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양대군의 1453년 9월 29일 계유정란 모의부터 왕위찬탈까지 / 조선왕조실록 일자별 제목 --1| 난계공파 자료실
韶 爍 | 조회 67 |추천 0 | 2010.01.14. 11:12
수양대군의 1453년 9월 29일 계유정란 모의부터 왕위찬탈까지 / 조선왕조실록 일자별 제목
단종 7권, 1년(1453 계유 / 명 경태(景泰) 4년) 9월 29일(임오) 4번째기사
한명회·권남·홍달손 등이 세조를 뵙고 10월 초 10일에 의거하기로 약속하다
이징석(李澄石)이 세조를 가서 보니, 세조는 그와 더불어 대신과 환관(宦官)이 정권(政權)을 천단(擅斷)하는 것을 서로 말하였다. 이징석이 문사찬(文士贊)을 외우기를,
“도덕(道德)의 종장(宗匠)이며,
시서(詩書)의 원수(元帥)로다.
고(皐)·기(夔)1739) 의 사업이며,
공(孔)·맹(孟)1740) 의 문장일세.
흉중에는 북두성(北斗星)을 벌렸고,
붓끝에는 뇌정(雷霆)1741) 이 변화하도다.”
하고, 무사찬(武士贊)을 외우기를,
“명성(名聲)은 화이(華夷)1742) 에 가득하고,
공(功)은 사직(社稷)에 있도다.
충성은 해·달처럼 밝았고,
의리는 하늘같이 높도다.
은하수를 끌어서 갑병(甲兵)을 씻고,
건곤(乾坤)을 맑게 하여 종정(鍾鼎)1743) 에 새겼네.”
하여, 충렬(忠烈)을 풍자하였다. 이징석이 가자, 한명회(韓明澮)·권남(權擥)·홍달손(洪達孫)·양정(楊汀)·유수(柳洙)·유하(柳河) 등이 와서 뵙고 10월 초 10일에 의거(義擧)하기로 약속하였다.
단종 1년 10월 10일(계사)
○ 세조가 이용과 결탁하여 반역하고자 했던 김종서·황보인·이양·조극관 등을 효수하다
○ 세조에게 군국의 중요한 일을 위임하여 총치하게 하고 군사 1백 40인을 따르게 하다
○ 이용의 처족인 도진무 정효전이 반역을 꾀한 일은 이미 틀렸다고 말하다
○ 조수량이 형 조극관에게 이미 반역의 음모에 참여하였으니 중도에 변할 수 없다 말하다
○ 김종서의 가족이 그의 죽음에 관해 이야기하다
○ 이현로의 간사한 성품과 반역죄로 효수당하기 전까지의 행적
단종 1년 10월 11일(갑오)
○ 고의로 살인을 꾀한 것, 강도·절도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용서하도록 명하다
○ 지정·정분·조수량 등 이용의 당을 처벌하다
○ 수양 대군·정인지·허후·정창손·김조·이계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갑사 별시위 각 50, 총통위 방패 각 20으로 세조를 주야로 호위하게 하다
○ 세조가 종친청에서 숙직하니 표범의 털가죽으로 만든 요를 주다
○ 세조가 좌찬성 한확을 우의정으로 삼고자 하나 한확이 사양하다
○ 박이령·조석강·함우치·이승손을 파면하다
단종실록 > 단종 1년(1453년) > 단종 1년 10월
○ 경복궁 충순당에 이어하다
○ 병조 참판 박중손이 상서하여 사직하다
○ 정효전이 김효성이 자신에게 군사를 사열한 사실 여부를 물었음을 아뢰다
○ 형조 참판 김문기가 상서하여 사직하다
○ 사헌부에서 김문기는 그 딸의 죄로 참판이 될 수 없음을 아뢰다
○ 조숙생이 난신의 가산을 적몰하고 그 자손을 가두기를 청하다
○ 정양이 이용의 부자를 벨 것과 불당을 헐 것을 청하다
○ 강화 도호부사 기질에게 안평 대군과 이우직에게 쌀과 소금, 간장을 주라 명하다
○ 의금부에서 역적의 인척 홍원숙·권은·김승벽 등을 체포하여 벌하기를 청하다
○ 의금부에 이경우의 아들과 사위는 극변에, 지정은 영암에 안치하라 명하다
단종 1년 10월 13일(병신)
○ 이예장이 김문기의 사장을 돌려 주는 문제는 후에 다시 의논할 것을 청하다
○ 권준이 안평 대군·이승손·정효강·함우치를 법에 의해 처치하기를 청하다
○ 이예장이 불당 철거를 급하게 하지 않아도 됨을 아뢰다
○ 양녕 대군 이제 등이 안평 대군을 율에 의해 시행하고 주형받은 자는 효수하기를 청하다
○ 최항이 함길도에서 도적이 병기를 훔쳐간 일을 아뢰다
○ 정분·조수량·안완경 등을 변군에 안치하고 주형을 받은 사람의 가족을 처치하도록 명하다
○ 허후·이세문·유형 등을 각기 다른 장소에 안치하고 김처선을 석방하도록 의금부에 전지하다
단종 1년 10월 14일(정유)
○ 세조가 종친과 문무 백관과 더불어 전을 올리어 정난을 하례하고 표리를 올리다
○ 나홍서가 주형을 당한 사람을 효수하고 가산을 적몰할 것을 청하다
○ 세조가 정인지·한확·이사철 등과 더불어 간당의 죄를 의논하여 아뢰다
○ 정인지·한확 등이 자신들은 2품 이상과 변군 수령의 제수 의논에 참여시키지 않기를 청하다
○ 각도로 하여금 전을 올려 정난한 것을 하례하게 하다
○ 일본국 원승 등이 사자를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치다
단종 1년 10월 15일(무술)
○ 이계린이 권준이 자신의 이성 백부임을 아뢰고 상피하는 것을 이유로 체임을 청하다
○ 정난의 공을 논하여 세조 등을 1등으로, 권준 등을 2등으로 이흥상 등을 3등으로 하다
○ 대간에서 안평 대군 부자·정분·허후 등을 법으로 처치하는 문제로 상소하다
○ 박종우·한확·이사철·김효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단종 1년 10월 16일(기해)
○ 월식하여 개기하다
○ 부마부·중추원 당상 등이 안평 대군 이우직과 그 당을 율에 의해 단죄하기를 청하다
○ 안평 대군을 벌하는 것에 관한 세조·정인지·박종우 등의 논의
○ 하위지에게 병을 무릅쓰고 벼슬길에 나오라 유시하다
○ 신선경·원상부에게 안평 대군과 이우직을 수직하도록 명하다
○ 박금·영기 등을 잡아오게 하다
○ 유서를 석방하고 고신을 도로 주다
단종 1년 10월 17일(경자)
○ 강미수가 김길통·정식이 좌천되었음을 이유로 동료로서 재직할 수 없음을 아뢰다
○ 홍응·허조·이파 등으로 하여금 본전에 사진하게 하다
○ 함원전에 이어하다
○ 양녕 대군 이제 등이 이용의 죄를 벌하기를 청하다
○ 황효원이 이용을 수직하는 경군사의 수를 줄이고 그 고을 군사로 보충하기를 청하다
○ 정인지·한확 등이 백관을 거느리고 이용과 이우직을 법으로 처치하기를 청하다
○ 대간에서 안평 대군을 베기를 청하다
○ 대사헌 권준 등이 안평 대군을 베는 문제로 상소하다
○ 성삼문 등이 이경유 등이 병기를 안평 대군에게 조달한 죄로 벌하기를 청하다
○ 세조가 양성지를 시켜 《조선도도》 1건 등을 만드는 일을 관장하게 하다
○ 승정원에서 영경연이 매양 3일에 한 번 들어와 참여하는 일 등을 아뢰다
○ 의금부에 정분·조수량·안완경·조충손 등의 고신을 추탈하도록 명하다
○ 세조에게 공신호와 식읍 1천 호, 전 5백 결 등을 하사하다
단종 1년 10월 18일(신축)
○ 김용 등이 김문현이 그 아비를 죽인 죄를 이유로 그 손자 김부필을 부거할 수 없음을 아뢰다
○ 정인지 등이 백관을 거느리고 이용과 이우직을 치죄하기를 청하다
○ 김종순이 이용의 양모 성녕의 부인 성씨를 극형에 처할 것을 청하다
○ 의정부에 수양 대군·정인지 등의 공을 생각하여 포상하는 조건을 마련하여 계문하도록 하교하다
단종 1년 10월 19일(임인)
○ 영양위 정종이 이용이 자신에게 준 노비 50구와 가사 1좌를 가지고 있을 수 없음을 아뢰다
○ 허추가 이징옥을 강원도에 안치하는 일의 불가함을 아뢰다
○ 나홍서가 성녕의 부인은 외방으로 쫓아내고 성득식은 파직만 시키기를 청하다
○ 우정언 공기가 김문기와 권수를 벌하기를 청하다
○ 황효원이 이징옥을 이치하기를 청하다
○ 의금부에 제안 부인 성씨를 원방에 안치하라 전지하다
○ 홍귀동·홍순손의 고신을 도로 주라 명하다
단종 1년 10월 20일(계묘)
○ 정효손을 파직하다
○ 나홍서가 안평 대군의 첩과 이우직의 아내를 율에 의하여 시행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0월 21일(갑진)
○ 김계우가 병기를 실어 나른 일로 이징옥·이세문 등을 극형으로 처치하기를 청하다
○ 사간원에 전지를 내린 일을 다시 추문하면 백성에게 신뢰를 잃는 것이라 말하다
○ 이용의 첩과 이우직의 아내를 외방의 관비로 정하다
○ 평안도 도절제사 영을 도로 영변부에 두게 하고 그대로 부사를 겸하게 하다
○ 일본국 대마주 종성직의 사인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 실농 때문에 강원도의 전세 중에서 서울의 제사에 긴요한 것 외에는 그 고을에 바치게 하다
단종 1년 10월 22일(을사)
○ 이언이 성득식의 고신을 거두어 외방으로 물리칠 것을 청하다
○ 나홍서가 성득식은 파직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르다
단종 1년 10월 23일(병오)
○ 최양선이 영추문에 이르러 봉장을 올리기를 청하다
○ 성씨를 경주에 유배하다
단종 1년 10월 24일(정미)
○ 황효원이 최양선을 본향에 안치하기를 청하다
○ 이언·김계우 등이 김문기를 천추사로 차정하는 일의 불가함을 아뢰다
○ 의금부에서 역당에 연좌되어 안치한 사람들의 고신을 거두기를 청하다
○ 병조에서 화살의 가볍고 무거운 것을 사용함에 있어 정통 6년 수교에 의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0월 25일(무신)
○ 황효원이 김문기를 절제사로 삼는 이유를 말하다
○ 이용이 반역 모의한 정상을 조목을 열거하여 효유한 내용
○ 이징옥이 박호문을 죽이고 도망하자 함길도 관찰사에게 잡아 죽일 것을 하교하다
○ 박강을 강원도 관찰사로, 이승평을 평안도 도절제사로 삼다
○ 이징옥의 인척 이징석과 이팔동을 의금부에 가두다
○ 황보석의 아우 황보흠이 도망하여 숨자 잡아서 압령하여 오다
○ 세조가 이용과 이현로의 집에 있는 글을 모두 불태워 버리다
○ 사간원에서 김문기를 절제사로 제수할 수 없음을 아뢰다
단종 1년 10월 26일(기유)
○ 경기 관찰사 등에게 박호문이 적의 손에 죽었으니 상제와 조석전을 조치하도록 유시하다
○ 세조를 중외 병마 도통사로 삼아 적을 토벌하도록 하다
단종 1년 10월 27일(경술)
○ 이언·김종순 등이 대간의 관직에 있을 수 없음을 아뢰다
○ 황효원이 이언·김종순 등이 피혐하려는 것을 들어주는 것이 마땅함을 아뢰다
○ 세조가 육진 인근의 여러 야인에게 이징옥 일당을 토멸하는데 노력하라 명하다
○ 함길도 관찰사 성봉조가 이징옥과 그 아들들을 죽였음을 알리다
○ 세조가 도통사를 면하기를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이징석과 아들 이팔동을 석방하다
단종 1년 10월 28일(신해)
○ 세조가 여러 도의 관찰사로 하여금 민폐를 계달하게 하기를 청하다
○ 형조 판서 박중림이 피혐을 청하다
○ 이개가 정분·허후·조수량·안완경 등은 이용의 당이라 말하고 법에 의해 논단하기를 청하다
○ 강원도 관찰사 박강을 올라오라 명하다
○ 이징옥의 아우 이징규를 석방하라고 경상도 관찰사에게 유시하다
○ 이징옥을 처벌한 공으로 성봉조에게 2표리와 이행검·정종 등에게 각각 옷 1습을 하사하다
○ 의금부에서 이명민의 딸 이의정이 재혼하였으므로 사망한 전 남편 집으로 돌려 보내기를 청하다
○ 이징옥 사건에 관련된 사목(事目)
○ 전에 안치하거나 노비로 붙인 사람들을 가족과 한 곳에 모여 살게 하다
○ 평안도 관찰사에게 양덕·맹산 등지의 수비를 파하게 하다
단종 1년 11월 1일(계축)
○ 모화관에 가서 무과의 응시자 김계원 등 28인을 뽑다
○ 안치한 사람들을 너그러운 법에 따라 구처하였으니 다시 고칠 수 없다는 영의정의 뜻을 따르다
○ 사헌부에서 이징석·이징규·이팔동을 모두 율에 의하여 처벌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2일(갑인)
○ 정부에서 평안도 변방에 대신을 보내어 살펴본 후에 수비를 거둘지 여부를 결정하기를 청하다
○ 독권관 이사철 등이 문과 김수령 등 33인을 취하여 아뢰다
○ 권준 등이 정분·허후·이징석·이징규를 엄벌로 다스릴 것을 청하다
○ 의금부에서 이징옥의 아들·어미·딸 등을 율문에 의하여 시행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3일(을묘)
○ 이징옥의 협박에 못이겨 따랐던 자는 모두 불문에 붙이기로 하다
단종 1년 11월 4일(병진)
○ 이조 참판 강맹경이 병을 이유로 사직하다
○ 하위지가 질병 요양을 허락하여 주기를 청하다
○ 신석조가 심치경이 자신을 무고한 일로 조사해 줄 것을 청하다
○ 여연의 죄수 김명례·고상미·안수산 등을 석방하라 명하다
○ 의금부에 성녕 대군의 노비는 적몰하지 말고 그 가재와 성씨의 가재는 관에 몰수하라 명하다
○ 의정부에서 정난한 공이 있는 이들에게 공신을 칭하하고 전각에 초상을 붙이는 것 등을 청하다
○ 의정부에서 수령들 중 정수 이외의 전지를 지나치게 경작하는 자가 있는지 조사하기를 청하다
○ 의정부에서 주자소에 바치는 책지의 수량과 기와를 굽는 데 쓰는 땔나무 등을 감할 것을 청하다
단종 1년 11월 5일(정사)
○ 이날부터 초9일까지 따뜻하기가 봄날과 같다
○ 신석조가 심치경을 추국하기를 청하다
○ 박대손에게 온성 부사 이숙경의 죽음을 조사하도록 명하다
단종 1년 11월 6일(무오)
○ 황효원이 신석조·심치경 모두 추문할 필요가 없음을 아뢰다
○ 신석조가 심치경을 자신과 더불어 대변케 하고 법에 따라 처리하여 주기를 청하다
○ 사헌부에서 이징석을 도진무로 임명한 일의 불가함을 아뢰다
○ 이징석을 벌하는 것에 관한 황효원·이개·김계우 등의 논의
○ 의금부에 김상충과 고염석 등을 추국하도록 명하다
○ 전 중추원 부사 신처강의 졸기
단종 1년 11월 7일(기미)
○ 안개가 끼어 지척을 분별할 수 없다
○ 평안도 절제사 이승평을 개소(開素)하게 한 뒤 보내다
○ 권준 등이 모반에 간여한 신하를 모두 공도로써 다스리는 문제로 상소하다
○ 병조에서 정난에 참여한 군사들에게 상주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8일(경신)
○ 근정전에서 문·무과를 급제한 사람에게 증서를 주다
○ 정난한 공이 있는 이들에게 동·서반직을 차등있게 올려 제수하다
○ 허추를 불러 이용이 해주에 갈 적에 군사를 낸 수령들을 파직하였음을 말하다
○ 이계손이 안치만 시킨 적당을 극형에 처하기를 청하다
○ 정난 공신 일등·이등·삼등에게 말과 백은·옷감 등을 하사하다
○ 병조에서 정난 때에 입직한 사옹에게 상을 줄 것을 청하다
단종 1년 11월 9일(신유)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정인지 등과 더불어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하다
○ 일본국 관서로 원귀구가 사람을 보내어 토물을 바치고 제주의 표류인 7인을 송환하다
○ 김계우가 안치한 사람들은 모두 모의에 참여하였으므로 죽이기를 청하다
○ 성봉조가 신구 절제사의 죽음으로 불안정한 야인들을 타일러 안정시킨 사실을 아뢰다
○ 경외의 처녀로서 나이 8세에서 16세까지 이씨를 제외하고 모두 혼가를 금하다
단종 1년 11월 10일(임술)
○ 집현전 교리 유성원이 사직하다
○ 집의 이개가 자신에게 공로가 없음을 이유로 가자된 일의 개정을 청하다
○ 사간원에서 안치한 사람과 이징석을 법에 의하여 처치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11일(계해)
○ 경상도 관찰사에게 하위지가 병을 얻었다고 하니 의원을 보내어 구제하도록 명하다
○ 정난할 때 수종하여 참예한 사람 박득지·박오마지 등에게 면포를 하사하다
○ 의정부에서 수양 대군에게 내려준 민호를 여러 도에 나누어 정할 것 등을 청하다
○ 의금부에서 군자감의 토목 역사를 맡아 보던 임시 관아를 파하기를 청하다
○ 조수량·안완경·지정 등의 친자들을 처벌하게 하다
○ 김우을두개에게 이징옥을 처벌하였음을 여러 사람에게 효유하라 명하다
단종 1년 11월 12일(갑자)
○ 사헌부에 전지하여 의정부 당상의 집에 엽관 운동 하는 것을 금하지 말게 하다
○ 고양 현감 고덕칭이 민간의 군기를 관중으로 모아들이는 사유를 추국하라 명하다
○ 수양 대군의 종·임영 대군의 종 등이 정난한 공이 있어 상을 내리다
단종 1년 11월 13일(을축)
○ 야인이 상경하여 조현하기를 원하면 그 두목인을 올려 보내게 하다
단종 1년 11월 14일(병인)
○ 동지여서 근정전에 궐패를 설치하고 종친과 문무 백관이 하례하다
○ 성삼문이 경연의 신하들과 차를 마시고 담소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15일(정묘)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한확 등과 함께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하다
○ 사간원에서 신석조와 심치경을 국문하기를 청하다
○ 사헌부에서 홍원용의 직을 바꾸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16일(무진)
○ 지사역원사 고용지를 보내어 포로되었다가 도망하여 온 중국인들을 요동으로 해송하다
○ 영의정·정창손·신석조에게 피혐하지 말도록 명하다
단종 1년 11월 17일(기사)
○ 원효연이 홍원용의 관직 제수는 고칠 수 없음을 아뢰다
단종 1년 11월 18일(경오)
○ 성삼문 등이 환관 엄자치와 전균에게 봉군한 명령을 거두어주기를 청하다
○ 사헌부에서 정난 공신의 공을 다시 분별하기를 청하고 환관에게 봉군하는 일의 불가함을 아뢰다
○ 최항과 신숙주 등이 공신의 호를 삭제하여 주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19일(신미)
○ 사헌부에서 공신을 다시 의논할 것과 환관에게 봉군한 일의 부당함을 아뢰다
○ 정인지·한확·김효성 등이 공신의 호를 삭제하여 주기를 청하다
○ 사간원에서 환시에게 봉군하는 일의 불가함을 아뢰다
○ 사헌부에서 공신의 등제(等第)와 환시를 봉군함이 부당하다 상소하다
○ 세조가 유구를 보내어 황의헌을 잡아보내게 하다
○ 강화 부사 기질에게 황의헌을 체포하여 올려 보내라 명하다
○ 권준·성삼문 등이 공신을 사양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단종 1년 11월 20일(임신)
○ 공신을 거느리고 성북단에서 맹세하고 환궁하여 경회루 아래에서 음복하다
○ 회맹의
○ 예조에 아일마다 근정전에서 조회를 받겠다 이르다
단종 1년 11월 21일(계유)
○ 김지경·유성원 등이 상서하여 사직하다
○ 사간원에서 제안 부인 성씨와 이징석을 단죄하기를 청하다
○ 여러 읍으로 하여금 그 가산의 빈부와 노비의 유무를 상고하게 하다
○ 의정부에서 실농과 번거로운 역사로 공사의 부채는 모두 징수할 수 없음을 아뢰다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한확 등과 더불어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하다
단종 1년 11월 22일(갑술)
○ 의원을 중국에 보내어 양의를 만나 약이를 구하게 하다
○ 동부승지 권남의 아비 권제의 고신을 되돌려 주게 하다
○ 세조에게 공신 노비 3백 구를 더 하사하다
○ 친무 최덕소가 하석을 잡아서 효시하다
단종 1년 11월 23일(을해)
정난하던 날에 숙직한 공이 있는 자들에게 상을 내리다
○ 허후·조수량·안완경 등의 인척을 벌하다
○ 대사헌 권준이 상서하여 사직하다
○ 이유의가 성절을 진하할 때에 《송사》를 주청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24일(병자)
○ 김지경이 정분·조순생을 논죄할 것 등을 청하다
○ 이조의 관리들을 탄핵하지 말게 하다
○ 성삼문이 공신의 호를 받은 것의 부당함을 이유로 직임을 파하기를 청하다
○ 권준 등이 환관을 봉군한 일의 불가함에 관하여 상서하다
단종 1년 11월 25일(정축)
○ 동지돈녕부사 조인을 명나라에 보내어 천추절을 하례하게 하다
○ 성삼문을 불러 사장을 돌려주다
○ 김지경 등이 이조 병조의 낭원 및 홍원용의 관작을 모두 개정하기를 청하다
○ 김지경에게 이축의 일을 다시 묻지 않도록 명하다
○ 수양 대군에게 별사 군직 체아 5품·6품 등을 주다
○ 의정부에서 경기·충청·전라도 등에서 서로 유이한 자는 《원전》에 의하여 시행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1월 26일(무인)
○ 세조가 홍원용의 제수 문제로 피혐하기를 청하다
○ 정분·조숙생·이석정 등을 엄벌할 것에 관한 성삼문 등의 상소문
단종 1년 11월 27일(기묘)
○ 원효연이 정난 때 수종한 사람에게 초자한 일의 정당함을 아뢰다
○ 사헌부에서 환관의 봉군과 홍원용 등이 승직한 일의 부당함을 아뢰다
○ 성삼문 등이 이징석과 이징규 등을 율대로 시행하기를 청하다
○ 겸판사와 수양 대군에게 상피되는 사람이 있으면 법에 구애하지 말고 벼슬을 제수하라 명하다
○ 순성군 이개의 처 신씨의 졸기
단종 1년 11월 28일(경진)
○ 박이령·조석강 등을 안치한 곳으로 보내어 종으로 삼을 것 등을 명하다
○ 성삼문·이개 등이 환관에게 봉군하는 일의 불가함을 아뢰다
○ 성봉조에게 정종이 이행검을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이유를 계문하도록 유시하다
○ 이조에 전지하여 춘성 부부인 정씨에게 봉작한 사령장을 거두게 하다
단종 1년 11월 29일(신사)
○ 이개·이극감 등이 이징석의 죄를 청한 일로 피혐하기를 청하다
○ 실농을 이유로 연분 등제(年分等第)를 각각 1등씩 감하라 명하다
○ 호조 참의 홍원용이 사장을 올리다
○ 정전 가운데 속전이 될 수 있는 것과 척박한 땅이 진전이 된 것 등을 조사하게 하다
○ 병조에서 황해도에 사재감의 기인을 임시로 면제해 주기를 청하다
○ 영의정이 엄자치와 전균의 봉군을 바꿀 수 없다 아뢰다
단종 1년 11월 30일(임오)
○ 권준·이개 등이 자신들의 무능함을 이유로 상서하여 사직하다
○ 병조의 서원 조함과 서문식에게 근무 일수 50일을 주라 명하다
단종 1년 12월 1일(계미)
○ 권준·이개·김지경 등을 불러 사장을 돌려 주다
○ 예조에 매양 아일의 이튿날에 조계를 받겠다 이르다
단종 1년 12월 2일(갑신) ○ 유성원이 홍원용을 제수한 사실의 부당함을 아뢰다
○ 김지경을 불러 환관의 일을 묻다
○ 엄자치와 전균에게 봉군한 것을 취소하다
○ 호조에 김종서와 김승규의 집을 충훈사에 줄 것 등을 명하다
단종 1년 12월 3일(을유)
○ 여러 고을의 수령에게 임의로 가두고 형문하는 일이 없도록 명하다
○ 지평 이극감을 불러 법을 부당하게 적용한 일로 나무라다
○ 김효성·홍약·박윤 등에게 정난 때의 공을 이유로 전지를 내려주다
○ 정난 때 시위한 공이 있는 김충·이전기·박윤 등에게 각각 전지 10결을 내려 주다
단종 1년 12월 5일(정해)
○ 권준·이개·유성원 등을 불러 출사하도록 하다
○ 졸한 함길도 도절제사 박호문에게 치전하게 하다
○ 이용의 서부에 있는 작은 집을 혜빈에게 주다
○ 졸한 박호문의 관이 경내에 이르거든 조석으로 제사를 지내게 하다
○ 의금부 도부외에 있는 강원도·함경도 두 도 출신자를 임시로 파하다
○ 여러 도의 월과 군기 이외에 도회관에서 제조하는 군기와 총통전을 정지하게 하다
단종 1년 12월 6일(무자)
○ 의금부에서 황의헌의 추마 1필의 유래를 영양위에게 물어볼 것을 청하다
단종 1년 12월 7일(기축)
○ 문상덕을 그 어미를 쓰러뜨린 죄로 국문하게 하다
단종 1년 12월 8일(경인)
○ 수 경창부 소윤 김지경이 사직하다
○ 일본국 살주 등희구 등이 사신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치다
단종 1년 12월 9일(신묘)
○ 충청도의 문의·옥천 등에 지진이 있어 해괴제를 지내다
○ 공신전으로 아직 수가 차지 못한 것은 군자전에 속한 것으로써 지급하다
○ 승정원에서 추운 날씨를 이유로 납향 대제의 친행 정지를 청하다
○ 황해도 대수압도 등에 놓아 기르는 말들을 조사하게 하다
○ 의정부에서 군사들을 1령마다 1인씩 두어 명령을 듣도록 하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2월 10일(임진)
○ 이용의 마포 집을 권전의 처 최씨에게 주다
○ 의정부에서 정난 공신 등의 적장으로서 당상관 이상인 자는 윤차로 조계에 참여시킬 것을 청하다
단종 1년 12월 11일(계사)
○ 김계우가 춘성 부부인 정씨를 내보냄은 옳지 않다 아뢰다
○ 재계일에는 조계와 조참을 정지하게 하다
단종 1년 12월 12일(갑오)
○ 소근덕을 외방의 관비로 정하고 양진과 의비를 보석하다
○ 일본국 대마주 등영계가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치다
단종 1년 12월 13일(을미)
○ 사헌부에서 불에 탄 유점사에 주지를 보내어 창건하게 한 일의 부당함을 아뢰다
○ 유성원·이계손 등에게 정씨를 내보냄이 정당하다 이르다
단종 1년 12월 14일(병신)
○ 조극관·지정 등의 집을 혜빈에게 내리다
단종 1년 12월 15일(정유)
○ 사헌부에서 유점사 개축을 정지하기를 청하다
○ 구치관과 박대손 등이 이징옥의 모반 상황 기록을 가지고 와서 복명하다
○ 정효전·정효손 등이 세조를 모해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알고 국문하게 하다
단종 1년 12월 16일(무술)
○ 장후와 장보인 등을 국문하게 하다
○ 일본국 호자 원고가 사람을 보내어 토물을 바치다
단종 1년 12월 17일(기해)
○ 저녁에 경희전에 상식하다
단종 1년 12월 18일(경자)
○ 유성원에게 정씨를 내보낼 만한 이유가 있음을 말하다
단종 1년 12월 19일(신축)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정인지 등과 함께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하다
단종 1년 12월 21일(계묘)
○ 행 지내시부사 윤기에게 노비 5명을 내려주다
○ 함길도·평안도 여러 고을에 대한 창설 연혁의 연월과 산천 지리 등을 기록하여 계문하게 하다
단종 1년 12월 22일(갑진)
○ 윤처공의 집을 희령군 이타에게 내려주는 일 등을 명하다
○ 문종 대왕과 현덕 왕후를 종묘에 부묘하는 의장은 경희전 소가의 의장을 쓰게 하다
단종 1년 12월 23일(을사)
○ 하위지에게 계유년의 등록을 급여하다
○ 일본국 대마주 정가문수계가 와서 토물을 바치다
단종 1년 12월 24일(병오)
○ 소헌 왕후와 현덕 왕후의 족친은 양 도목 때마다 4사람씩 벼슬을 제수하게 하다
단종 1년 12월 25일(정미)
○ 권준 등이 민건과 김효급 등의 관직을 파면하기를 청하다
○ 향리 이번과 이하 등의 전가족을 변방으로 이사시켜 영구히 역리로 소속시키다
단종 1년 12월 26일(무신)
○ 봉보 부인 이씨에게 노비 6명을 내려주고 해마다 쌀과 콩을 내리다
○ 난신전을 공신 1등·2등·3등에게 나누어 주다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정인지 등과 함께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하다
단종 1년 12월 27일(기유)
○ 영양위 정종에게 성록 대부를 가하고 조수산·하위지·허추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세조가 사람을 쓰는데 자신 등이 천거한 바를 쓰기를 청하다
단종 1년 12월 28일(경술)
○ 세조가 정인지·한확 등과 함께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다
○ 의정부 당상에게 표피·깔개·녹비 등을 내려주다
○ 남수문에게 고신을 돌려주다
○ 이징옥이 모반하였을 때 협박에 의하여 연좌된 군사는 논죄하지 않다
○ 세조가 정인지·한확 등과 함께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다
○ 하위지가 공이 없이 초탁되었다고 하여 상서하여 사직하다
단종 1년 12월 29일(신해)
○ 강도에 관계된 악공 독두이의 죄상을 분간하라 명하다
○ 세조가 정인지·한확 등과 함께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는 봉장을 올리다
○ 최항·신숙주 등이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다
○ 사간원에서 대상을 지낸 뒤에 길례를 정함이 마땅하다 아뢰다
○ 전라도·충청도·경상도 지방에 지진이 발생하니 해괴제를 지내다
단종 1년 12월 30일(임자)
○ 이변·이인손·김순에게 출사하도록 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