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의 적당한 섭취량
사람은 물, 공기, 소금은 많이 먹어도 항상성 작용을 하기때문에 탈이 없다. 즉, 많게 되면 토하거나 배설해서 일정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치유력, 자연 방위력이 있기 때문이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1일 5g이하로 섭취하라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일본에서는 소금 섭취량이 동고서저 현상으로 동쪽 지방에서는 15g, 서쪽에서는 10g 정도를 섭취하고 미국에서는 9~12g, 영국에서는 11.9g 정도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53년 아메리카의 메리리 박사가 쥐 10마리에게 통상의 20 배에 달하는 식염을 보탠 것을 먹이고 목이 말라 마시는 물은 1%의 식염을 더한 것을 6개월간 먹인 결과 4마리가 고혈압이 된 결과를 가지고 현재까지 소금은 고혈압의 원인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버렸다.
그러나 이 실험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오류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은 20배에 달하는 식염을 먹을 수가 없다. 인간이 1일 200g씩 먹을 수가 없다. 100g 정도를 3일 정도 먹게 되면 몸이 받아들이지 못하고 토하고 만다. 10마리 중 4마리가 고혈압 증상이 있었다면 6마리는 정상이었다는 말이 된다. 이 실험에서 어떤 소금을 사용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소금에는 엄청난 아황산가스, 탄산가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가스를 제거하지 않은 소금을 사용하였다면 엉뚱한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인체는 약 70% 정도의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인체는 0.9%의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면 인체는 70Kg의 성인 기준으로 49Kg 정도의 물과 440g 정도의 소금 성분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WHO에서는 하루 2ℓ정도의 맑은 물을 마시는 것이 건강유지에 도움이 된 다고 밝힌 바 있다. 하루 2ℓ정도의 맑은 물을 마셔야 한다면 물의 0.9%에 해당하는 18g의 소금을 먹어 도 이상이 없다는 가설이 성립된다.
염분은 식물보다 동물에, 민물고기보다 바다 생선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식생활 문화에 따라 염분을 간접 섭취하는 양이 달라진다.
일본 북해도의 아이누민, 브라질 북부의 원주민, 베네수엘라 남부 원주민, 뉴기니아 고산족, 소로몬 제도 원주민, 에스키모인 등은 별도로 소금을 먹지 않고도 잘 살고 있다.
연탄가스가 발생할 때 소금을 뿌리면 가스가 사라지는 이유는 소금 속에 있는 아황산가스, 탄산가스가 연탄가스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세계2차대전 때에는 소금에서 가스를 축출해서 독가스로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을 실험해 보기 위해서는 천일염, 약간을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1시간 정도 볶아보면 창문을 모두 열어놓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무서운 독가스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소금을 물에 녹여보면 밑에 가라앉는 미끌거리는 것이 있는데 특히 천일염에 많다. 이 불순물이 간수(염화마그네슘, 칼륨 등)라는 불순물이 있는데 이것은 두부를 굳힐 때 사용하는 것으로 즉, 단백질을 굳게 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이 우리 몸에 많이 섭취되면 단백질을 응고시켜 동맹경화 등을 일으킨다. 최근 한의학계에서는 발암물질로 인식되던 소금이 "소금자체가 발암물질이 아니라 소금에 묻어있는 여러 유해성분이 원인"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여 융점처리 된 소금을 암환자들에게 충분히 투여한 결과 장기 생존 및 임상상태 개선을 가져오고 있다.
900도씨 정도에서 오랜시간 융점 처리된 맑은 소금을 매일 30~50g을 3개월 정도 만성피로 증후군 환자가 복용한 결과 확실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방창조학회 회장 한의사 박치완 "소금이 인체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에서)
최근 고혈압 환자를 위해 소금 대신 염화칼륨을 넣어 짠맛을 가지면서도 나트륨을 줄인 대용품이 나왔지만 염화칼륨은 음식에 쓴맛을 내고 대부분 콩팥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콩팥 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과다 섭취할 경우 체내 혈중 칼륨농도가 높아져 위험할 수 있다. 특히 신장병 치료제 가운데는 혈중 칼륨치를 높이는 약제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칼륨과잉을 초래할 수도 있어 소금대신 사용할 경우 신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반드시 의사와 상으후 섭취해야 한다.
소금 1g에 해당되는 식품량
식품명 | 목측량 |
소금 | 1/5 작은술 |
진간장 | 1작은술 |
국간장 | 2/3 작은술 |
된장, 춘장 | 1/2 큰술 |
고추장, 청국장 | 1/2 큰술 |
토마토케찹 | 3 큰술 |
새우젓 | 1/2 큰술 |
건멸치 | 1컵 |
토마토주스 (캔) | 1/2컵 |
조미오징어포 | 1컵 |
건오징어 | 1/3마리 |
참치 통조림 | 1/2컵 |
햄(썬것) | 1/4컵 |
프랑크 소시지 | 1/2개 |
베이컨 | 3쪽 |
치즈 | 2쪽 |
단무지 | 1쪽(두께1cm) |
동물이 하루에 먹는 소금량
구분 | 하마 | 소 | 말 | 염소 | 닭 | 비고 |
량 | 500g | 80g | 30~40g | 20g | 0.8~1g | 사람평균10g |
일본인의 연령별 소금 섭취량
출처:도염원 싸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