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 위도와 경도
(1) 위도와 생활
* 위도(緯度, 가로 위) : 씨줄
* 경도(經度, 세로 경) : 날줄
* 경도(經度) :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세로로 된 것으로, 지구의 남극과 북극을 잇는 자오선(子午線)
지도에서 지구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그어 놓은 가상의 선. 한 지점의 경도는 그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과 런던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중심으로 동서로 나누어, 각각 동경 180도, 서경
180도로 한다.
* 본초(本初) = 시초(始初) : 맨 처음
* 본초(本初) : 본래(本來) 처음(初)이 되는
* 본초(本初) : 근본과 기준
* 자오선(子午線) : 북극과 남극을 연결한 선 = 경도(經度) 0°
* 적도(赤道) : 위도의 기준이 되는 선 = 위도(緯度) 0°
* 적도(赤道, 붉을 적, 길 도) : 지도에 붉은(赤) 색으로 표시된 길(道)
* 적도(赤道) : 지구의 중심을 지나는 지축(地軸)에 직각인 평면과 지표
(地表)가 교차되는 선
* 자오선(子午線) : 천구(天球)의 두 극과 천정(天頂)을 지나 적도와 수직
으로 만나는 큰 원. 시각의 기준이 된다. 천구(天球)에서 자(子)와 오(午)가
만나는 선(線). 시각(時刻)의 기준이 된다.
* 천구(天球) : 하늘(天)을 공(球) 모양으로 여기고 이르는 말.
* 본초자오선(本初子午線) : 본래부터 처음이 되는 기준인, 자오선.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자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다.
기준이 되는 자오선.
* 자시(子時) :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時). 밤 11시부터 오전(午前)
1시까지의 사이. 24시의 첫째 시(時). 곧 밤 11시 30분부터 0시 30분까지
* 오시(午時) : 십이시의 일곱째 시(時). 오전(午前) 열한 시부터 오후(午後)
1시까지의 동안. 24시의 열 셋째 시(時). 오전(午前) 열한 시 반부터
오후(午後) 열두 시 반까지의 동안
* 위선(緯線) : 적도(赤道)를 기준으로 남북을 나누는 가로줄
* 경선(經線) :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서를 나누는 세로줄
* 위치 읽는 방법 (3가지)
① 대륙과 해양으로
② 주변 국가들을 통해
③ 위도와 경도
* 지구의 계절변화 원인 : 지구의 공전(公轉)
* 지구의 공전으로, 태양을 받는 면적이 많은 쪽이 여름, 적은 쪽은 겨울
* 지구의 공전 :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1년 365일 동안 1회전하는 운동
* 계절의 발생 원인 : 지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전한다.
→ 위도와 시기에 따라 태양빛을 받는 양이 달라짐 → 지구의 위치에
따라 태양열을 받아들이는 양이 다르므로, 지역별 계절 차이가 발생한다.
* 북반구의 여름은 6~8월이며, 겨울은 12~2월이다.
* 남반구의 여름은 12~2월이며, 겨울은 6~8월이다.
* 북반구와 남반구는 계절이 반대
* 대한민국의 여름에 오스트레일리아는 겨울이다
* 남반구와 북반구는 계절이 왜 반대로 나타날까?
* 이유 : 지구 자전 궤도와 공전 궤도의 불일치 즉 지구의 회전축인
지축이 23.5° 기울어진 상태에서 태양의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 위도별 기후 차이 :
저위도 지역은 태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연중 무더우며,
중위도 지역은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함,
고위도 지역은 일사량이 적어 매우 춥고
양극 지방에서는 백야(白夜)ㆍ극야(極夜) 현상이 나타남
*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질 때 : 북반구의 중위도 지역은 여름,
남반구는 겨울임
*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질 때 : 남반구의 중위도 지역은 여름,
북반구는 겨울임
*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었을 때, 북위 23.5° 지점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고, 남위 23.5° 지점은 태양과 멀어진다.
*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었을 때는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 적도 부근은 태양과 가까워 연중기온이 높은 반면, 북극과 남극지역은
연중 기온이 낮은 기후가 나타난다.
* 우리나라와 같이 중위도에 위치한 국가는,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사계절
(四季節)의 변화가 나타난다.
* 다른 지역의 계절 특징
* 적도 : 태양열을 많이 받아 1년 내내 여름과 같은 계절이 지속됨
* 양극(북극과 남극) 지방 : 태양열을 적게 받아 1년 내내 겨울과 같은 추운
계절이 지속된다.
* 양극 지방은 하루 종일 태양이 지지 않거나 뜨지 않는 시기도 있다.
* 하루 종일 태양이 지지 않는 시기를, 백야(白夜)라고 한다.
(2) 북반구와 남반구
* 남반구와 북반구의 차이
* 남반구와 북반구의 지리적 차이
* 남반구와 북반구의 구분
*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은 북반구 ․ 남쪽은 남반구
* 남반구(南半球) : 중,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 북반구(北半球) : 유라시아(유럽+아시아), 북아메리카
* 육지와 해양의 분포에 따라, 육반구 ․ 수반구로도 구분
* 우리나라 : 북반구에 위치
* 육반구는 대체로 북반구를 많이 포함하고, 수반구는 대체로 남반구를 많이
포함한다.
* 북반구에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대륙인, 유라시아 대륙과 북부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이 위치한다.
* 남반구에는 바다가 많이 분포하며, 남부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등이 위치한다.
* 계절이 다른 남반구와 북반구
* 지구의 계절변화 원인 : 지구의 공전(公轉)
* 지구의 공전으로, 태양을 받는 면적이 많은 쪽이 여름, 적은 쪽은 겨울
* 지구의 공전 :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1년 365일 동안 1회전하는 운동
* 계절의 발생 원인 : 지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전한다.
→ 위도와 시기에 따라 태양빛을 받는 양이 달라짐 → 지구의 위치에
따라 태양열을 받아들이는 양이 다르므로, 지역별 계절 차이가 발생한다.
* 북반구의 여름은 6~8월이며, 겨울은 12~2월이다.
* 남반구의 여름은 12~2월이며, 겨울은 6~8월이다.
* 북반구와 남반구는 계절이 반대
* 대한민국의 여름에 오스트레일리아는 겨울이다
* 남반구와 북반구는 계절이 왜 반대로 나타날까?
* 이유 : 지구 자전 궤도와 공전 궤도의 불일치 즉 지구의 회전축인
지축이 23.5° 기울어진 상태에서 태양의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 위도별 기후 차이 :
저위도 지역은 태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연중 무더우며,
중위도 지역은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함,
고위도 지역은 일사량이 적어 매우 춥고
양극 지방에서는 백야(白夜)ㆍ극야(極夜) 현상이 나타남
*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질 때 : 북반구의 중위도 지역은 여름,
남반구는 겨울임
*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질 때 : 남반구의 중위도 지역은 여름,
북반구는 겨울임
*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었을 때, 북위 23.5° 지점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고, 남위 23.5° 지점은 태양과 멀어진다.
*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었을 때는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 적도 부근은 태양과 가까워 연중기온이 높은 반면, 북극과 남극지역은
연중 기온이 낮은 기후가 나타난다.
* 우리나라와 같이 중위도에 위치한 국가는,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사계절
(四季節)의 변화가 나타난다.
* 다른 지역의 계절 특징
* 적도 : 태양열을 많이 받아 1년 내내 여름과 같은 계절이 지속됨
* 양극(북극과 남극) 지방 : 태양열을 적게 받아 1년 내내 겨울과 같은 추운
계절이 지속된다.
* 양극 지방은 하루 종일 태양이 지지 않거나 뜨지 않는 시기도 있다.
* 하루 종일 태양이 지지 않는 시기를, 백야(白夜)라고 한다.
(3) 경도와 생활
* 경도(經度, 세로 경) : 날줄
* 경도(經度) :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세로로 된 것으로, 지구의 남극과 북극을 잇는 자오선(子午線)
지도에서 지구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그어 놓은 가상의 선. 한 지점의 경도는 그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과 런던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중심으로 동서로 나누어, 각각 동경 180도, 서경
180도로 한다.
* 본초(本初) = 시초(始初) : 맨 처음
* 본초(本初) : 본래(本來) 처음(初)이 되는
* 본초(本初) : 근본과 기준
* 자오선(子午線) : 북극과 남극을 연결한 선 = 경도(經度) 0°
* 적도(赤道) : 위도의 기준이 되는 선 = 위도(緯度) 0°
* 적도(赤道, 붉을 적, 길 도) : 지도에 붉은(赤) 색으로 표시된 길(道)
* 적도(赤道) : 지구의 중심을 지나는 지축(地軸)에 직각인 평면과 지표
(地表)가 교차되는 선
* 자오선(子午線) : 천구(天球)의 두 극과 천정(天頂)을 지나 적도와 수직
으로 만나는 큰 원. 시각의 기준이 된다. 천구(天球)에서 자(子)와 오(午)가
만나는 선(線). 시각(時刻)의 기준이 된다.
* 천구(天球) : 하늘(天)을 공(球) 모양으로 여기고 이르는 말.
* 본초자오선(本初子午線) : 본래부터 처음이 되는 기준인, 자오선.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자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다.
기준이 되는 자오선.
* 자시(子時) :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時). 밤 11시부터 오전(午前)
1시까지의 사이. 24시의 첫째 시(時). 곧 밤 11시 30분부터 0시 30분까지
* 오시(午時) : 십이시의 일곱째 시(時). 오전(午前) 열한 시부터 오후(午後)
1시까지의 동안. 24시의 열 셋째 시(時). 오전(午前) 열한 시 반부터
오후(午後) 열두 시 반까지의 동안
* 위선(緯線) : 적도(赤道)를 기준으로 남북을 나누는 가로줄
* 경선(經線) :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서를 나누는 세로줄
* 위치 읽는 방법 (3가지)
① 대륙과 해양으로
② 주변 국가들을 통해
③ 위도와 경도
지구의 자전(自轉)과 시간차의 발생
* 자전(自轉) : 천체(天體)가 스스로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
* 지구의 자전(自轉) : 지구가 양극(兩極)을 축(軸)으로 하여,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 공전(公轉)
* 공전(公轉) : 한 천체(天體)가 다른 천체의 둘레를 주기적으로 도는 일.
행성이 태양의 둘레를 돌거나 위성이 행성의 둘레를 도는 따위를 이른다.
* 자전(自轉, 스스로 자, 돌 전) : 스스로 돎
* 자전 : 천체가 그 내부를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일
* 지구의 자전으로 지역마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이 달라짐.
* 지구의 자전으로 낮과 밤이 생긴다.
* 태양의 빛이 지구에 비치는 시간이 낮이고, 그 반대는 밤이다.
* 지구의 자전으로 시간차, 즉 시차(時差)가 발생한다.
* 표준시(標準時)의 설정
* 표준시란? : 각 나라나 지방에서 사용하는 표준 시각.
* 설정 이유 : 지역 간의 교류 때에 발생하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 설정 방법 :
* 지구는 자전을 하면서 하루 24시간 동안에, 360˚를 회전한다.
* 경도 15˚마다, 1시간의 시간 차이, 즉 시차(時差)가 발생한다.
* 360˚ ÷ 24시간 = 15˚
* 본초자오선(本初子午線, 경도 0˚)을 기준으로, 표준 시각을 24개의
구역별로 설정한다.
* 본초자오선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한다.
* 표준시의 적용 : 본초자오선의 동쪽으로 갈수록 시간이 빨라지고,
서쪽으로 갈수록 시간이 느려진다.
* 날짜 변경선의 설정
* 날짜 변경선이란?
* 경선 180° : 본초자오선의 정반대에 있음
* 본초자오선 : (경도0˚인 선 = 북극과 남극을 연결한 세로선을 자오선이라
고 하는데 본초라는 말은 처음이라는 의미)
* 날짜 변경선의 필요성 : 날짜를 변경하지 않으면 한 지점에서 두 개의
시간대가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
* 본초자오선보다 12시간 빠른, 동경 180˚선과 본초자오선보다 12시간 느린
서경 180˚선이 만나서, 24시간의 시간차이가 발생하는, 경도 180˚선.
* 날짜 변경선의 적용 : 경도 180˚선을 기준으로 서쪽 방향으로 갈 때는
하루를 더하고, 동쪽 방향으로 갈 때는 하루를 뺀다.
* 날짜 변경선 : 동경과 서경 180˚가 만나는 지점
* 동에서 서로는 하루를 더하고, 서에서 동으로는 하루를 뺀다.
* 날짜 변경선은 직선인 경도 180˚선과는 달리, 실제로는 육지 부분을 비켜
구부러져 있다. 그 이유는 같은 나라 안에서 날짜가 달라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다. = 키리바시의 시간대 통일 선언
* 키리바시 : 태평양 중부, 미크로네시아의 길버트 제도와 피닉스 제도(諸島)
의 33개 섬으로 이루어진 공화국.
* 날짜변경선[날짜 變更線, international date line]
* 지구상에서 날짜를 변경하기 위해 편의상 만들어 놓은 경계선으로
날짜선 또는 일부변경선(日附變更線)이라고도 한다.
* 일부(日附) : 날짜. 그날그날 더한 날짜.
* 날짜 변경선을 이해하려면 동일 시간권을 이해하여야 한다.
* 동일 시간권은 지구 360°를 15° 씩 나누어 24시간으로 구분한 것으로
우리나라는 영국으로 부터 135° 동쪽에 위치하므로 9시간 빠르며, 일본
동경 부근의 135° 경도선에서 120° 까지는 같은 시간권을 쓰고 있어서
우리나라와 일본은 시간이 같다.
* 반면 북경(120° 동경)은 우리보다 1시간 늦은 시간권을 쓰고 있다.
* 날짜변경선은 태평양의 거의 중앙부, 대략 경도(經度) 180°선을 따라
남북으로 설정되어 있다.
* 이 선을 경계로 동쪽과 서쪽에서 날짜가 하루 달라진다.
* 지구의 자전에 의한 평균 태양시는 지구상의 각 지점마다 차이가 생기는
데, 그 차이는 경도 15°에 대하여 1시간의 비율로 동쪽으로 갈수록 앞서
간다.
* 경도 0°인 영국(그리니치 천문대)에서 동쪽 방향(동경)으로 180° 지점은
12시간 빠르고, 서쪽 방향(서경)으로 180° 지점은 12시간 느려 경도 180°
지점(날짜변경선)은 같은 지점임에도 동쪽으로 왔을 때와 서쪽으로 왔을
때 하루(24시간)의 시간 차이가 나타나는 모순이 생긴다.
* 따라서 날짜를 정할 때 이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큰 혼란이 생긴다.
* 예를 들면, 영국이 표준시(경도 0°의 평균태양시)로 1월 1일 12시일 때
동경 180°에서는 2일 0시, 서경 180°에서는 1일 0시가 되어, 같은 180°
이지만 하루의 시간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 이러한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서 경도 180° 태평양 부근에 사람이 살고
있는 육지를 피해서 날짜변경선을 설정하였는데, 이 선을 서쪽에서 동쪽으
로 지날 때는 하루를 빼고 증가하는 시간은 더해주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날 때는 하루를 더하고 증가하는 시간은 빼주어 하루 차이를 보정해 준다.
* 날짜변경선에서 볼 때 우리나라는 서쪽이고 미국은 동쪽이 된다.
* 사람이 살고 있는 육지를 피해서 날짜변경선을 설정하였는데,
이 선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지날 때는 같은 날짜를 반복하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날 때는 하루를 더해야 한다.
* 지구의 자전과 시간 차이
* 지구의 자전 :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하루에
1번 회전
* 시간 차이 (=시차) : 지구의 자전으로 낮과 밤이 생기고 시간 차이 발생
* 시간과 날짜의 차이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며, 이 때 표준시의
설정은 경도와 관련이 있다.
* 키리바시는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하루가 시작되는 섬’ 참고로 우리나라
에서 가장 먼저 해를 볼 수 있는 곳은 물론 독도다.
* 내륙에서는 경북 구룡포읍 석병리가 최동단(最東段)이다.
* 세계 여러 나라의 시간대(時間帶)
* 우리나라의 표준시
* 표준시 :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경선을 본초 자오선 (0°)으로
결정
* 필요성 : 국가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표준시가 필요하게 됨
* 시간 계산 방법 : 경도 15 ° = 1시간, 세계를 24구역으로 구분
(360° ÷ 24= 15°)
* 우리나라는 동경 135˚를 단일 표준시로 사용하고 있다.
* 우리나라와 일본의 표준시는 같다.
* 국제법상, 이웃 나라와 1시간 이상의 차이가 나지 않을 경우에는 15˚ 단위
로 나누어지는 가까운 경선을 기준으로 같은 표준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일본의 표준시는 같다.
*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세계 표준시보다, 9시간이 빠르다.
* 135˚ ÷ 15 = 9시간
* 15는 1시간이다.
* 시간대(時間帶) :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지역에 따른 시간의 차이를
인위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고안된, 시간의 구분선이다.
* 실제로 우리나라의 중앙을 지나가는 경선을 127.5˚다.
* 표준시 [標準時, standard time] :
* 각 나라나 각 지방에서 쓰는 표준 시각.
* 평균 태양이 자오선을 통과하는 때를 기준으로 정하는데,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를 기준 자오선으로 한 평균 태양시를 쓴다.
* 여러 도시와 국가 간의 시간 및 날짜 계산
* 본초 자오선 기준 : 동경으로는 15° 마다 1시간을 더하고, 서경으로는
15° 마다 1시간 을 뺌
* 날짜 변경선 기준 : 동쪽으로 가면 하루를 빼고, 서쪽으로 가면 하루를 더함
* 세계 여러 나라의 표준시
* 대부분의 국가는 하나의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다.
* 그러나 동서로 긴 국토를 가진 국가들은 여러 개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 러시아(11개), 캐나다(5개), 미국(5개), 오스트레일리아(3개),
인도네시아(3개)
* 그러나 중국은 동쪽과 서쪽 간의 거리가 넓어 경도의 차이가 크지만,
베이징을 지나는 경선을 기준으로 삼아, 하나의 표준시만을 사용하고 있다
* 중국이 하나의 표준시만을 사용하는 이유는, 넓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통치
하고, 여러 민족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함이다.
* 그러나 하나의 표준시 사용으로 서쪽 지역의 사람들은 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다.
* 시차(時差)에 따른 주민생활
* 시차로 인해 발생하는 불리한 점을 말할 수 있다.
* 시차의 차이를 산업에 활용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본초자오선이 자나가는 영국보다 9시간이 더 빠르며, 하나의
표준시로 통일하여 쓰지만, 국토가 넓고 긴 러시아는 11개의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