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리 시제 상차림 참고
우리 종중에서는 산정리 시제와 소용토 시제를 유사를 지정해서 시제를 모시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오래 된 전통입니다.
병자 종친계에서는 어떻게 지냈는지 자료가 없어 알 수가 없지만 규자 종친계 규약을 만들어서 시작한 75년도부터는 유사를 지정해서 지냈으니까 40년이 넘었습니다.
<75년 12월 종친계 규약>

당시 유사는 2인 1조로 순서를 정해서 1인은 집에서 음식을 장만하여 종친계 모임을 준비하고 1인은 산정리 시제 제물을 준비해서 시제를 지냈습니다.
나중에는 집에서 계모임 하는 것이 식당에 모여 회의(총회)하는 것으로 바뀌었지만 산정리 시제는 여전히 지금처럼 유사가 시제 음식을 장만해서 시제를 지내고 있는데 집에서 제물을 준비하는 여자들은 상당히 부담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12년 만에 한번 돌아오기 때문에 전에 한번 해 보신 분들도 모든 게 서툽니다.
우선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부터 시작해서 얼마나 준비해야 되는지, 혹시 빠진 건 없는지, 집안 여러 어른들이 모여서 식사하는 데 맛은 어떤지, 흉이나 보지 않을까 등 일하는 것 보다 심적 부담이 더 크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근래에는 제사상 음식도 시장에서 전문적으로 만들어 파는 데서 사다가 지내기도 하는데 문제는 방부제나 표백제가 처리된 밤이나 약식 등 식품 개념이 부족한 중국산 때문에 밤하나 주워 먹기가 두려운 게 사실입니다.
아무튼 유사가 시제상 준비하는 게 어렵긴 한데 부담이 되더라도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2013년도에 황희 이사가 이런 문제 등을 감안해서 시제 제물 표준안을 좀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시제 제물 준비 표준안 마련 방안을 보내온 내용인데 상당히 일리가 있어서 당시 종원들에게 의견을 들어보기 위해 종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냈었는데 그 당시 아무도 의견을 제사한 분이 없어 그냥 넘어 갔습니다.
꼭 이대로 따르자는 건 아니지만 시제 준비하시는 분이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 당시 의견 조회 내용이 컴퓨터에 있어서 그대로 종중 카페에 올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침 그 때도 공교롭게 지금과 같이 쇠용터 시제와 같이 지냈기 때문에 시제상은 지금과 같습니다.
<당시 시제 준비>
일시 : 2013년 4월 21일(세째주 일요일) 09:00
규모 : 6반상 : 5반상 + 산신제 + 1반상(별도 포장)
식수인원 40인 기준
<준비 사항>
1. 준비 규모
- 산정리 시제를 위해서는 5반상에 해당하는 음식을 준비한다.
- 산신제 1반상
- 10대조 1반상 밥, 국 2그릇
- 제단 1반상 밥, 국 16그릇
- 게명당 할머니 1반상 밥, 국 1그릇
- 문씨 할머니 1반상: 밥, 국 2 그릇(+분묘를 찾지 못한 할아버지 몫)
- 시제에서는 종헌과 아헌이 시제에 참여할 때 진찬으로 올릴 2접시 접시를 따로 준비한다.
- 추가 + 쇠용터 시제 1반상 밥, 국 2 그릇
2 음식 재료 선택과 요리
2-1 생선
- 비늘이 있는 생선 중에서 3가지를 준비
- 민어, 돔(참돔, 감성돔), 조기 또는 부세, 병어, 죽상어, 서대, 숭어 등에서 3가지를 택하여 준비
- 생선은 비늘을 벗기고, 내장을 꺼내어 소금 간을 한 다음 3일 이상 건조시켜서 냉동시켜 보관하였다가 사용한다.
- 하루 전에 찐 다음 충분히 식혀서 부서지지 않도록 준비한다.
2-2. 떡
- 5겹으로 쪄낸 것을 한 접시가 되도록 정사각으로 절단하여 준비
- 변질을 막기 위하여 시제 전날 오후나 당일에 쪄낸 것을 사용한다.
2-3. 부께미
- 흰팥 앙금이나 흰 강낭콩이 들어간 것으로 1반상에 3개씩을 준비
2-4. 나물
- 나물은 고사리, 숙주, 도라지, 시금치, 취나물, 참나물 등에서 검은색과 흰색, 그리고 녹색을 1가지씩을 택하되 전체 3 종류를 준비
2-5. 탕국
- 마른명태, 두부, 마른홍합, 새우 등을 넣어 끓여서 준비함
- 상차림에는 3가지로 준비함
2-6. 국
- 소고기에 무를 넣고 끓여내서 준비
2-7. 수육
- 돼지고기 덩어리를 1kg 이상 크기로 자른 다음 삶아서 준비
2-8.산자
- 산자는 3겹 이상으로 묶어서 1접시가 되게 준비
2-9. 전
- 육전, 어전, 혼합으로 3가지를 준비
- 진찬용은 고기당근 산적, 표고버섯, 두부 중에서 2가지를 준비
- 1접시에 11장 이상을 준비
2-10. 밥
- 40인분을 당일 요리하여 준비한다.
2-11. 술
- 막걸리를 준비하며 20병 정도를 준비
2-12. 과일
- 과일은 종류별로 1반상에 1접시를 준비
- 밤: 1접시에 19개 이상을 홀수로 준비
대추: 1접시에 19개 이상을 홀수로 준비
곳감: 1접시에 7개 이상을 홀수로 준비
배: 1접시에 3개 이상을 홀수로 준비
- 사과: 1접시에 5개 이상을 홀수로 준비
유자: 유자, 귤, 오랜지 등에서 1가지를 5개 이상 홀수로 준비
-그 밖의 과일:
참외 1상에 3개 이상, 수박 1상에 반쪽이나 1덩이를 준비
2-12. 포
-명태, 북어, 오징어 중에서 1가지를 택하여 1반상에 1마리 씩 준비
2-13. 김치
- 1단(4폭)을 담가서 준비하되 썰어서 준비
2-14. 물
- 2리터 용기의 페트병을 6개 준비
3. 주방용품
- 일회용 접시 1팩: 점심 식사에 사용할 찬 그릇용
- 두루마리 화장지 1롤 : 물기 제거와 청소용
- 종이 타올 1롤: 식기와 제기의 물기 제거 및 수건 용도
- 일회용 비닐장갑 1팩: 음식 차림과 내림시 사용
- 소금 500 그램
- 간장 6 종지
- 향 1팩:
- 라이터 1개
- 후라이펜 1개
- 커피 스틱 1팩
시제음식 준비를 위한 체크리스트 (1반상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