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謀攻)> 군주(君主)가 장수(將帥)의 일에 관여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세 가지
부장자(夫將者), 장수란
국지보야(國之輔也). 나라를 보좌하는 자이다.
보주칙국필강(輔周則國必强), 보좌함에 두루 미치면 나라는 반드시 강성해지지만,
보극칙국필약(輔隙則國必弱). 보좌함에 틈이 벌어지면 나라는 반드시 쇠약해진다.
고군지소이환어군자삼(故君之所以患於軍者三): 그러므로 군주가 군대에 해를 끼치는 상황이 세 가지 있다.
부지군지불가이진이위지진(不知軍之下可以進而謂之進),(첫째)군대가 진격할 수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진군하라는 명을 내리거나
부지군지불가이퇴이위지퇴(不知軍之下可以退而謂之退), 군대가 후퇴해서는 안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후퇴하라는 명을 내리는,
시위미군(是爲縻軍); 이런 경우를 군대에 재갈을 물리는 격이라고 한다.
부지삼군지사(不知三軍之事), (둘째) 삼군(三軍: 모든 군대)의 사정을 알지 못하면서
이동삼군지정(而同三軍之政), 삼군의 군정에 간섭하면
칙군사혹의(則軍士惑矣); 군사들은 미혹된다.
부지삼군지권(不知三軍之權), (셋째) 삼군의 권한을 알지 못하면서
이동삼군지임(而同三軍之任), 삼군의 직책을 맡으려고 하면
칙군사의의(則軍士疑矣). 군사들이 회의를 품게 된다.
삼군기혹차의(三軍旣惑且疑), 삼군이 미혹되기도 하고 의심하기도 하면
칙제후지난지의(則諸侯之難至矣), 제후들이 난을 일으키니
시위난군인승(是謂亂軍引勝). 우리 군대를 어지럽게 하여 (적군이) 승리하게 이끌어 주는 격이라고 하는 것이다.
중요한 전쟁에서 군주와 장수 사이에 틈이 생기고
화합하지 못하는 것은 늘 병폐였다.
군주가 하지 말아야 할 행동 중 하나는 군대의 진퇴여부를 간섭하는 것으로,
그 정황은 장수만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군주는 군대 내부 문제에 간섭하지 말아야 하는데
군대의 지휘계통에 혼란이 더해지기 때문이고,
군대의 권모술수에도 간여하지 말아야 하는데
장수의 임기응변에 해를 끼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위야말로 '난군인승(亂軍引勝)',
즉 스스로 군을 망쳐서 적에게 승리를 넘겨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마천의 <<사기>><장석지풍당열전>에서는
옛날 훌륭한 군주는
장수를 싸움터로 보낼 때 꿇어앉아 수레바퀴를 밀어주면서
"궁궐 안의 일은 내가 처리할 테니, 궁궐 밖의 일은 장군이 처리하시오"
라고 하며, 군공과 작위 및 포상은 모두 궁궐 밖에서 결정하고 돌아와
보고하도록 하였다
군주는 권좌에 앉아서 군사의 구체적인 운용을 논(論)할 수는 없다.
현명한 군주는 장수의 현실 감각을 전적으로 신뢰해야 하고,
이러한 신뢰를 그 직분에 대한 보장으로 나타내 장수에게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은
현대의 어느 형태의 조직(組織)
사(私)조직이든, 공(公)조직이든
조직의 규모가 소규모이든, 중 대규모이든
조직의 목적, 조직의 형태를 막론하고
사람이 모여 있는 형태의 조직이며,
조직내에 위계(位階) 또는 분업(分業)이 설정되어 있는 조직에서는 특히,
아직도 필수적으로 유효(有效)하며
제대로 잘 적용(適用)하느냐에 따라 상당히 효율적(效率的)일 것이다.
*극(隙); 틈, 틈새 (간극<間隙> 벌어진 틈)
*미(縻); 고삐 (미군<縻軍> 재갈이 채워진 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