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품질관리사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r

중장년층에게 적합한 자격증은 무엇이 있을까?
최근 수많은 수입농산물이 국내 농산물로 원산지가 둔갑됨에 따라 소비자와 생산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농산물과 식품의 유통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많은 지원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농산물의 원산지 표시를 비롯한 포장농산물의 표시사항을 정확하게 준수하도록 지도하고, 우수 농산물에 관해 등급을 판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역할도 증대되고 있다. 자격증 취득 후 지역농협, 농산물유통회사, 영농조합법인, 농산물품질인증기관 등으로 취업이 가능하다.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30~40대 직장인들의 커리어 체인지나 재취업을 위해 유용하다.
-구분: 국가공인자격증
-주관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제한 없음
-시험과목
1차-농산물품질관리법령 및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 원예작물학, 농산물유통론, 수확후의 품질관리론 등(선택형 필기), 2차-농산물품질관리 실무능력을 평가하는 단답형과 서술형의 필답시험
-시험일정: 1년에 1회, 1차-5월 29일 / 2차-7월 31일
01. 농산물품질관리사란?
효율적인 유통질서 확립과 농산물 유통 개선을 위한 유통 정보의 확산 및 생산자, 소비자에 대한 홍보 등을 담당하는 농업 분야 전문가입니다. WTO 가입으로 수입 농산물이 국내 시장에 들어와 국내산 농산물로 둔갑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가 농산물의 출하 및 유통과정을 보다 엄격히 관리하여 안전하고 품질 좋은 농산물이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농산물품질관리사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r
02. 향후 진로 및 전망
정부가 농산물품질관리사를 고용하는 산지, 소비지, 유통시설의 사업자에게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법 제29조 7항)을 두고 있어 전문자격자로서의 역할과 그 전망이 매우 밝습니다.
03. 응시자격 및 방법
1) 자격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자격기본법 제18조 결격사유가 없는 자)이면 누구나 응시 가능합니다.
2) 방법
1차 필기시험은 각 과목당 100점 만점에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하는 절대 평가이고, 2차 실무 교육을 합격하면 자격증을 취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