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지효 (反哺之孝)
반표지효 反哺之孝는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 다
주는 까마귀의 효성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가 길러 준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을 이르는 말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통 까치는
길조라고 해서 좋아하지만
까마귀는 흉조라고 여겨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까마귀는 울음소리도 공연히 음침한 느낌을 주는
데다 동물의 시체를 먹는 습성까지 있어서
까마귀 밥이 되었다고 하면 죽음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까마귀에게도 사람이
꼭 본받아야 할 습성이 있습니다. 까마귀는 알에서 깨아나 부화한지 60일 동안은
어미가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줍니다. 하지만 새끼가 다 자라면 그때부터는
먹이 사냥이 힘에 부치는 어미를 위해서
자식이 힘을 다하여 어미를 먹여 살린다고 합니다.
중국 진나라 시절의 이야기 가운데 이런
까마귀의 습성을 비유한 일화가 있습니다. 진나라 왕이 덕망 있고 학식이 깊은 이밀 이라는
선비에게 높은 벼슬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뜻밖에도 이밀은 관직을 맡을 수 없다고
공손하게 거절을 했습니다. 왕은 이밀에게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부모불효사후매 父母不孝死後悔 이제야 알겠습니다 전하 제게는 늙고 병든 할머니가 한 분 계십니다. 나라의 일도 소중하지만 늙은 할머니를 제가 모셔야 합니다. 부디 까마귀가 어미의 은혜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제 할머니께서 돌아가시는 날까지 만이라도
봉양하게 해 주십시오.
진나라의 왕은 이밀의 효심에 감동하여
그에게 큰 상을 내렸다고 합니다. 자식이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을 이르는
반포지효 反哺之孝라는 말은 여기서 유래했답니다. 명 明 나라의 이시진이 쓴 의학서적
본초강목 本草綱目 에는 어미 까마귀는
새끼가 부화한 지 60일 동안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지만 이후 다 자란
새끼가 먹이 사냥에 힘이 부친
어미를 먹여 살린다는 기특한 기록이 있습니다.
까마귀가 어미를 되먹이는 습성을
반포 反哺 라고 하는데 이는 극진한
효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정유년 12월도 이제 오늘까지 20일 남았습니다. 얼마있으면 동지 크리스마스 등을 맞이하여
부모님의 은혜를 소중함을 생각하는 의미에서 뜻에사
일화 한 토막을 소개합니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고려장이 존재했던
고려시대에 조정에서 높은 벼슬을 하던 관리가
늙은 어머니를 산속 움막에 내려두고
눈물을 흘리면서 하직 인사로 큰절을 올렸습니다. 그러자 노모는 아들아 네가 내려갈 때 길을 잃지
않도록 내가 나뭇가지를 꺾어 표시를 해두었으니
잘 살펴서 길을 잃지 말고 내려 가라고 일렀습니다.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 마음을 가슴깊이 새긴
그 관리는 법을 어기고 노모를 다시 집으로
모셔와 평생을 봉양 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중국 송나라 사신이
구별이 전혀 되지 않은 노새 두 마리를
끌고 와서는 이 두 마리 중에 어미
노새를 찾아내라고 하였습니다.
어미 노새를 맞추지 못하면
조공을 올려 받겠다고 으름장을 놓았습니다. 그 노모는 곤욕스러워 하는 조정 관리인 아들을 보고
아들아 두 노새를 굶긴 다음 여물을 주어라
노모의 지혜가 어려웠던 조정을 구해냈습니다. 부모를 버리고 가는 자식의 귀가 길을 염려하는
노모의 마음이나 배고파하는 새끼를 먼저 먹이려는
노새 어미의 마음이나 자식을 사랑하는
그들의 마음은 똑같습니다. 정유년을 보내며 가족의 소중함을 생각 하면서
행복한 날들이 되길 바랩니다.
오늘도 행복한 날 되소서
***태공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