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총(銃)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찰 충(充)자를 했습니다. 찰 충(充)자는 한 일(一)자에 맏 윤(允)자를 한 글자입니다. 그릇을 가득 채워서 뚜껑을 덮은 모양입니다. 돼지 해(亠) 밑에 맏 윤(允)자를 한 글자가 아닙니다. 획 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돼지 해(亠) 밑에 한 맏 윤(允)자를 하면 모두 6획이 되고, 한 일(一)자 밑에 맏 윤(允)자를 하면 모두 5획이 됩니다. 가득할 충(充)자는 5획의 글자입니다. 여기서 맏 윤(允)자는 가득하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총탄(銃彈) 총구(銃口) 총신(銃身) 총통(總統) 총통(銃筒) 총상(銃傷) 화총(火銃)
취할 촬(撮)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가장 최(最)자를 했습니다. 가장 최(最)자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취할 취(取)자를 한글자이지만, 옛 글자를 보면 가로 왈(曰)자가 아니라, 쓰개 모(冃)자에 취할 취(取)자를 한 글자입니다. 취할 취(取)자는 귀 이(耳)자에 또 우(又)자를 해서 귀를 잡아 끌어가는 표시입니다. 취한다는 말은 귀를 잡아 당겨서 끌고 간다는 말이지요. 사람을 잡아끌어 데리고 간다는 취항 취(取)자 위에 쓰개 모(冃)자를 하여 글어간 사람들을 모두 덮어 두었습니다. 모두 모아 들리어, 가장 많은 수를 확보했다는 듯을 가진 글자입니다. 지금 상상하면 전쟁 중에 포로를 가장 많이 잡았다는 뜻인 듯합니다. 맺을 촬(繓)자도 가장 최(最)자가 들어 있어서 ‘촬’로 읽습니다. 촬토(撮土) 촬영(撮影) 촬요(撮要) 도촬(盜撮) 일촬(一撮) 구황촬요(救荒撮要)
높을 최(崔)자는 높다는 뜻으로 산 산(山)자를 하고 높은 산 위에 앉아 있는 새(隹)를 표시함으로써, 가장 높은 곳임을 나타냈습니다. 높을 최(崔)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최송(崔頌) 최세진(崔世珍) 최씨(崔氏) 최림(崔琳) 최호(崔浩) 최치원(崔致遠) 최외(崔嵬)
재촉할 최(催)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가장 최(崔)자를 했습니다. 가장 최(崔)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산(山)만으로도 높은 데 그 산(山) 위에 새(隹)가 앉아 있는 모양입니다. 가장 높지요. 높은 곳을 향하여 재촉하는 글자가 재촉할 최(催)자입니다. 최유(催乳) 최산(催産) 당최(當催) 최면(催眠) 최고(催告) 최루(催淚) 개최(開催) 주최(主催)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