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 추간판(디스크) 질환이란 ?
사람의 목뼈, 경추는 총 7개의 뼈와 그사이에서 각각의 충격을 흡수해주는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다.
경추 추간판질환은 추간판 (디스크)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여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서 탄력성이 상실되어 굳어짐으로 인해 경추부 통증이나 신경증상, 척추의 긴으장해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경추디스크란 추간판(디스크) 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서 신경근 또는 척수를 누르는 질환을 말한다.
어떤증상이 발생하는가?
뒷목, 견갑부 및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귀 뒤에서 머리로 타고 올라가는 편두통 및 비전형적인 안면부 통증, 어깨와 팔의 통증이나 저린감, 감각이상, 근력 약화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경우 척수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외 어지럼증, 복시, 이명이나 전방의 심한 골극으로 음식을 삼킬 때 이물감이나 연하장해를 일으킬수도 있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
초기에는 근경련 및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정, 보조기를 사용한한 국소 고정, 냉온찜질과 소염진통제등 약물치료와 견인치료를 포함한 물리치료를 적절히 시행하면서 증상의완화를 관찰한다. 이러한 치료에도 효가가 없을 경우 선택적 신경차단을 시행할수 있다. 선택적 신경 차단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에 주사를 통해 직접 약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통증완화, 염증완화에 목적을 둔 치료방법이다. 경추부 추간판(디스크)질환은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좋아 초기에 척추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충분한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거나 근력 약화 등 마비증상을 동반 할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누구나 피하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마비증상을 포함한 신경학적 증상이 진행될수록 수술 후 예후에도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척추 전문의에게 정확히 진단받고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술적치료는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추간판 제거술 및 골 유합술,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신경 감압술, 인공디스크 삽입술이 있으며, 여러분절에서 신경이 압박되어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목 뒤를 절개하여 척추체 후궁절제술이나 후궁 성형술을 시행 할 수도 있다.
올바른 예방법은 ?
경추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앉아서 일할 때 허리를 곧게 펴고 목의자세를 바르게 하며 베개는 너무 높지 않게 하며, 특히 컴퓨터 작업 시 모니터를 눈높이로 하여 목을 거북이 목처럼 되지 않게 해야할 것이다. 장시간 앉아서 공부나 컴퓨터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한 시간에 한번정도 스트레칭을 하여 목 뒷부분 및 어깨 근육을 풀어주는 것 또한 만성근육통증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출처: 단국대학교병원<건강과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