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주의 영명동산에는 110여 년 전 이땅에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자기를 버리고 헌신적인 삶을 살다가 순교한 샤프(Sharp)목사를 비롯하여, 이곳 공주에서 34년간 공주 영명학교를 세우고 유지해왔던 프랭클린 윌리엄즈(F.E.C. Williams, 한국명: 우리암) 선교사의 맏아들로 미 군정시기에 하지(Hodge) 군정사령관의 정치고문으로 혼란한 한국의 정치상황에서 보이지 않게 정부수립을 위하여 커다란 역할을 했던 조지 윌리암즈(George Zur Williams, 한국명: 우광복)와 8살 예쁘디 예쁜 나이에 풍토병에 꽃잎이 떨어진 그 여동생 올리브(Olive Williams)의 묘가 있다. 또한 공주와 서울에서 23년간 복음을 전한 아멘트(Ament, Charles C. 한국명: 안명도) 선교사의 아들 로저(Ament, Roger Allen)는 이 땅에서 2살을 넘기지 못하고 그 여린 육신을 영명동산에 남긴채 하나님 곁으로 갔으며, 1916년부터 9년간 공주에서 선교사로 봉직한 테일러 부부(Taylor, Corwin and Nellie) 역시 5살의 예쁜 딸 에스더(Esther)를 그들의 가슴과 영명동산에 묻은채 하늘나라로 보냈다.
공주 영명동산에 있는 선교사묘역에 관한 나의 관심은 정말 우연이었다. 몇 년전 늦가을 어느날 등산길에 허물어져가는 초라한 봉분 몇 개와 그 초라함과는 달리 봉분마다 세워져 있는 여러 모양을 한 돌비석이 나의 눈길을 끌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들의 죽은 나이가 34살, 2살, 5살, 8살 등 가슴 아픈 사연이 얽힌 선교사묘역임을 알고는, 가슴이 뭉클했던 적이 있었다. 그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무엇 때문에 배울 만큼 배우고 이룰 만큼 이룬 편안한 생활을 접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장 가난했던 조선 땅에 와서 이렇게까지 환란을 당하며 인내와 연단을 받았던 것일까? 그래서 어떤 소망을 이루어 낸 것일까? 신앙의 눈이 아니라면 정말 한심하고 어이없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공주와 충남 각지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한 샤프 (1872-1906) 선교사는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교역자로 일하다가 1903년 31살의 나이에 미국 감리교 선교사로 내한했다. 서울에서 황성기독청년회(YMCA)에서 헐버트, 언더우드, 에비슨, 게일 등과 함께 초대 이사로 기독교 청년운동을 활발히 펼치면서 정동제일교회와 배재학당에서 교육을 담당하던 샤프목사는 1904년에 공주선교부 책임자로 임명되고 이듬해에 Alice H. Sharp(한국명: 사애리시)와 결혼하여 공주에 최초의 서양식 벽돌 양옥집을 짓고 이주하였다.
그는 아내와 함께 이곳 공주에 선교부 본부를 두고 인근지역에 까지 농촌 선교의 어려움을 극복하며 순회선교를 하였다. 그러던 중 1906년 2월 한겨울 추위에도 불구하고 강경과 논산지역에 전도하고 귀가하던 중 벌판에서 만난 진눈깨비가 화근이었다. 인근의 산모퉁이에 있는 초가를 발견하고 잠깐 피신한 그 곳이 불행하게도 장티푸스로 죽은 사람의 장례를 치른 상여를 보관하는 상여 집이었고, 그 상여를 만진 것이 그만 죽음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었다. 신혼의 아내 앨리스의 정성어린 간호와 교인들의 눈물어린 보살핌과 기도가 있었으나 1906년 3월 5일 34세의 젊은 나이로 부르심을 받았다. 샤프 선교사로서는 한국에 온지 3년, 공주에 정착한지는 채 1년이 안된 시기이었다.

충청지역 근대여성교육의 어머니
엘리스 샤프(Alice H. Sharp, 한국명: 사애리시) 선교사는 1900년에 내한하여 서울에서 이화학당에서 교사를 하다가 1903년에 같은 캐나다 출신인 샤프선교사와 결혼하였으며 이듬해에 공주 선교부 일을 맡게 되어 공주로 남편과 함께 이주하게 된다. 1905년에 명선학당을 설립하여 여학생을 모아 교육을 시작하였는데 후에 영명여학교가 되며, 이는 충청전역에서 근대여성교육의 시초가 되었다. 남편과 함께 선교를 하며 영명여학교의 전신인 명선학당을 설립하여 운영하던 결혼 3년차 신혼의 사애리시 부인에게는 남편 샤프선교사의 죽음은 청천벽력이었고 모든 소망이 멀어져 가는 느낌이었다. 샤프 부인은 침착하고 다정다감하면서도 추진력과 인내가 뛰어난 여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죽음은 엄청난 충격이었으며 그 일로 인하여 장례를 치른 후 미국으로 돌아갔다. “영명 100년사”에서 전하는 사애리시 부인의 이별장면이다.
“사애리시 부인이 명선학당의 운영을 스웨어러(Swearer) 여사에게 맡기고 공주를 떠나던 날 교회와 학당은 울음바다가 되었다. 이별의 슬픔위에 남편을 잃고 자신의 소망을 버리고 떠나는 사애리시 부인의 모습이 너무나 애처로워 떠나는 사람이나 떠나보내는 사람들 모두가 가슴이 뭉클 하는 심정에 몸 둘 바를 몰랐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야 그녀의 마음을 어렴풋이나마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녀가 진정 하나님이 주신 소명을 버리고 한국 땅을 떠날 결심을 했었다면, 남편의 유골함을 안고 귀국하지 않았었을까? 언제일지 모르지만 다시 돌아와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달려가노라’ 라던 바울의 고백을 실현하려고 사랑하던 남편의 육신을 영명동산에 남겨두고 홀로 떠났던 것이리라.
미국에서 약 2년간의 안식년을 보낸 샤프부인은 마침내 1908년 8월에 영명동산에 있는 남편 곁으로 다시 와서 선교 활동을 계속하였다. 1909년에는 강경 만동(萬東)여학교와 논산에 영화(永化) 여학교를 세웠으며, 이 땅의 여성들을 개화하기 위한 여성교육에 헌신하여 류관순과 같은 걸출한 독립운동가를 길러내었으며, 해방 후 자유당 정부에서 장관을 지낸 서울 중앙대학교를 설립한 임영신, 한국 최초 여자 경찰서장을 역임한 노마리아, 한국 감리교 최초 한국인 여자 목사 전밀라 등이 영명여학교에서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 이러한 여성교육에 대한 공로로 1938년에 그의 공적비가 영명학교 내에 건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애리시 선교사는 1900년에 내한하여 1940년 일제에 의하여 선교사강제철수 조치에 의하여 쫓겨날 때까지 38년간 한국에서 교육 선교에 헌신하였다. <다음호 계속>

서만철(사단법인 한국선교유적연구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