에 있는 모래알의 수효를 예로 든다면 이와 같이 많은 모래알과 비등한 항하의 수에 대하여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여러 항하의 모래알이 어찌 많지 않겠는가?”
수보리가 아뢰었다.
“매우 많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다만 그 모든 항하만 하더라도 오히려 헤아릴 수 없이 많을 터인데 더구나 그 모래의 수효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내가 지금 진실한 말로 너에게 알려주리니,
만약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일곱 가지 보배로써 항하강을 가득 채운 모래알처럼 많은 세계를 채울 만한 것을 가지고 모든 불ㆍ여래에게 보시한다면,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저 선남자와 선여인이 얻는 복이 많겠느냐?”
수보리가 말하였다.
“매우 많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저 선남자와 선여인이 얻는 복은 매우 많을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항하강의 모래알처럼 많은 세계를 가득 채울 만큼 많은 일곱 가지 보배를 보시하는 데 쓴 이가 있고,
또한 다른 선남자와 선여인은 이 법문과 나아가 4구게(句偈) 등을 받아 지녀서 다른 사람을 위하여 설법한다면, 이 복덕은 앞의 복덕보다 훨씬 뛰어나서 한량없는 아승기와 같으니라.”
【論】
앞에서 이미 많은 복덕에 대해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는데, 여기서 왜 또다시 말씀하셨는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차별이 많다는 뜻을 말씀하신 것이며
또한 뛰어난 비교로 헤아림도 이룩하였다.
뒤의 복이 앞에 것을 능가하기 때문에
거듭 비유를 들어 앞에 것보다 나음을 말씀하셨다.
이 게송의 뜻은 무엇인가?
앞에서 삼천세계의 비유를 들어 복덕이 많음을 밝혔는데, 이제 거듭 한량없이 많은 삼천세계를 말씀하셨으니,
왜 앞에서는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지 않았는가?
그것은 점차로 중생들을 교화하여 그들로 하여금 가장 으뜸가는 묘한 이치를 믿는 마음이 생기게 하기 위한 까닭이었다.
또 앞에서는 어떤 훌륭한 공덕으로써 큰 보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미처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 비유를 들어 그 공덕을 성취하게 하기 위하여 거듭 앞의 것보다 뛰어나다는 비유를 들어 말씀하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