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까야 | 경 이름 | 법구경 주석서 |
디가 니까야 | 대반열반경(D16) | 게 송254~255번 이야기 |
맛지마 니까야 | 보디 왕자경(M85) 율장 소품(VinCuv.21) | 게송 157번 이야기 |
앙굿따라 니까야 | 메기야 경(A9.3) | 게송 33 ~ 34번 이야기 |
향기경(A3.79) | 게송 54 ~ 55번 이야기 | |
사자후경(A9.11) | 게송 95번 이야기 | |
웰라마 경(A9.20) | 게송 119~120번 이야기 | |
쌍윳따 니까야 | 탁발경(S4.18) | 게송 200번 이야기 |
비구니 경(S19.18) | 게송 307번 이야기 | |
삭까 상응(S11.11, | 게송 30번 이야기 | |
고디까 경(S4.23) | 게송 57번 이야기 | |
락카나 상응(S19) 도입부분, 본문은 다름 | 게송 71번 이야기 | |
게송 72번 이야기 | ||
게송 136번 이야기 | ||
게송 281번 이야기 | ||
됫박분량경(S3,13) | 게송 204번 이야기 | |
대부호경(S7,14) | 게송 324번 이야기 | |
왓지족 사람경(S9.9) | 게송 302번 이야기 | |
사누 경(S10,5) | 게송326번 이야기 | |
통치경(S4.20) | 게송331~333번 이야기 | |
아들없음경(S3.20) | 게송355번 이야기 | |
왁깔리 경(S22.87Z) | 게송381번 이야기 | |
바라문 상응(S7.1-4) | 게송 399번 이야기 | |
데와히따 경(S7.15 | 게송423번 이야기 |
2) 율장(Vinaya Pitaka)에서 유래된 이야기
율장 | 단락번호20) | 법구경 주석서 |
마하왁가 (大品) | Ⅹ. 1-5 | 게송 6번 이야기 (자따까 428번에도 나옴.) |
ⅰ.23-24.4 | 게송 11~12번 이야기 중에서 사리뿟다와 목갈라나의 출가 부분 | |
ⅰ. 54 | 게송 13~14번 이야기 중에서 라훌라의 출가 부분 | |
ⅴ. 6 | 게송 231~234번 이야기 | |
ⅴ. 34 | 게송 252번 이야기 | |
Ⅷ.15 | 게송 53번 이야기 중에서 위사카의 8가지 서원 | |
ⅵ.23 | 게송 53번 이야기 중에서 숩삐야의 허벅지 살 | |
ⅰ.14 | 게송 65번 이야기 중에서 30명의 빠테이야까의 출가 장면 | |
ⅴ. 8. 1. | 게송 292~293번 이야기 | |
ⅰ. 6. 7-9 | 게송 353번 이야기 | |
ⅴ. 12~13 | 게송 368~376번 이야기 | |
쭐라왁가 (小品) | ⅶ. 1-4 | 게송 17번 이야기 |
ⅰ. 18 | 게송 73~74번 이야기 | |
ⅰ. 13 | 게송 77번 이야기 | |
xi. 1. 12-16 | 게송 78번 이야기 | |
vi. 11 | 게송 129번 이야기 (빠찟띠야에도 나옴.) | |
ⅴ. 21 | 게송 157번 이야기 | |
ⅶ. 3. 17 | 게송 163번 이야기 | |
v. 8 | 게송 181번 이야기 중 삔둘라 바라드와자 부분 | |
x.1-2 | 게송 391번 이야기 | |
빠라지까 (바리이) | i. 1-4 | 게송 83번 이야기 도입부분 |
iv. 1-2 | 게송 308번 이야기 | |
i. 10. 5 | 게송 69번 이야기 | |
상가디세사 (승잔) | i. 1 | 게송 117번 이야기 |
빠찟띠야 | xxxⅷ.1 | 게송 92번이야기 |
(바일제) | Ixxiv.1 | 게송 129번 이야기 |
Ixxv.1 | 게송 130번 이야기 | |
xi. 1 | 게송 222번 이야기 | |
xxxiv.1 | 게송 82번 이야기 | |
xiv. 1 | 게송 121번 이야기 |
3)우다나(Udana, 感興語, 自說經)에서 유래된 이야기
우다나 | 이름 | 법구경 주석서 |
ⅰ.10 | 바히야 | 게송 101번 이야기 |
ⅱ.3 | 막대기 | 게송 131~132번 이야기 |
ⅱ.8 | 숩빠와사 | 게송 414번 이야기 |
ⅲ.2 | 난다 | 게송 13~14번 이야기 중 |
ⅲ.3 | 야소자 | 게송 334~337번 이야기 |
ⅲ.6 | 삘린다옷차 | 게송 408번 이야기 |
ⅲ.7 | 마하깟사빠 | 게송 56번 이야기 |
ⅳ.1 | 메기야 | 게송 33~34ㅈ번 이야기 (앙굿따라 니까야에도 나옴) |
ⅳ.3 | 목동 | 게송 42번 이야기 |
ⅳ.5 | 빠릴레이야까 | 게송 328~330 이야기 |
ⅳ.7 | 사리뿟따 | 게송 259번 이야기 중 중간에 나오는 게송 |
ⅳ.8 | 순다리 | 게송 306번 이야기 (자따까 285번 서문에도 나옴) |
ⅴ.3 | 숩빠붓다 | 게송 66번 이야기 |
ⅴ.6 | 소나꼬띠깐나 | 게송 368~376번 이야기 |
ⅴ.8 | 데와닷따 | 게송 17번 이야기 중 데와닷따가 승단을 분열시키는 장면과 게송(율장 소품에도 나옴) |
ⅶ.10 | 사마와띠 | 게송21~23번 이야기 중 사마와띠의 살해당하는 장면과 게송 |
ⅷ.8 | 위사까 | 게송 213번 이야기 |
20) 항목 번호는 PTS 분류에 따른 것이다.
4) 자따까(Jataka)에서 유래된 이야기
자따까 | 이름 | 법구경 주석서 |
J4 | 쭐라까 셋티 | 게송 25번 이야기 |
J6 | 데와담마 | 게송 141번 이야기 |
J12 | 니그로다미가 | 게송 160번 이야기 |
J14 | 와따미가 | 게송 415번 이야기 |
J26 | 마힐라무카 | 게송 365~366번 이야기 |
J31 | 꿀라와까 | 게송 30번 이야기 |
J40 | 카디랑가라 | 게송 58~59, 119~120번 이야기 |
J65 | 아나비나띠 | 게송 242~243번 이야기 |
J68 | 사께따 | 게송 255번 이야기 |
J70 | 끗달라 | 게송38~39번 이야기 |
J71 | 와라나 | 게송 280번 이야기 |
J78 | 일리나 | 게송 49번 이야기 |
J96 | 뗄라빳따 | 게송 360~361번 이야기 |
J100 | 아사따루빠 | 게송 414번 이야기 |
J107 | 살릿따까 | 게송 72번 이야기 |
J119 | 아깔라리위 | 게송 159번 이야기 |
J137 | 밥부 | 게송 82번 이야기 |
J146 | 까까 | 게송 284번 이야기 |
J182 | 상가마와짜라 | 게송 13~14번 이야기 |
J183 | 왈로다까 | 게송 83번 이야기 |
J201 | 반다나가라 | 게송 345~346번 이야기 |
J211 | 소마닷따 | 게송 152번 이야기 |
J215 | 깟치빠 | 게송 363번 이야기 |
J221 | 께시와 | 게송 9~10번 이야기 |
J276 | 꾸루담마 | 게송 362번 이야기 |
J285 | 마니수까라 | 게송 306번 이야기 |
J314 | 로하꿈비 | 게송 60번 이야기 |
J321 | 꾸띠두사까 | 게송 61번 이야기 |
J325 | 고다 | 게송 394번 이야기 |
J346 | 께시와 | 게송 47번 이야기 |
J354 | 우라가 | 게송 212번 이야기 |
J367 | 살리야 | 게송 125번 이야기 |
J374 | 쭐라다눅가하 | 게송 349~350번 이야기 |
J390 | 마이하까 | 게송 355번 이야기 |
J400 | 답바뿝파 | 게송 158번 이야기 |
J419 | 술라사 | 게송 102~103번 이야기 |
J428 | 꼬삼비 | 게송 6번 이야기 |
J429 | 마하수까 | 게송 32번 이야기 |
J449 | 맛따꾼달리 | 게송 2번 이야기 |
J455 | 마띠뽀사까 | 게송 324번 이야기 |
J465 | 밧다살라 | 게송 47번 이야기 |
J466 | 사뭇다와니자 | 게송 17번 이야기 |
J472 | 마하 빠두마 | 게송 176번 이야기 |
J483 | 사라바미가 | 게송 181번 이야기 |
J512 | 꿈바 | 게송 146번 이야기 |
J522 | 사라방가 | 게송 137~140번 이야기 |
J533 | 쭐라함사 | 게송 17번 이야기 |
J536 | 꾸날라 | 게송 197~199번 이야기 |
J542 | 칸다할라 | 게송 17번 이야기 |
기원전 2세기 후반에 그리스의 왕 밀린다와 나가세나 장로 사이에 벌어진 토론을 정리한 밀린다팡하(Molindapanha, 밀린다왕문경)에도 법구경에 나오는 인물들을 언급하고 있다. 밀린다팡하에 금생에 공덕을 짓고 금생에 바로 복을 받은 사람의 예로서 꽃장수 수마나(게송68번 이야기), 에끼사다까 바라문(게송 116번 이야기),하인 뿐나(게송223번 이야기), 숩삐야(게송53번 이야기),마하깟짜야나 장로에게 공양 올리고 우데나 왕의 왕비가 된 고빨라마따, 부처님께 공양 올리고 빠세나디 왕의 왕비가된 말리까, 6명을 들고 있다.21)
※ 21) 밀린다팡하2, 2편 8장 3, p185(민족사, 이미령)
청정도론 제 12장 신통변화에 법구경 주석서와 같은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지혜가 충만함에 의한 신통의 예로서 모태에 들어있을 때 화장용 장작 더미 위에서 살아난 상낏짜 장로(게송110번이야기),맹수와 야차들이 들끓는 성문 밖에서 살아난 아이(게송296번 이야기)를 들고 있다. 삼매가 충만함에 의한 신통의 예로 오백 개의 장물 보따리에 눌리고도 무사한 카누 꼰단냐 장로(게송111번 이야기), 뜨거운 기름을 뒤집어쓰고도 무사한 웃따라 (게송223번 이야기), 우데나 왕이 독화살을 쏘지 못하게 한 사마와띠(게송21~23번이야기)를 들고 있다. 공덕을 가진 자의 신통의 예로 궁전이 솟아난 조띠까 재정관(게송 416번 이야기), 황금양들이 나타난 맨디까 장자, 신비한 능력을 가진 그의 다섯 가족들(게송252번 이야기)을 들고 있다. 결의에 의한 신통 중에서 하나인 상태에서 여러 몸을 창조하는 신통의 예로 쭐리빤타까 장로(게송25번 이야기)를 들고 있다. 나타내는 신변의 예로 부처님께서 천상에서 상깟사로 내로올 때 천상에서 지옥까지 모두 보이게 한 사건(게송 181번 이야기),숨기는 신변의로 아노자에게 마하깝삐나를 보이지 않게 한 사건(게송79번 이야기)을 들고 있다.
청정도론 외에 붓다고사가 지은 앙굿띠라 니까야 주석서에도 법구경 주석서와 일치하는 이야기가 많다. 법구경 주석서가 이들 붓다고사의 저술보다 나중에 성립되었다고 보는 견해에 따르면 청정도론과 경전과 율장 부석서에서 자료를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법구경 주석서의 많은 부분에서 자따까를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자따까가 법구경 주석서보다 먼저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법구경 주석서에서 인용한 주석서들
6세기 초에 활동한 대주석가 담마빨라(Dhammapala)의 더술인 장로게경 수석서, 장로니게경 주석서, 천궁사 수석서, 아귀사 수석서에도 법구경 이야기와 같은 내용들이 나온다. 이들 네 주석서의 성립연대는 법구경 주석서보다 더 늦어지므로 법구경 추석서에서 인용했다고 보아야 한다.
1)장로게정 수석서(Theragatha Attkatha)에 나오는 이야기
장로게경 주석서 | 이 름 | 법구경 주석서 |
i. 95 | 짝꾸빨라 | 게송 1번 이야기 |
i. 39 | 띳사 | 게송 3~4번 이야기 |
ii.16 | 마하깔라 | 게송 7~8번 이야기 |
i. 66 | 메기야 | 게송 33~34번 이야기 |
xi. | 상낏찌 | 게송 110번 이야기 |
vi. 6 | 삽빠다사 | 게송 112번 이야기 |
xxxi. | 왕기사 | 게송 419~420번 이야기 |
2) 장로니게경 주석서(Therigatha Attakatha)
장로게경 주석서 | 이 름 | 법구경 주석서 |
i. 12 | 담마딘나 | 게송 421번 이야기 |
v. 4 | 난다 | 게송 150번 이야기 |
v. 9 | 꾼달라께시 | 게송 102~103번 이야기 |
v. 10 | 빠따짜라 | 게송 113번 이야기 |
vi. 3 | 케마 | 게송 347번 이야기 |
x. 1 | 끼사고따미 | 게송 114번 이야기 |
천궁사 주석서(Vimanavatthu Atthakatha)에는 맛따꾼달리(게송 2번 이야기), 웃따라(게송 223번 이야기), 시리마)레와띠(게송219~220번 이야기)이야기가 나온다. 아귀사 주석서 (Petavastthu Atthakatha)에는 돼지아귀(게송281번 이야기),화탕지옥(게송60번 이야기),큰 망치아귀(게송 72번 이야기)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