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개요
1) 여기에서 등장하는 낮과 밤은 인생들의 개념에서 나오는 표면적인 낮과 밤이 아니다.
2) 이 낮과 밤은 히다(파로이미아, 비사)와 마샬(파라볼레, 비유)과의 관계를 통해서 드러난다.
3) ‘별들을 만드시고’는 ‘별들을 주관하신다.’다. 마오르(광명) 안에 원래부터 있는 별들이다.
4) 별들은 공간 세상의 별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를 품고 있는 믿음의 선진들이다.
5) 마지막 새벽, 샛별이 되어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그리스도 예수가 우리 안에 드러남이다.
나. 본론
1) 여기에서 등장하는 낮과 밤은 인생들의 개념에서 나오는 표면적인 낮과 밤이 아니다.
“하나님이 두 큰 광명을 만드사 큰 광명으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으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창 1:16)”
(바야아스 엘로힘 에트-세네 함메오로트 하까돌림 에트- 함마오르 하까돌 레엠셀레트 하욤 베에트- 함마오르 하카톤 레멤셀레트 할라엘라 베에트 하코카빔.)
‘하나님이 두 큰 광명 체들을 만드시고 그 큰 광명 체들(복수)은 그 낮(욤)을 주관하게 하시고, 그 작은 광명 체(단수)는 그 밤(라엘라)을 주관하게 하시며 그리고 그 별(코카브)들을 주관하게 하시고(베에트)’
앞 절부터 ‘그 낮’과 ‘그 밤’이 등장하는데 깨달음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낮과 밤은 히다와 마샬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인생들의 개념에서 나오는 낮과 밤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이들은 낮은 깨달음이고 밤은 죄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과연 그럴까?
2) 이 낮과 밤은 히다(파로이미아, 비사)와 마샬(파라볼레, 비유)과의 관계를 통해서 드러난다.
히다(비사)와 마샬(비유)과의 관계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파라볼레(비유)로 말씀하여 주심으로 파로이미아, 크륍토(비사, 감추어진 말)가 드러나는 것이다. 이 관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저녁이 되어야 아침이 오는 것처럼 저녁이 되어야 다음 ‘욤’이 임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녁이 오면 밤이 되는 것처럼 밤은 아침을 여는 안내자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밤을 지켜보는 순간 아침이 나타난다. 이 순간은 밤과 아침이 하나처럼 보인다.
여기에서의 밤은 무슨 뜻인가?
밤이 죄의 늪이라고 한다면 죄를 통해서 깨달음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것이다. 밤에 작은 광명과 별들이 빛을 발하는 것이다.
마오르(광명)들에서 오트들(징조) 모에드들(사시) 욤들(일자) 샤네들(연단)이 나타나고 큰 광명 들이 있고 큰 광명들(마오르 : 복수)은 욤(낮으로 번역)을 주관하고 그 중에 작은 광명 체들(마오르 : 단수)이 밤(하라엘라)을 주관하고 또 별들이 빛을 주관하고 있다.
3) ‘별들을 만드시고’는 ‘별들을 주관하신다.’다. 마오르(광명) 안에 원래부터 있는 별들이다.
‘별들을 만드시고’는 번역을 잘못하였다. ‘별들을 주관하신다.’다. 마오르 안에 원래부터 있는 별들이 나타나는 것이다. 작은 광명 체(마오르)가 밤을 주관하면서 광명체로부터 별(코카브)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이다. 이 별들이 아침을 여는 것이다. 작은 광명과 별들이 아침으로 안내한 다음 욤으로 안내를 한다. 깨달음의 단계는 이처럼 자세하고 상세하게 흐트러짐 없이 지도처럼 그려나가고 있다.
아브라함은 낮에 하늘에 수많은 별들이 떠 있는 것을 자신 안에서 보았다. 이 별들이 새 언약에 나타날 바로 오트(징조)다. 곧 그리스도를 머금고 있는 믿음의 선진들 곧 하나님의 아들들이다. 수많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그 마음의 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이다.
4) 별들은 공간 세상의 별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를 품고 있는 믿음의 선진들이다.
별들은 공간 세상의 별들이 아니다. 이 별들은 그리스도 예수를 품고 믿음의 선진들이다. 이 별들이 새벽에는 샛별이라 부른다. 샛별은 지극히 고요함 속에 아주 밝게 빛난다. 이 샛별을 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 샛별이 바른 인도를 한다. 넷째 욤에서의 일이다.
샛별이 인도하는 과정이 신약에서도 나오는데 동방박사들이다. 이 샛별은 동방박사들 마음 안에서 등장한다. 몸 밖의 일이 아니다. 만약 세상 공간의 별이라면 대낮에는 어떻게 별을 볼 것인가? 당시에는 불빛이 없어서 밤에는 통행을 하지 않아서 밤에는 강도떼들만 있을 뿐이다.
5) 마지막 새벽에 샛별이 되어 하나님의 인도를 받아 그리스도 예수가 우리 안에 드러난다.
예루살렘에 다가와서는 이 별이 잠시 사라진다. 그래서 헤롯 왕에게 찾아가 묻는다. 샛별은 창 1장에 세 번째 욤을 넘어서 나타난다. 네 번째 욤이다. ‘메오로트(광명체)’로부터 별들이 나타난다. 마지막 새벽이 되면 샛별이 되어 인도하신다. 곧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우리에게 샛별의 열매 곧 그리스도 예수가 드러난다. 우리 안에 태어나심이다. 창 1장의 내용은 심오하다. 이것을 경험하기 전에는 결코 알 수 없는 내용이다.
그러므로 내면에서 안내하는 샛별이 나타나면 정말 조심하여야 한다. 세상 점쟁이들에게 가서 물어보면 안 되는 일이다. 조용히 있으면 또 나타나게 된다. 인생들은 그 기간을 견디지 못하고 조급해 한다. 노아는 백년을 기다렸고 애굽에서 나온 이들은 사십년을 더 가야 했다.
생명의 빛과 그 안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