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시 : 2014년 1월25일 토요일
가루고개(발딱지고개)[09:26] - 124m봉[09:35] - 모래고개[09:39]
- 동암산[09:54] - 무르티고개[10:07] - 안산[10:21] - (구)은봉산[10:48] - 고산지맥분기점[10:54]
- 201m봉[11:10] - 나분들고개[11:20] - 양대산[11:28~11:30] - 간대산[11:41] -
도로공사중인 다리입구[11:53] - 율목2리 입구 삼거리(부흥정미소 입구)[12:04] -
장자울오거리[12:11] - 142m봉[12:28] - 모가울고개[12:38] - 113.5m봉[12:52] -
서산구치소 철조망[13:02]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정문[13:12] - 성연고개[13:14]
- 180m봉[13:33~13:48; 점심] - 산불표지석 있는 임도 갈림길[13:57] - 성왕산[14:16~14:18]
- 급경사 갈림길[14:20] - 사각정자[14:25~14:33] - 성황당고개[14:36] - 165m봉[14:42]
- 내동고개[14:52] - 186m봉[15:03] - 198.5m봉 삼각점[15:13] - 6번 송전탑[15:24]
- 골프장 그물망 정면[15:34] - 윗갈치[15:39] - 서산궁도장(서령정)[15:44]
가루고개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소중1리에
있는 고개로 647번 도로가 지나간다. 소중1리 표지석이 있고,
운산면 갈산리에서 태봉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주변에 칡이 무성했다고 한다. 이곳은 한우종축 보호지역으로 삼화목장(서산목장)이 있다.
모래고개(沙峴): 운산면 갈산리에서 가재울로 넘어가는 고개로 모래가 많아 여름 우기에는 사태가 난다고 한다. 모래고개로는 서해안고속도로가 통과하고 그 아래로는 마을도로가 개설돼 있다. 모래고개(沙峴);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갈산리 사현(沙峴)은 모래와는 상관없이 붙여진 이름이라한다.?
동암산(銅岩山)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좌리와 갈산리에 걸쳐 있는 산이며 높이는 176.3m이다. 서해안 고속도로을 지날 때 서산 IC 뒷산이 동암산이다. 우측으로 서산의 들녘과 성암 저수지가 보인다.
동암산성(銅岩山城)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좌리 동쪽에는 갈산리와 경계를 이루는 동암산이 있는데, 동암산성은 둘레 약 230m의 소규모 토축 산성으로 동암산 정상부에 있다. 산성이 자리한 곳은 동암산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 내린 능선에 해당한다. 동암산성은 남단에 가장 높게 돌출된 정상부를 감싸고 있다. 성벽은 남쪽과 북쪽이 짧고, 동쪽과 서쪽이 길쭉한 평면 장타원형을 이룬다. 따라서 북쪽은 더 높은 산이 연결되어 전망이 좋지 않지만 남쪽으로는 시야가 매우 좋은 편이다. 2011년 현재 동암산성의 성벽은 대부분이 붕괴되고, 남벽에서만 잔존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데, 규모는 높이 약 2m, 상부 폭 2.5~3m 정도이다. 성벽 가운데, 동북벽 모퉁이와 북서벽 모퉁이 성벽은 능선을 관통하는 안정적인 지형 위에 축조되어 잔존 현황이 가장 양호한 편이다. 성의 부대시설로는 웅덩이가 확인되는데, 성내 정상부에 넓게 형성된 평탄 대지[직경 12m] 동쪽에 치우쳐 자리한다. 호안석은 확인되지 않으며, 직경 6m, 잔존 깊이 1m의 규모로 남아 있다. 산성의 입지를 고려할 때, 동암산성은 서산시 운상면 가좌리와 갈산리 사이를 오가는 산간 교통로를 통제하던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성내에서 유물이 수습되지 않고,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사용 시기를 알 수 없다. 추후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보다 정확한 성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서산시-
무르티고개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소재지에서 국도 32호선을 따라 2㎞ 정도 가면 갈산리 무르티고개가 나오는데, 무르티고개를 넘기 전 북쪽에 있는 자연 마을이 바로 갈산1리의 산막마을이다. 풍수지리상 고개의 모습이 노인이 춤추는 형국이라 하는 무르티고개는 일본서기에 기록돼 있는 백제 난민들의 최종 집결지였던 ‘무테’를 일컫는 것이라는 학설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호산록을 통해 상왕산의 상왕이 실제 인물로 밝혀지면서 갈산1리를 비롯한 운산면 일대가 백제부흥운동(663년)의 거점이었던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다. 이런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아직까지는 연구가 많이 부족해 주민들은 앞으로라도 갈산1리를 비롯한 인근지역에 숨겨져 있는 역사의 비밀이 밝혀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무루티고개에는 서산휴게소가 금북정맥을 짓누르고 있다. -참고자료; 초보산꾼의 발길 닫는 곳 금북정맥 산행기-
안산 : 안산은 풍수지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는데, 집앞에 엎드려 있는 산이라는 뜻을 가진다고 한다. 곧 이 안산이 마을로 들어오는 바람을 막아주는 역활을 하여 든든한 명당이 된다는 것이다.
은봉산(銀峰山)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 음암면 탑곡리와 당진군 정미면 수당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은봉산(隱鳳山)은 봉황이 숨어들은 산이라는 데서 유래되었으며 높이는 283.5m이다. 또는 봉황이 숨어 있는 형상과 닮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은봉산 일대의 지질은 원생대의 태안층이 서산층군에 속하는 편암류 및 편마암류 위에 부정합으로 놓여 구성되었다. 정미면 봉화산에서 시작하여 주 능선 방향인 남쪽으로 은봉산, 동암산까지 이어져 있으며, 오랜 시간 동안 풍화와 침식에 의해 기반암의 해체 과정에서 형성된 구릉과 구릉성 산지들이 이어져 있다. 은봉산 주변의 곡간지 사이에는 논과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은봉산 북사면에 있는 당진군 정미면의 안국사 터는 고려 왕조를 수호하던 사찰로 추정된다. 그러나 지금은 문화재로 지정된 몇 점의 유물들과 축대, 장대석, 주춧돌, 기와 조각, 절터만 남아 있을 뿐, 옛날의 번성했던 영화를 찾아볼 길 없다.
보물 제100호인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은 본존 높이가 4.91m이며, 머리 위에 직사각형의 갓을 썼고, 몸체는 사각기둥형이다. 보물 제101호인 당진 안국사지 석탑은 높이 3m로 안국사 창건 당시 조성한 고려 시대 작품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63호인 안국사지 매향암각에는 높이 2.93m, 길이 13.35m, 너비 2.5m의 커다란 자연석에 새겨진 암각문이 있다. - 출처; 디지털서산문화대전-
충청남도 당진군의 정미면과 서산시 음암면, 운산면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
높이는 263m이다. 북쪽으로 봉화산, 서쪽으로 간대산으로 연결된다. 산의 북쪽 기슭에는 안국사지가 있는데, 백제 말엽에 창건되어 고려 시대에 융성하였던 대사찰이었다고 한다. 석불, 석탑, 석축, 하수구 등이 남아 있어 사찰이 있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석불입상(보물 제100호)과 석탑(보물 제101호)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해미)에 "현 북쪽 38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안국산(安國山)'이라고도 부른다.
-참고자료;
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은봉산 [銀峰山]-
당진군 정미면과 서산시 응암면, 운산면의 경계에 있으며
높이는 283.5m이다. 안국산(安國山)이라고도 부른다. 옛날 조선조에는 숨을 은(隱)자에 봉새 봉(鳳)자로 隱鳳山 (봉황이 숨어있는 산)으로 불려 오다가 중간에 銀峰山으로 잘못 전해져 온 것이라는 말도 있다. 다른 지역의 은봉산도 隱鳳山으로 불리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더러는 隱峰이라 해서 봉이 숨어있다는 표현도 더러 보인다고 한다. 당진군 정미면 수당리 해발 283m의 은봉산 아래에는 이질적인 공간 안국지(安國池)와 안국사지(安國寺址)가 들어서 있다. 1530년(조선 중종 25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미현조'에 '안국산에 안국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나오지만 사찰의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출처;
초보산꾼의 발길닫는곳 금북정맥 산행기에서-
나분들고개 : 충청남도 서산시의 음암면 도당리와 당진군 정미면 덕삼리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양대산(175m) 동쪽에 남북방향으로 놓여 있다. 이 고개 양쪽 산의 높이는 거의 비슷하고, 거리도 500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그래서 고개가 밋밋한 넓은 분지처럼 생겼는데, 이 고개의 지형적 생김새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나분들고개는 한자로 표기하여 나분야현(羅盆野峴)이라고 전한다. '나분들'이란 울릉도의 나리분지와 같은 형태의 지형이라고 전한다. -출처; 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
양대산(良垈山) : 충청남도 서산시의 음암면과 당진군 정미면 사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75m이다. 1970년대에 제작된 현대지도에는 이 산이 간대산(艮垈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수정되어 제작된 「1:25,000 지형도」에는 한글로만 '양대산'이라고 되어 있다. '간대산'의 한자를 잘못 읽어 표기한 것에서 나타난 오기로 여겨진다.
『1872년지방지도』에는 동쪽의 가야산에서 산줄기가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방향을 틀어 서쪽의 성왕산과 서산읍치의 주산으로 이어지는 중간쯤에 간대산(干大山)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서산군지』(1926)에 '자모산은 산맥이 음암면과 정미면 사이의 간대산(艮大山)에서 나와서'라는 기록과 '은봉산으로부터 두 줄기로 나뉘어 한 줄기는 서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덕삼리와 음암면 도당리 사이에 이르러 간대산이 되고'라는 기록이 있다. 『서산의 지명』에도 간대산(艮大山)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명 간대산(間帶山)이라고도 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이처럼 자료마다 한자 표기가 다르다. 그러나 한자 표기의 음이 같은 것을 보면 지명의 발음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다르게 표기된 것으로 여겨진다. 『음암면지』에 의하면 간대산은 음암면의 주산이며, 이 산에서 바라보는 음암 전경[艮垈山瞰面]은 음암 8경 중 제일경이라고 한다.
-참고자료;
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양대산 [良垈山]
간대산(艮大山; 188m) :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88m이다. 서산시는 2010년 태풍 곤파스의 피해를 입은 간대산을 재정비하여 명산으로 가꾸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다.『서산군지』(1926)에 간대산(干大山 )이라고 표기되어있고 『서산의 지명』에도 간대산(艮大山)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일명 間廗散이라고 한다고 언급되어있다. 음암(音岩)이라는 면이름은 한자의 뜻에 따라 '소리나는 바위', '들림바위', '두룸바위'에서 유래되었다고 전래한다. 『음암면지』에 의하면 간대산은 음암면의 주산이며, 이 산에서 바라보는 음암 전경[艮垈山瞰面]은 음암 8경 중 제일경이라고 한다.
장자울오거리 : 장자울 마을은 예전에 장자(부자를 높임말)가 살았다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모가울고개(木瓜洞 - ) :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 갈현리에 모가울 마을이 있으나 음암면 율목리에도 모가울 마을이 있다. ‘모가울’ 마을은 모과나무가 많아서 얻어진 지명이라 한다. 2차선인 649번 지방도로가 지나가는 고개이다.
성연고개(聖淵 -) : 서산시 성연면 갈현2구 버스정류장이 있는 2차선 도로이며,
갈고개라고도 불리운다.
고개마루에 칡이 많은데서 유래된 명칭이 갈고개이다.
갈현리는 갈고(葛古)리와 용연(龍淵)동, 과(果)동, 갈현(葛峴)리등 4개 마을을 합쳐서 갈현리가 되었다.
마을 유래는 갈고개 밑에 형성된 마을을 한역으로 번역하여 현재의 이름이 되었는데 갈고개란 고개마루에 칡이 많은데서 유래된 명칭이다.
갈현1리에는 사진개, 금암(金岩), 당골, 구억말(九億村)이 있었는데 사진개(砂濜浦)는 바다와 연계되는 뻘을 의미하고, 금암은 갈현천 바닥이 바위로 되어 있어 유래되었다 한다.
그리고 구억말은 구석진 곳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갈현2리에는 모가울(木瓜洞), 용현동(龍賢), 불당골, 융골(融谷), 개골 등 이 있는데 모가울은 음암면 율목리에도 모가울이 있기에 옛날 모과나무가 많아서 얻어진 지명이라 하고, 용현동은 1895년 마을이름이 용현(龍賢)이었는데 1914년 기록부터 용연(龍淵)으로 바뀌였다.
용과 관련된 전설은 없으나 마을주변은 가뭄에도 한해를 모르기 때문에 용연(龍淵)으로 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불당골은 암자가 있었다는데서 유래된 것이며, 융골(融谷)은 현재 동희오토와 다이모스가 있는 분지형 마을이고, 개골(犬谷)은 지형이 개가 누워 있는 것과 유사하다 해서 불리워 졌다고 한다.
-출처; 디지털서산문화대전-
성연면(聖淵面) : 서산지방의 읍면동 행정구역은 무수한 변천이 있어 왔지만 성연면 만이 유일하게 조선시대부터 성연면으로 되어 왔다. 성연면은 이름이 성인聖자와 못淵자로 된 이름으로 그 유래는 성연면 왕정리에 있는 옥동샘으로 추정하고 있다. 옥동샘에서 용이 승천하면서 큰 인물이 배출 될 것이라는 전설이다. 성연은 해상운송의 중심지로 되어 1928년부터 명천포에서 인천으로 왕래하는 정기여객선이 운항 될 정도로 활발했고, 가장 먼저 유행의 선진문물을 받아 드리는 지역이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육로교통의 발전으로 인천과 정기여객선이 폐쇄되고 1984년 대호방조제가 축조되면서 평범한 농촌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출처; 성연면 홈페이지-
성왕산(聖王山) : 충청남도 서산시의 성연면 갈현리, 음암면 부산리 · 온석동 온동에 걸쳐 있는 산이다(고도:252m). 서산 지방에서는 '스낭산'이라고도 부른다. 성왕산 낙조는 음암 8경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사료를 통해서 산 이름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엿볼 수 있는데, 그 유래에 대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인근에 성왕사(聖旺寺)가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
내동고개 : 서산시 동문동 내동마을과 성연면 일람리 토골마을을 이어주는 고개이다.
윗갈치 : 충남 서산시 갈산동과 성연면의 경계이며, 29번과 77번국도가 지난다. ‘서령정(瑞寧亭)’이라는 서산궁도장이 있다.
[09:26] : 가루고개(발딱지고개) 출발
- 소중1리 마을 표지석을 지나고
[09:28] : 호반농원 표지판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능선으로 ...
[09:34] : 110번 송전탑
[09:35] : 124m봉(110번 송전탑이 있는 봉우리)
[09:37] : 서해안고속도로가 보이는 묘지를 지나
[09:38] : 우측으로 콘크리트 도로 따라 내려가서
[09:39] : 좌측의 서해안고속도로 아래 굴다리를 지나면 좌측으로는 가좌1리(달래마을) 표지석이 있고, 우측 작은 시멘트길로 오른다
[09:40] : 시멘트길에서 좌측 나무 계단으로 ...
[09:46] : 나무벤치 1개가 있는 봉우리를 넘는다
[09:49] : 173m봉 - 나무 벤치 2개가 있는 봉우리
[09:54] : 동암산(176.3m)
- 운동 시설이 있는 쉼터
[09:58] : 벤치 1개가 있는 내림길을 진행
[10:02]
: 묘지 옆을 지나면
[10:02] : 132m봉 - 벤치 1개가 있는 갈림길인데 약간 좌측으로 내려간다
[10:04] : 노란 물탱크 있는곳을 지나서
[10:06] : 임도에 접속하여 우측의 현대오일뱅크 주유소 방향으로 가는데 맞은편
언덕에 정자가 보인다
[10:07] : 무르티고개 - 우측으로 서해컨벤션 웨딩홀이 보이고, 좌측으로 나가 보면 (구)32번국도인데 좌측에 가좌리 버스정류장이 보이고, 우측 현대오일뱅크 주유소 앞을 지나 도로 따라 내려간다
[10:10] : (신)32번국도를 건너기 위해서 도로를 따라 내려가 굴다리 입구
횡단보도를 건넌다.
[10:13] : 굴다리를 통과하여 좌측 과일가게를 향해 간다
[10:13] : 과일가게에서 우측으로 보면 작은 시멘트길이 있고 ,곧 바로 임도길이 시작되는 안산 들머리이다
[10:16] : 묘지 위 가운데로 올라가면 곧 이어 묘지를 또 만나고 계속 오르면
[10:19] : 철조망이 있는 능선 접속 삼거리에서 우측이 정맥길이다.
[10:21] : 안산(148m)
[10:26] : 매봉재
[10:35] : 107번 송전탑
[10:40] : 269m봉
- 좌측으로 꺽어진다
[10:48] : (구)은봉산(283.6m)
이정표<← 은봉산 1.3 Km, ↓ 서산시 여미리, → 원당지 1.4 Km>
좌측 은봉산 방향으로 내려간다
[10:54] : 고산지맥 분기점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 직진하면 고산지맥인 (신)은봉산 방향이다.
[10:57] : 251m봉을 좌측으로 보며 우측 내리막으로 진행
[11:01] : 우측의 임도로
내려갈 수 있는 길을 보면서 계속 직진
[11:10] : 좌측의 201m봉을 보며 지난다
[11:20] : 나분들고개
[11:28] : 양대산(175.5m)
- 정자와 삼각점(당진 443)
[11:30] : 양대산 출발
[11:39] : 간대산 갈림길
이정표<↑ 간대산 0.2 Km, ↓ 하산로(도당1리) 1.0 Km, ← 하산로(문양2리) 0.9 Km>
[11:41] : 간대산(188m)
[11:43] : 간대산 출발
[11:45] : 간대산 갈림길
- 정자가 보이는 하산로(문양2리) 0.9 Km 방향으로 내려간다
[11:46] : 사각 정자
[11:50] : 쉼터와 체육시설
[11:51] : 117번 송전탑
[11:53] : 도로 공사중인 다리 입구
[11:55] : 간대산 입구 쉼터 - 화장실, 정자, 운동시설
[11:56] : 파란색 지붕 집의 담장이 도로에 접속되어 있는 삼거리로 담장 모퉁이에 이정표<↓ 등산로입구 정상 1.1 Km 간대산>- 우측으로 진행
[11:59] : 율목리 사거리
- 2차선 도로를 따라 직진
[12:04] : 율목2리 입구 삼거리
- 율목리 버스정류장이 있고, 율목2리 표지석, 부흥정미소 50m 표지판 방향으로 간다
[12:06] : 부흥정미소
[12:08] : 삼거리
1시 방향으로 직진
[12:11] : 장자울 오거리
- 좌측 10시 방향
[12:14] : 문양2길 표지판있는 삼거리를 지난 후 곧 이어 도로에서 우측으로 142m봉을 향해 오른다
[12:15] : 잘 조성 된 묘지를 지난다
[12:18] : 좌측으로 장뇌삼 재배 표지판이 달린 철조망 울타리와 우측의 탱자나무 사이로 간다
[12:20] : 묘지 있는 갈림길에서 계속 탱자나무 울타리 좌측으로 진행
[12:28] : 142m봉
- 잡풀 속에 124번 송전탑이 있고 조금 지나 좌측 수레길을 따라 간다
[12:31] : 하얀 물탱크
있는 곳에서 물탱크를 끼고 우측으로 진행
[12:34] : 단풍나무 조경수 사이길
[12:37] : 125번 송전탑
[12:38] : 모가울 고개
- 직진 하여 도로 따라 진행
[12:41] : 우측으로 농가가 있고 검정 그믈망으로 싸여 있는 구조물을 지난 후 바로 우측 수레길로 오른다
[12:50] : 113.5m봉 갈림길
- 정맥길인 좌측 아래에 원형으로 조성된 청주한씨 납골묘가 보이고,
직진하면 113.5m봉이다.
[12:52] : 113.5m봉
- 삼각점(서산 456)
[12:54] : 113.5m봉 갈림길
[12:55] : 청주
한씨 납골묘지
[12:56] : 좌측으로 가옥들이 보이고 우측 1시 방향으로 직진
[13:02]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철조망에서
좌측으로 진행
[13:02] : 좌측에 대나무 숲이 있다
[13:07]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철조망이 우측으로 꺽이면서 임도에 접속되는 지점
[13:11]
: 언덕을 넘어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건물이 보이는 내림길
[13:12]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정문앞 - 도로
좌측 성연고개(갈현고개)를 향해 진행
[13:14] : 성연고개(갈현고개)
- 축사(양계장)를 지나 우측 포장길을 따라 갈현농장 방향으로 진행
[13:14] : 갈현농장 표지판이 있는 빨간 벽돌집에서 우측 포장길을 따라 진행
[13:16] : 빨간 기와 지붕이 있는 집 대문 진입하기 전에 좌측으로 오른다
[13:33] : 180m봉 - 긴 의자 두개가 있고 의자 위에 표지판이 있다
- 늦은 점심
[13:48] : 식사 후 출발
[13:52] : 나무 벤치 1개가 정맥길 옆에
있는 갈림길에서 계속 직진
[13:56] : 언덕 넘어 삼거리 갈림길 - 우측 진행
[13:57] : 산불조심 표지석이 있는 임도 갈림길
- 직진하여 능선으로 오른다
[14:14] : 성왕산 전위봉
[14:16] : 성왕산(252m)
- 운동기구, 긴 의자, 산불감시카메라, 삼각점(서산 314)
[14:18] :
성왕산 출발하자마자
[14:18] : 폐 헬기장
[14:20] : 급경사 갈림길
- 좌측 사각정자가 보이고 그 뒤로 파란색 축사 지붕이 보이는 길이 정맥길
- 직진하면 알바
[14:25] : 사각정자 - 휴식
[14:33] : 사각정자 출발
[14:35] : 파란색 지붕의 축사
조성 지대(예전에 개 사육장이 있던곳)
[14:36] : 성황당 고개
- 임도를 건너 직진하여 수레길을 오른다
[14:38] : 수익산업시설이라는 경고문과 함께 철문이 있는 곳
[14:42] : 165m봉
- 운동시설이 있고 삼홍저수지가 보인느 곳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4:47] : 긴 의자와 운동시설이 있는곳
[14:48] : 140m봉
[14:49] : 우측으로 덕수장씨 납골묘역을 보며 내려간다.
[14:52] : 내동고개
[14:55] : 좌측의 송전탑을 보며 진행
[15:01] : 스텐 봉으로 임도를 막아 놓은 갈림길
- 직진하여 봉우리를 오르면
[15:03] : 186m봉 - 긴 의자와 이정표 <↑ 전망대 1 Km, ↓ 성왕사 2 Km>
[15:04] : 186m봉에서 바위를 지나 우측으로 내려간다(직진하면 서산으로 간다).
-
곧 이어 임도(186m봉 오르기 전 스텐 봉으로 임도를 막아 놓은 갈림길)를 만나고,
임도에서 우측으로 5m 정도가다가 좌측으로 내려간다
[15:08] : 납골묘
[15:09] : 또 다른 납골묘
[15:13] : 198.5m봉
- 삼각점(서산 453)
[15:20] : 갈림길에서 좌측 송전탑 방향으로 내려간다
[15:24] : 6번 송전탑
- 서산종합운동장이 보이고, 우측으로 송전탑과 골프장이 보인다.
골프장 방향으로 진행
[15:27] : 7번 송전탑
[15:32] : 8번 송전탑
- 송전탑을 지나며 좌측으로 진행하면 서산VIP골프클럽 연습장 그물망을 만나면
[15:36] : 골프 연습장을 우측에 두고 좌측의 잡목 사이로 그물망 따라 진행하여 도로에 내려서면
[15:39] : 29번과 77번 국도를(윗갈치) 횡단하여 서산 궁도장 방향으로 진행
[15:44] : 서산궁도장(서령장) 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