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자방골 농장
 
 
 
카페 게시글
한약재 스크랩 한약재의 종류와 효능
자방골 추천 0 조회 26 10.08.04 13:48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한약재의종류와효능


*1.나무껍질류*
계피(桂皮) /
상백피(桑白皮) / 후박(厚朴) / 두충(杜沖) / 오가피(五加皮) /
황백(黃白) / 목단피(牡丹皮) / 지골피(地骨皮) / 백선피(白癬皮) / 진피(秦皮) /
*2.등나무류*
구등(鉤藤) /
석곡(石斛) / 단향(檀香) / 쇄양(鎖陽) / 등심초(燈心草) /
육종용(肉從蓉) / 목통(木通) / 죽(竹)녀 / 소목(蘇木) / 침향(沈香) /
*3.뿌리류*
강황(薑黃) /
패모(貝母) / 현호색(延胡索) / 강활(羌活) / 향부자(香附子) /
옥죽(玉竹) / 고량강(高良薑) / 현삼릉(荊三稜) / 우절(藕節) / 대황(大黃) /
황련(黃連) / 지모(知母) / 모근 / 황정 / 창출(蒼朮) /
반하(半夏) / 산약(山藥) / 천궁(川芎) / 백급(白及) / 생강(生薑) /
천남성(天南星) / 백출(白朮) / 석창포(石菖蒲) / 천마(天麻) / 백합(白合) /
승마(升麻) / 택사(澤瀉) / 아출(莪朮) /
*4.뿌리줄기류*
담죽엽(淡竹葉) /
비파엽(批巴葉) / 애엽(艾葉) / 측백엽(側柏葉) / 상엽(桑葉) /
자소엽(紫蘇葉) /
*5.잎사귀류*
계관화(鷄冠花) /
금은화(金銀花) / 선복화(旋覆花) / 관동화(款冬花) / 밀몽화(密蒙花) /
신이(辛夷) / 괴화(槐花) / 번홍화(番紅花) / 원화(元花) / 국화(菊花) /
하고초(夏枯草) / 정향(丁香) / 홍화(紅花) / 포황(蒲黃) /
*6.꽃잎류*
곽향(藿香) /
형개(荊芥) / 음양곽(淫羊藿) / 마황(麻黃) / 박하(薄荷) /
인진호(茵陳蒿) /
*7.열매류*
노회(蘆檜) /
유향(乳香) / 송향(松香) / 몰식자(沒食子) / 오배자(五倍子) /
신국(新麴) / 몰약(沒藥) / 안식향(安息香) / 아위(阿魏) / 아다(兒茶) /
*8.종자류*
귀판 /
웅담(熊膽) / 석결명(石決明) / 녹용(鹿茸) / 해구신(海拘腎) /
섬수 / 망충 / 호골(虎骨) / 아교(阿膠) / 모려(牡蠣) /
사향(麝香) / 영양각(羚羊角) / 반모(斑毛) / 서각(犀角) / 용연향(龍涎香) /
백강잠(白鱇蠶) / 별갑(鼈甲) / 우황(牛黃) /
*9.전초류*
갈근(葛根) /
천독활(川獨活) / 감수(甘遂) / 감초(甘草) / 천오두(川烏頭) /
고본(藁本) / 고삼(苦蔘) / 파극천(巴戟天) / 괄루근(括樓根) / 시호(柴胡) /
현삼(玄蔘) / 길경(吉梗) / 단삼(丹參) / 홍아대극(紅芽大戟) / 당귀(當歸) /
우슬(牛膝) / 황기(黃耆) / 울금(鬱金) / 원지(遠志) / 황기II(黃耆) /
인삼(人蔘) / 자근(紫根) / 목향(木香) / 자원 / 적작(赤芍) /
백미(白薇) / 전호(前胡) / 지유(地楡) / 백작(白灼) / 지황(地黃) /
진교(秦 ) / 산두근(山豆根) / 방풍(防風) / 천문동(天門冬) / 서양삼(西洋蔘) /
백부(百部) / 초오두[草烏頭] / 속단(續斷) / 백지(白芷) / 하수오(何首烏) /
오약(烏藥) / 삼칠(三七) / 홍삼(紅蔘) / 당삼(糖蔘) / 세신(細辛) /
황금(黃芩) / 맥문동(麥門冬) / 광방이(廣防已) / 용담(龍談) /
*10.수지류,기타*
가자(訶子) /
백질려(白膣黎) / 대복피(大腹皮) / 괄루(括樓) / 복분자(覆盆子) /
대추(大棗) / 괴각(槐角) / 사군자(使君子) / 마두령(馬兜鈴) / 구기자(枸杞子) /
사상자(蛇床子) / 만형자(蔓荊子) / 귤피(橘皮) / 산사자(山飼子) / 맥아(麥芽) /
목과(木瓜) / 산수유(山茱萸) / 오미자(五味子) / 백두구(白豆寇) / 산치자(山梔子) /
오수유(吳茱萸) / 팔각회향(八角茴香) / 석련자(石蓮子 / 용안육(龍眼肉) / 필발(苾撥) /
시제 / 우방자(牛蒡子) / 호초(胡椒) / 여정자(女貞子) / 익지인(益智仁) /
화초(花椒) / 연교(連翹) / 자소자(紫蘇子) / 회향(茴香) / 오매(烏梅) /
창이자(蒼耳子) / 충위자(蟲胃子) / 천련자(川璉子) /
*11.동물류*
가채자(菜子) /
마전자(馬錢子) / 피마자(皮麻子) / 겨자(芥子) / 목별자(木鼈子) /
빈랑자 / 검실 / 백과(白果) / 산조인(酸棗仁) / 견우자(牽牛子) /
백편두(白扁豆) / 송자인(松子仁) / 결명자(決明子) / 보골지(補骨脂) / 아마인(亞麻仁) /
담두시 / 축사(縮砂) / 육두구 / 대풍자(大風子) / 파두(巴豆) /
의이인(薏苡仁) / 도인(桃仁) / 토사자 / 차전자(車前子) / 동과자(冬瓜子) /
행인(杏仁) / 천금자(千金子) / 마자인 / 호로파(胡蘆巴) / 호마자 /
*12.광물류*
노감석(爐甘石) /
주사(朱砂) / 용골(龍骨) / 대자석(代紫石) / 활석(滑石) /
우여량(禹餘糧) / 망초(芒硝) / 석고(石膏) / 적석지(赤石脂) / 명반(明礬) /
*13.은화식물류*
뇌환(雷丸) /
복령I(茯笭)Ⅰ / 복령II(茯笭)Ⅱ / 동충하초(冬蟲夏草) / 저령(猪笭) /
해인초(海人草) /

▶계피(桂皮)


▶ 산지: 중국
▶ 선품 방향: 단맛과 매운맛이 함께 강하며, 떫은 맛과 점액성(粘液性)이 좋다.
▶ 용도,성능 : 계피는 성열(性熱), 달고, 매우며 명문(命門)의 상화(相火)를 보(補) 하는 효능이 있다. 계지 는, 성온(性溫), 맵고 달며 발한해기(發汗解肌) 온경통락(溫經通絡), 통양거어(通陽祛瘀)의 효능이 있다. 계심에는 보양활혈(補陽活血)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 계피는 건위(健胃), 구풍(驅風), 교미(矯味), 수렴약(收斂藥)어로서 사지궐냉(四肢厥冷), 복통, 상열하한(上熱下寒), 요슬동통(腰膝疼痛), 소변불리 등의 증세에, 계지는 해열, 진통 약으로서 풍한표증(風寒表症), 복통, 한습비통(寒濕痺痛)에 응용.
▶ 용량: 계피- 1~5g. 계지- 1.5g~10g.
▶ 금기 : 계피는 음허양항자(陰虛陽亢者) 와 임부는 피한다.
계피는 정력이 허하여 열이 있을 때 및 출혈중엔 금지.
▶ 수치 : 계피는 조(粗) 피(皮)를 긁고 절편(切片)으로 하여 이용한다.
▶ 처방예 계지탕, 팔미지황환, 오령산, 계지복령환, 계지인삼탕.

▶상백피(桑白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색이 희고 살이 두툼하고 유연한 것이 좋다. 황적색의 껍질이 새롭거나 상백피는 그대로 껍질을 벗긴 것이 좋으며 물에 담가서 껍질을 벗긴 것은 약용으로 적당하지 못하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달고 폐화(肺火)를 사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폐기(肺氣) 를 깨끗하게 한다. 물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 이뇨(利尿), 해열, 진해(鎭該) 약(藥)으로서 기관지염, 천해토혈(喘咳吐血), 수종(水腫), 복창(服脹)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폐허무화(肺虛無火), 다뇨(多尿), 풍한해수(風寒咳嗽) 인 사람은 금할.
▶ 수치 생용- 이수소종(利水消腫) 에 이용한다. 밀제- 폐를 촉촉하게 하여 기침을 멎게 한다. 폐가 약한 사람에게 이용된다.
▶ 처방예 사백산, 오피음, 오호탕.

▶후박(厚朴)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껍질이 두껍고 유성(油性)이 풍부하며, 단면은 자홍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향기가 농후하고 이것을 씹으면 찌꺼기가 남지 않으며 맛은 맵고 달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건위소화, 정장(整腸), 수렴, 거담(祛痰), 이뇨(利尿)약으로서 흉복부의 창만(脹滿), 천해(喘咳) , 복통, 구토설사 등 증세에 이용한다.
▶ 효능: 성온, 맵고 쓰다. 습(濕)을 조절하고 창만(脹滿)을 흩어버리고 기(氣)를 순환시키는 효능이 있다.
▶ 용량 3~8g
▶ 금기: 비위가 약한 사람이나 임부는 금함.
▶ 수치 강제, 염제- 인후(咽喉)의 자극을 감소하여 온중산한(溫中散寒) 효과를 증진시킨다.
▶ 처방예 후박삼물탕, 평위산, 반하후박탕.

▶두충(杜沖)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껍질이 두껍고 외면은 황갈색, 내면은 흑갈색의 광택이 있고 절단했을 때 강인한 흰실을 끄는 것이 좋다. 사천성의 파중, 달현, 광원에서 산출된 것이 가장 질이 좋으며 천충(川沖) 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온 :달고 약간 매우며 간신(肝腎)을 보하며 근골(筋骨)을 강화하고 안태(安胎)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 진통 :약으로서 신허(腎虛), 요슬(腰膝)의 동통(疼痛), 임부의 요종(腰腫), 족슬연약(足膝軟弱), 태동(胎動)유산(流産) 등에 응용한다.
▶ 용량 6~10g
▶ 금기 :정력이 허하여 열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은 적으며 보통 소금물에 담갔다가 약간 누를 정도로 볶아서 이용한다. 두충탄-자보음신(滋補陰腎), 소금물볶음- 보신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독활기생탕, 두충음.

▶오가피(五加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껍질이 두껍고 길며 향기가 있고 목심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 :맛은 맵고, 풍(風)을 제거하며 근골(筋骨)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이수(利水), 습기를 제거하고 진통약으로서 류마티즘, 신경통 등의 요슬동통(腰膝疼痛), 각기 피부풍습, 수종(水腫), 음랑습양 등 증상에 응용한다. 또 오가피주의 원료로서의 용도도 많다.
▶ 용량 5~10g
▶ 금기 :정력이 허하고 열이 많은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목심을 제거한다. 그리고 그늘에서 말려 날것으로 사용 또는 술로 씻거나 불에 볶아서 이용한다.
▶ 처방예 오가피환.

▶황백(黃白)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콜크층을 제거한 껍질이 두껍고 파절면 이 선황색이며 매우 쓰고 점액성 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이 쓰고 상화(相火)를 조절하며, 하초(下蕉)의 습열을 깨끗이 지워 주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고미건위약(苦味健胃藥), 정장약(整腸藥), 소염성수렴약(消炎性收斂藥)으로서 위장염, 복통, 황달, 설사, 치창, 대하(帶下), 변혈(便血) 등 증세에 이용되며 또 벨베린의 추출 원료로서의 용도도 다양하다.
▶ 용량 5~10g.
▶ 금기 :실화증(實火症) 이 아니며 또 비허설사(脾虛泄瀉) 나 위가 약한 사람은 금할 것.
▶ 수치,생용- 실화(實火)를 사한다. 염수초- 허열을 내리게하고 신화(腎火)를 사(瀉)하고 또 음화(陰火)를 다스린다. 주초- 상(上) 초(焦)의 열을 식히고 또한 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다. 초 탄- 지혈(止血)에 이용된다. 밀제: 중초(中焦)를 낮게 한다.
▶ 처방예 치자백피탕, 지백팔미환, 백두옹탕, 황련해독탕, 온청음.

▶목단피(牡丹皮)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외면이 보라색으로 절면 과 내면에 흰색의 결정을 붙이고, 새롭고 향기가 강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 쓰고 맵고 혈열(血熱) 을 깨끗이 하며 어혈(瘀血)을 흩어버리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진통, 구어혈약(驅瘀血藥) 으로서 두통, 복통, 부인과질환, 월경불순, 월경곤란, 정체(停滯) 하는 혈행장해 가 있을 때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痺胃虛寒) 설사하는 사람에겐 금할 것.
▶ 수치 생용- 혈열(血熱)을 깨끗이 한다. 초제-어혈(瘀血)을 흩어버린다. 초탄- 지혈에 이용되며, 기침을 잘 멎게 하며 열을 정상화한다.
▶ 처방예 가미소요산, 서각지황탕, 대황모란피탕, 계지복령환, 온경탕.

▶지골피(地骨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비대하여 목심이 없는 황갈색의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달고, 양혈사화(凉血瀉火), 청폐열(淸肺熱), 제골증(除骨蒸)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강장약으로서 결핵의 조열(潮熱), 해수(咳嗽), 토혈(吐血), 번열소갈(煩熱消渴), 음허(陰虛) 의 다한증(多寒蒸)에 응용된다.
▶ 용량 6~10g
▶ 금기 :영분에 열이 없고, 비위허한(痺胃虛寒) 한 자는 금할 것.
▶ 수치 잡질 과 목심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생용 한다.
▶ 처방예 지골피산, 사백산.

▶백선피(白癬皮)


▶ 산지: 중국.
▶ 선품: 권통형으로 목심이 없고 껍질이 두꺼우며 분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쓰고, 습열(濕熱)을 거두며, 풍습(風習)을 제거하며, 해독(解毒), 이수(利水)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통, 이담약으로서 류마티즘, 신경통, 황달, 개선(疥癬) 등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하초허한(下蕉虛寒) 인 사람.
▶ 수치 조피를 제거하고 두께 약 1~2mm 의 절편으로 만들어서 날것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술과 개어서 볶아서 이용한다.
▶ 처방예 백선피산.

▶진피(秦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회피는 회백색으로 반점이 있으며, 대롱 모양을 한 것이 있는 게 좋다.
▶ 용도,성능 :성미 한 맛이 쓰고 청(淸) 열(熱), 조습(燥濕), 수렴제 로서 유행성감기, 관절염, 장염설사, 양목적종동통(兩目赤腫疼痛), 열리 등 증상에 응용한다.
▶ 효능 해열, 강장 약으로서 결핵의 조열(潮熱), 해수(咳嗽), 토혈(吐血), 번열소갈(煩熱消渴), 음허(陰虛) 의 다한증(多寒蒸)에 응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위가 허하여 음식을 적게 먹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괴 또는 절단하여 날 것으로 사용한다.
▶ 처방예 백두옹탕.

▶구등(鉤藤)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쌍 갈고리가 있고 가시가 없으며 색은 촉촉한 홍색을 띠고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이 달고 청열(淸熱) 평간식풍(平肝熄風), 진경(鎭痙) 의 효과가 있다. .세에 이용된다.
▶ 효능: 진정 약으로서 고혈압 환자의 두통, 현기증, 어린이의 경(驚)간(癎)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풍열(風熱)과 실열(實熱) 이 없는 사람에게는 금할 것
▶ 수치: 묵은 가시를 제거하고 1~2시간 찐 다음,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 처방예 억간산, 구등탕, 칠물강하탕

▶석곡(石斛)


▶ 산지: 중국.
▶ 선품: 줄기가 길고 비만하여 질은 연하다. 색이 선명하고 광택이 있으며 뿌리나 잎등이 섞이지 않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고 자음(滋陰), 익위(益胃), 생진(生津)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건위강장약으로서 타액 분비를 촉구하여 열병시의 입마름, 식욕 부진, 위장장애 등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위와 신에 허열 이 있는 사람은 금할것.
▶ 수치: 2~4cm로 잘라서 날것으로 사용한다. 염수 초- 보신(補腎)과 신화(腎火), 위화(胃火)를 가라앉히는 작용이 있다.
▶ 처방예 석곡산.

▶단향(檀香)


▶ 산지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중국.
▶ 선품 :질이 단단하고 무게가 있고 향기가 농후하다. 이것을 태울 때 연기가 한 줄기로 되는 것이 좋다. 인도산을 “노산단향” 일라 칭하며 품질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맵고, 이기(理氣), 온중(溫中), 화위(和胃) 지통(止痛) 의 효과가 있다.
▶ 효능 방향건위, 지혈, 진통 약으로서 완복(脘腹)의 동통(疼痛), 구토, 열격(?隔), 설사 등 증세에 이용된다 백단유(白檀油) 는 요도(尿道) 소독제로서 이용되며 또한 귀중한 향료이기도 하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한 사람, 또 신염, 혈뇨 및 단백뇨(蛋白尿)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쪄서 방편 을 만들고 서늘한 곳에서 말려서 생용한다.
▶ 처방예 단삼음.

▶쇄양(鎖陽)


▶ 산지: 중국, 내몽고.
▶ 선품:육질경(肉質經)이 비대하여 길며 질은 단단하고 자홍색, 적흑갈색으로 단면에 기름이 촉촉하게 스며 나오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달고 보신(補腎), 장양익정(壯陽益精), 윤조활장(潤燥滑腸)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약으로서 임포텐쯔, 요슬허약(腰膝虛弱), 유정(遺精)에 이용되며 또 사하약(瀉下藥) 으로서 허 증의 변비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대변(大便)당설 및 원기부족 현상인 사람에겐 금할 것.
▶ 수치: 두께 약3㎜로 자르고 생용 한다.
▶ 처방예 호잠환.

▶등심초(燈心草)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색이 희고 경수(硬水) 가 길며 가볍고 탄력성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심화(心火)를 내리고 폐열(肺熱)을 가라앉히며 소장(小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해열(解熱), 청량(淸凉), 진정약으로서 임질, 소변불리(小便不利), 수종(水腫), 번민(煩悶)으로 불면을 호소하는 데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허한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청열이뇨(淸熱利尿), 주반제(朱拌製)- 정신안정제로서 이용된다, 청열해독력(淸熱解毒力) 이 강하고 단후비뉵(段後脾?)을 멎게 햐며 혈열(血熱)을 식히고 후비(喉痺) 을 멎게 한다.
▶ 처방예 가미해독탕, 팔정산.

▶육종용(肉從蓉)


▶ 산지: 중국
▶ 선품 :담종용- 육질경이 크고 살이 두터우며 질이 유연하고 유성이 많은 것이 좋다. 함종용- 편원형으로 색이 검고 질이 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달고 시고 짜며 신(腎) 을 보하며 정혈(精血)을 이롭게 하여 장양활장(壯陽滑腸)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약으로서 임포텐쯔, 요슬(腰膝)의 냉통(冷痛), 유뇨(遺尿), 혈붕(血崩), 변비 등 증세에 이용한다. 또 지혈약(止血藥)으로서 방광출혈, 신장출혈에도 이용된다.
▶ 용량 7~10g.
▶ 금기 :대변당설(大便唐泄) 신중(腎中)에 열이 있어 원기부족현상 인 사람은 쓰지 않는다.
▶ 수치: 제종용- 보윤(補潤)작용을 증강한다.
▶ 처방예 환소단.

▶목통(木通)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내피는 황색이며 절단면이 선 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이 쓰고 심화(心火)를 내리며 폐열(肺熱)을 가라앉히고, 소변을 순조롭게 하며 혈맥(血脈)을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消炎性) 이뇨(利尿), 통유(通乳) 진통제로서 소변불리(小便不利), 월경불통, 유즙부족(乳汁不足), 신체(身體)동통(疼痛)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습열(濕熱)이 없는 사람과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껍질과 마디를 제거하고 생용한다.
▶ 처방예 팔정산, 도적산, 용담사간탕, 당귀사역탕.

▶죽(竹)녀


▶ 산지 :중국.
▶ 선품 :황백색으로 유연하며 절단하기 힘드는 것이 좋다. 가공 방법은 산지에 따라 다르며, 세죽녀, 조죽녀 등이 있는데 세죽녀가 품질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단맛이 나며 청열(淸熱), 양혈(凉血), 제번지구(除煩止嘔),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양혈, 진구(鎭嘔), 진해, 제번약(除煩藥)으로서 위열구역(胃熱嘔逆), 상초번열(上焦煩熱), 태동(胎動)불안(不安), 토혈(吐血), 붕루(崩漏) 어린이의 경간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痺胃虛寒)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청열화담(淸熱化痰), 초죽녀- 죽녀의 한성을 감소한다. 강제죽녀= 한성을 감소하고, 지구작용을 증강한다.
▶ 처방예 귤피죽녀탕, 온담탕, 죽피대환, 청폐탕, 죽녀온담탕.

▶소목(蘇木)


▶ 산지: 인도, 말레이지아 반도, 인도네시아. 중국.
▶ 선품: 심재가 거칠고 크며 견실하다. 홍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 맛이 달고 짜며, 행혈통락(行血通絡), 거어지통(祛瘀止痛), 산풍화혈(散風和血)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구어혈(驅瘀血), 항염증(抗炎症), 통경(通經) 진통약으로서 산후어조(産後瘀阻) 경폐(經閉), 복통, 월경불순, 옹종(癰腫), 타박상 등에 이용된다. 현재는 약용보다 염료 로서의 용도가 많다.
▶ 용량 3~5g.
▶ 금기 혈허 로 어체(瘀滯)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포편으로서 생용한다.
▶ 처방예 소목탕, 파리산, 통도산.

▶침향(沈香)


▶ 산지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버어마, 인도
▶ 선품 :흑우각색으로 질이 단단하고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듯 물에 잘 가라앉으며 태우면 기름이 스며나온다. 방향이 있으며 지속성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性微) 온(溫), 맛이 맵고 한(寒)을 흩어버리며, 기(氣)의 순환을 돕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진통, 해독,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구풍약(嘔風藥)으로서 구토, 심복동통(心服疼痛), 요슬허냉(腰膝虛冷), 기역천식(氣逆喘息), 심장쇠약 등의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화왕, 기허하함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포편으로 만들어서 생용한다. 사용할 때는 부수거나, 또는 가루로 만들어서 이용한다.
▶ 처방예 침향강기환, 침향화담환, 침향천마탕.

▶강황(薑黃)


▶ 산지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 현재 인도네시아, 인도, 중국 남부, 베트남, 대만, 멕시코, 일본
▶ 선품 :외면은 황색으로 윤절(輪節)이 있으며 질이 단단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매우며 파혈(破穴), 행기(行氣), 통경(通經), 지통(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이(利)담, 방향성건위제(芳香性健胃劑)로서 월경불통, 흉복통, 황달, 사지의 풍한습비(風寒濕痺), 토혈, 혈뇨(血尿)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혈허(血虛)로 기체(氣滯)한 이는 쓰지 않는다.
▶ 수치 :혈어(血瘀):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강황산(薑黃散).

▶패모(貝母)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충실하며 과립(顆立)이 평균적이며 정단(頂端)이 개열(開裂)하지 않고 색은 순백(純白)하며 분성(粉性)이 풍부한 것이 좋다 (川貝母). 인편(鱗片)이 비후(肥厚)하며 표면 및 단면은 백색이며 분성(粉性) 이 풍부한 것이 좋다 (浙貝母).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다. 지해화담(止咳化痰), 청열산결(淸熱散結)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鎭咳), 거담, 배농제(排膿劑)로서 번열(煩熱), 후비(喉痺), 현기증, 해수, 구갈, 일체의 종독(腫毒)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강즙초(薑汁炒)- 위한(胃寒)인 사람에게 이용된다.
▶ 처방예 당귀패모고삼환료(當歸貝母苦蔘丸料),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길경백산(桔梗白散), 패모탕(貝母湯).

▶현호색(延胡索)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괴경(塊莖)이 크고 충실하며 황색이고 단면도 황금색으로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쓰다. 활혈(活血), 산어(散瘀), 이기(理氣), 지통(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정혈(淨血), 진통, 진경제(鎭痙劑)로서 흉복제통(胸腹諸痛), 월경불순, 산후복통, 두통, 월경통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임부와 혈허자(血虛者)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파혈파기(破血破氣).
단초(單炒)- 조혈(調血).
주초(酒炒)-활혈거어(活血祛瘀)
초초(醋炒)- 평간(平肝), 지혈, 지통.
초자(醋煮)- 양간(養肝).
주초초(酒醋炒)- 지통(止痛).
▶ 처방예 삼신환(三神丸), 안중산(安中散), 절충음(折衝飮).

▶강활(羌活)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은 비후(肥厚)하며 솟아오른 고리무늬가 있으며 단면은 국화무늬를 나타내며 기미가 청향(淸香)으로 짙은 것이 좋다. 잠강(蠶羌)은 품질이 가장 좋으며 죽절강(竹節羌)은 이것에 버금간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쓰다. 산표한(散表寒), 거풍습(祛風濕), 관절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 진경(鎭痙), 신진대사부활제활제(新陳代謝賦活劑)로서 두통, 관절통, 류마티즈, 신체동통, 풍한습비(風寒濕痺), 항강근급(項强筋急), 옹저(癰疽)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혈허(血虛)로 풍한습사(風寒濕邪)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천궁다조산(川芎茶調 散), 당귀념통탕(當歸拈痛湯), 진환강활탕(秦還姜活湯)

▶향부자(香附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후(肥厚)하며 회갈색으로 질이 단단하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척강성산은 남향부' 산동성산을 ' 동향부'라 부르며 품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맵고 약간 쓰다. 이기(理氣), 해울(解鬱), 조경(調經), 지통 효능이 있다.
▶ 효능: 성평(性平), 맛은 맵고 약간 쓰다. 이기(理氣), 해울(解鬱), 조경(調經), 지통 효능이 있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혈열(陰虛血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해울(解鬱)
②초자- 이기혈(理氣血), 지혈(止血).
③초초(醋炒)- 행기소적(行氣消積).
④주초(酒炒)- 행경락(行經絡).
⑤염수초- 윤조(潤燥), 조기(調氣), 보신기(補腎氣).
⑥강즙초(薑汁炒)- 화담음(化痰飮).
⑦초탄(炒炭)- 지혈(止血).
▶ 처방예 향소산(香蘇散),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향궁탕(香芎湯).

▶옥죽(玉竹)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후하고 길며 희고 광택이 있으며 촉촉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달다. 양음윤조(養陰潤燥), 생잔자걸(生津止渴)등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 강장제로서 신체허약자, 다한(多汗), 다뇨, 유정(遺精), 조열구갈(燥熱口渴), 허로발열(虛勞發熱)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양쇠음성(陽衰陰盛), 비허흉민(脾虛胸悶)과 담습어체자(痰濕瘀滯者)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청열양음(淸熱養陰)작용이 좋고 풍열(風熱)을 발산시키는 데 이용한다. 제옥죽(製玉竹), 증숙용(蒸熟用), 보중익기(補中益氣), 자음윤조(滋陰潤燥)에 이용한다.
초옥죽(炒玉竹): 건위, 화위(和胃)효능이 있다.
▶ 처방예 옥죽음(玉竹飮).

▶고량강(高良薑)


▶ 산지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이 충실하며 적갈색으로 맛은 매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온중산한(溫中散寒), 지통소식(止痛消食)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진통, 구풍제(區風劑)로서 완복냉통(脘腹冷痛), 비위중한(脾胃中寒), 구토, 식체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陰虛)하고 열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고량강탕(高良薑湯), 안중산(安中散)

▶현삼릉(荊三稜)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견실하며 외피를 완전히 긁어내고 외면은 황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고 달다. 파혈(破血), 행기(行氣), 소적(消積), 지통 효능이 있다.
▶ 효능: 통경(通經), 구어혈(驅瘀血), 진통제로서 징(徵)가적취(積聚), 혈고경폐(血枯經閉).
▶ 용량
▶ 금기: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①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②초초(醋炒)- 조성(燥性)을 감소시키고 수렴성(收斂性)을 증가하고 소적지통(消積止痛) 작용을 증가시킨다.
③부초(莩炒)- 조성(燥性)을 제거하고 이습(利濕)에도 이용된다.
④주부초(酒莩炒)- 행기파혈(行氣破血) 효능을 돕는다.
▶ 처방예 삼릉환(三稜丸).

▶우절(藕節)


▶ 산지 : 중국.
▶ 선품 :마디 부분이 흑갈색, 양단부는 흰색으로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고 떫다, 지혈, 산어(散瘀)효과가 있다.
▶ 효능 지혈, 화어제(化瘀劑)로서 해혈, 토혈, 육혈, 혈변, 혈리(血痢), 혈붕(血崩)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 수치 생용- 청혈열(淸血熱), 지갈(止渴), 화어(化瘀).
초탄- 지혈.
▶ 처방예 백급(白及)비파환(把丸).

▶대황(大黃)


▶ 산지 :북대황(北大黃): 한국, 남대황(南大黃): 중국
▶ 선품: 외면은 홍갈색으로 비단무늬 및 별점(星點)이 뚜렷하며 질이 결실하고 유성(油性)이 있으며, 향기가 산뜻하고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열독(熱毒)을 제거하며 적체(積滯)를 뚫고 어혈(瘀血)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 사하(瀉下), 장수렴제(腸收斂劑)로서 숙식정체(宿食停滯), 설사, 어혈(瘀血), 경페(經閉), 수종(水腫), 습열(濕熱), 변비, 옹종(癰腫)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 실열(實熱)과 적체(積滯)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대황(生大黃)- 사하력(瀉下力)이 강하다.
주대황(酒大黃)- 활혈행어(活血行瘀) 효능을 증가시킨다.
제대황(製大黃)- 작용완화(作用緩和), 청습열(淸濕熱).
초탄(炒炭)- 행혈지혈(行血止血)
▶ 처방예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 대승기탕(大承氣湯),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대황감초탕(大黃甘草湯), 소승기탕(小承氣湯),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황련(黃連)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은 비후(肥厚)하며 연주형으로 질이 충실하며 단면은 적황색으로 잔경과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맛은 쓰다. 사화(瀉火), 조습(燥濕), 해독,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고미건위(消炎性苦味健胃), 진정, 지리제(止痢劑)로서 열사복통(熱瀉腹痛), 열병, 심번(心煩) 토혈, 소갈, 목질적통(目疾赤痛), 구설생창(口舌生瘡), 옹종(擁腫), 소화불량, 급성장염, 회충병, 화상, 습진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3g.
▶ 금기 음허번열(陰虛煩熱), 비허설사(脾虛泄瀉), 산후(産後)에 혈허번열(血虛煩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청열사화(淸熱瀉火).
②초제(炒製)- 한성(寒性)을 제거시킨다.
③강즙반초(薑汁拌炒)- 화담(化痰), 온중(溫中), 지구(止嘔)에 이용된다.
④주초(酒炒)- 상초(上焦)의 화(火)를 제거한다.
⑤오수유초(吳茱萸炒)- 간담(肝痰)의 실화(實火)를 제거한다.
⑥염수초- 대장, 방광의 적열(積熱)을 제거한다.
⑦초탄(草炭)- 지혈(止血).
▶ 처방예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좌금환(左金丸), 황련탕(黃連湯), 황련환(黃連丸).

▶지모(知母)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은 단단하며 표면은 금황색인 것이 좋다. 하북산 좋고 '서릉지모(西陵知母)'라고 부르고 있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다. 자음강화(滋陰降火), 제번지갈(除煩止渴), 윤조활장(潤燥滑腸)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정, 이뇨, 진해(鎭咳), 지갈제(止渴劑)로서 번열소갈(煩熱消渴), 대변조결(大便燥結), 골증노열(骨蒸勞熱), 폐열해수(肺熱咳嗽), 소변불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약(脾胃虛弱), 소화불량, 대변당설(大便糖泄)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사화력(瀉火力)이 강하다.
초제(炒製)- 한성(寒性)을 완화하고 상행약(上行藥)으로 이용된다.
염수초(水炒)- 신(腎)에 들어가사 윤조자음(潤燥滋陰)에 이용된다.
▶ 처방예 대보음환(大補陰丸),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 백합지모탕(百合知母湯), 백호탕(白虎湯), 지백팔미환(知柏八味丸).

▶모근

▶황정

▶창출(蒼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은 견실하며 유실점(油實點)이 많으며 절단면에 백상(百霜)이 나타나는 것이 좋다. 중국 강소성의 모산(茅山)에서 나는 것은 질량이 함께 우수하므로 '모출(茅朮)'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매우며 건비(健脾), 조습(燥濕), 발한(發汗), 해울(解鬱)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발한제(發汗劑)로서 식욕부진, 설사창만(泄瀉脹滿), 풍한습비(風寒濕脾), 구토, 담음(痰飮), 수종(水腫), 시기(時氣)감기, 야맹증등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음허유열(陰虛有熱), 조결다한(燥結多汗)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창출- 미감수침(米甘水浸)후 절편 하여 햇볕에 바래고 말린 것으로 약성이 신조(辛燥)하며, 두풍담습(頭風痰濕)의 발산을 활발하게 한다.
부피초( 皮炒)- 신조(辛燥)의 약성을 감소하고 건비이습(健脾利濕)에 이용한다.
토초(土炒)- 보비조습(補脾燥濕), 토사를 멎게 하며 담수(淡水)를 제거하는데 이용한다.
초창출(焦蒼朮)- 온비(溫脾), 거습(祛濕), 지사(止瀉)에 이용한다.
초탄(炒炭)- 그 조성(燥性)을 완화하고 조한(燥寒) 증세인 사람에게 알맞다.
제창출(製蒼朮)- 미감수(米 水)를 침투시킨 후 다시 쪄서 검게 변한 것으로 그 신조(辛燥)의 약성을 감소시킨다.
▶ 처방예 평위산(平胃散),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이출탕(二朮湯), 백호가창출탕(白虎加蒼朮湯).

▶반하(半夏)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괴경(塊莖)이 크며 희고 질은 견실하며 분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운남소통산은 알이 둥글고 질이 단단하며 색이 희므로 '진주반하(珍珠半夏)'라고 부르며 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유독하여, 조습화담(燥濕化痰), 강역지구(降逆止嘔), 소비산결(消 散結), 지해(止咳)효능이 있다.
▶ 효능 진구(鎭嘔), 진정, 소염지해제(消炎止咳劑)로서 담습수음(痰濕水飮), 흉격창만(胸膈脹滿), 구토, 해천(咳喘), 두통불면, 임신구토, 입덧등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일체혈증(一切血症), 음허진상자(陰虛津傷者),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분말로 만들어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외용(外用), 청반하(淸半夏), 강반하(薑半夏), 법반하(法半夏), 선로반하(仙露半夏), 반하국(半夏麴); 반하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조습화담(燥濕化痰), 지구(止嘔)등에 이용된다.
▶ 처방예 이진탕(二陣湯), 건강인삼반하환(乾薑人蔘半夏丸),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소반하가복령탕(小半夏加茯湯), 대반하탕(大半夏湯), 반하자심탕(半夏瀉心湯), 연년반하탕(延年半夏湯).

▶산약(山藥)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충실하고 분성(粉性)이 풍부하며 색은 흰 것이 좋다. 중국산은 산량(産量)이 좋으므로 회산약(淮山藥) 또는 회산약(懷山藥) 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다. 건비위(健脾胃), 보폐신(補肺腎), 익정(益精)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滋養)강장, 거담(祛痰), 지사제(止瀉劑)로서 설사구리, 소갈(消渴), 허로해수(虛勞咳嗽), 유정(遺精), 대하(帶下), 소변빈수(小便頻數), 도한(盜汗)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0∼15g.
▶ 금기: 습열실사(濕熱實邪)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자음약(滋陰藥)으로 이용된다.
숙용(熟用)- 보익(補益), 건비위(健脾胃).
초제(炒製), 부제( 製), 토초(土炒)- 화비위(和脾胃)작용을 돕는다.
강즙초(薑汁炒)- 이비(理脾).
▶ 처방예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 지백팔미환(知柏八味丸).

▶천궁(川芎)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이 충실하며, 단면은 황색으로 향기는 짙은 것이 좋다, 평(平)구상(上)에서 재배한 '구천궁'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구풍지통(驅風止痛), 이기활혈(理氣活血), 배농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 진정, 방향성통경제(芳香性通經劑)로서 월경불순, 두통현운(頭痛眩暈), 흉협창통(胸脇脹痛), 반신불수, 옹저(癰疽)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상성하허(上盛下虛) 및 기약자(氣弱者)는 금할 것.
▶ 수치 주초(酒炒)- 활활통경(活血通經) 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사물탕(四物湯),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생화탕(生化湯),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옹종산(擁腫散).

▶백급(白及)


▶ 산지 :중국
▶ 선품 :구경(球莖)이 비후(肥厚)하고 색은 희며 반투명으로 충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다. 보폐(補肺), 생기(生肌), 화담(火痰), 지혈(止血), 소종(消腫)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 배농(排膿), 점활(粘滑), 완화제(緩和劑)로서 토혈, 육혈(毓血), 옹종(擁腫), 화상 등에 외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외감해혈(外感咳血), 폐위에 실열(實熱)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쪄서 잘라 이용한다.
▶ 처방예 백급비파환(白及批把丸).

▶생강(生薑)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색은 희고 분질이 풍부하며 맛은 매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맵다. 발표산한(發表散寒), 온중지구(溫中止嘔), 소담행수(消痰行水), 해독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 ?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