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거스님의 좌선의(坐禪義)] 13. 몸과 마음의 일치(身心一如)
“걷는 것도 禪…앉아 있음도 禪”
몸과 마음이 한결같다는 것은 몸과 마음이 일치되어 이성적(理性的)인 지각(知覺)과 감성적(感性的)인 감각(感覺)이 하나 됨을 의미한다. 중생은 몸과 마음이 분리되어 몸이 해서는 안 될 일을 마음이 하고자 하며, 마음으로는 하지 말아야 함을 알지만 또 몸이 자제되지 않으므로 이성과 감성의 갈등이 일어나게 된다.
또 마음으로는 원력을 세우고 수행의 방편을 찾아 정진하고자 하지만 육신이 동물적 감각에 끌려 살(殺).도(盜).음(淫)의 계율을 깨뜨려 뜻을 성취하지 못하는 것은 곧 몸과 마음이 일치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사람이 몸과 마음이 하나 되어 한결같이 순수한 마음으로 일관된다면 이 사람이야말로 세상을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세상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조절하여 한결같이 하지 못하면 아무리 수행을 한다고 하여도 헛수고일 뿐이다.
몸과 마음이 한결같음(身心一如)에 대해
어떤 스님이 남양혜충(南陽慧忠) 국사에게 물었다.
“어떻게 구별할 수 있습니까?”
혜충국사가 말했다.
“이는 몸과 마음이 한결같아서 마음 밖에 다른 것이 없다. 이 때문에 모두 생멸이 없는 것이다.”(師曰 此則身心一如하야 心外無餘라 所以로 全不生滅이니라)
또한 <조당집(祖堂集)>의 구봉(九峰)스님 전기에도 신심일여(身心一如)에 관한 법문이 나오고 있다.
“옛 스님이 말하기를, ‘세간의 지혜와 부처의 지혜는 이름은 같지만 실체는 다르다’ 하는데, 세간의 지혜와 부처의 지혜가 서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구봉선사가 말했다.
“그대는 반딧불의 빛과 태양의 빛이 어떻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우수함과 열등함의 차이가 있겠습니다.”
“너는 종놈이다. 이 때문에 달리 보는 것이다.”
“이미 차이가 있는데 옛 스님은 무엇 때문에 몸과 마음이 한결같아서 마음 밖에 다른 것이 없다고 말하는 것입니까?”
“일이 이미 온전하다면 어찌 같고 다름이 있겠는가.”
말할 때나 침묵할 때, 움직일 때나
고요할 때에 모두 몸이 편안하다
마음이 고요하니 정진하기 즐겁다
問古人有言호되 世智佛智는 名同體別이라하니 未審케라 世智與佛智 相去多少이닛가 師云 道螢光與日光이 又作摩生고 僧云 與則勝劣有殊去也니이다 師云 爲奴郞이라 所以有殊니라 僧云 旣有殊어늘 古人이 因什道身心一如身外無餘고 師云 事旣若全이면 有何同異오
이와 같이 몸과 마음이 한결같은 경지에 이르고자 한다면 먼저 몸과 마음을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미 몸과 마음이 일여(一如)하여 움직이고 고요할 때 틈이 없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움직이고 고요함에 틈이 없다고 한다. 행주좌와에 언행이 다르고 심기가 일치하지 못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또 동정무간(動靜無間)은 동정일치(動靜一致)와 같은 뜻으로 몸과 마음이 하나요 움직일 때나 고요할 때가 하나임을 의미한다. 즉, 움직이는 가운데 고요하고 고요한 가운데 움직임을 말한다.
따라서 좌선할 때나 일어나 움직일 때나 마음에는 변화가 없다. 그래서 영가스님은 <증도가(證道歌)>에서 “걷는 것도 선이요, 앉아 있음도 선이다. 말할 때나 침묵할 때, 움직일 때나 고요할 때에 모두 몸이 편안하다 (行亦禪坐亦禪이여 語動靜體安然이라)”고 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마음을 조절하여 일체 반연을 끊게 하였고, 이제 음식을 조절하여 절제하게 한 것으로써 이를 조식(調食)이라 한다.
조식은 부처님 당시 수행자에게 하루에 한 끼니만을 먹도록 하신 데서부터 엄격히 절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먹는 것과 잠자는 것은 수행이 깊어지면 자연히 조절되는 것이지만 여기에서 각별히 유념케 한 것은 초심자에게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소지관>에서는 조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대개 음식을 먹는 법은 본래 몸을 보살펴 도에 나가고자 함이다.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호흡이 급하고 몸이 포만하여 모든 혈맥이 통하지 않아 마음을 가리고 막히게 하여 앉아 있어도 불안하게 된다. 지나치게 적게 먹으면 몸이 여위고 마음이 불안하여 생각이 견고하지 못하게 된다. 이 두 가지는 모두 선정을 얻을 수 있는 도가 아니다.
만일 정갈하지 못하거나 탁한 음식을 먹으면 마음과 의식을 혼미하게 하고, 적절하지 못한 음식을 먹으면 움직일 때나 잠잘 적에 병이 생겨 몸이 어긋나게 된다. 이는 선정을 닦는 처음에 반드시 깊이 삼가야 한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몸이 편안하면 도가 높아가니 음식의 양을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영원한 즐거움은 마음을 비우고 한가한데 있고, 마음이 고요하니 정진(精進)하기에 즐겁다”고 했다. 이것을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한다.
夫食之爲法은 本欲資身進道라 食若過飽면 則氣急身滿하야 百脈不通하야 令心閉塞하야 坐念不安하고 若食過少면 則身羸心懸하고 意慮不固라 此二는 皆非得定之道니라 若食穢觸之物이면 令人心識昏迷하고 若食不宜之物이면 則動宿病하야 使四大違反하니 此爲修定之初에 須深愼之也라 故經云身安則道隆이니 飮食知節量이라 常樂在空閑이요 心靜樂精進이라하니 是名諸佛敎라
또한 원효대사는 나물 뿌리와 껍질로 주린 배를 위로하는 정도로 먹으라 했으며, 부처님도 목숨을 연명할 정도만 먹도록 했으니, 이것은 존재의 의미가 육신을 보존하는데 있지 않고 오직 도를 이루기 위한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혜거스님 / 서울 금강선원장
혜거스님은 1959년 삼척 영은사에서 탄허스님을 은사로 출가, 김제 흥복사 등에서 수선안거했다. <한암대종사문집>, <탄허대화상문집> 편찬위원장을 맡았으며 2005년 탄허불교문화재단 제7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불교방송 ‘자비의 전화’ 상담과 경전 강의, 불교TV 경전 강의 등을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파하고 있다. <참나>를 비롯해 <혜거스님의 금강경 강의>, <유식 30송 강의>, <15분 집중 공부법>, 혜거스님과 함께 하는 마음공부 <가시가 꽃이 되다> 등의 저서가 있다..
[불교신문 2516호/ 4월11일자]
☞좌선의(坐禪義) 목차 바로가기☜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