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상생 상극운동
오행(五行)이란 대자연의 다섯단계 에너지 운동방향을 목화토금수 문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오행이라는 대자연의 다섯가지 이질적인 에너지는 서로 상생을 이루기도 하고 상극을 이루기도 하면서 어느 한 기운이 무한하게 지나치지 않도록 하여 끊임없이 순환합니다.
상생(相生)이란 서로 도와주는 관계를 말하며 대체로 그 다음단계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목(木)운동은 화(火)운동으로 화(火)운동은 토(土)운동으로 토(土)운동은 금(金)운동으로 금(金)운동은 수(金)운동으로 수(金)운동은 다시 목(木)운동으로 나아가게 도운다는 것입니다. 봄(木)의 끝에 여름(火)이 오고 여름의 끝에 가을(金)이 오고 가을의 끝에 겨울(水)이 옵니다 토(土)는 봄과 여름의 양(陽)운동에서 가을과 겨울의 음(陰)운동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중재하며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이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火生土) 금생수(金生水) 수생목(金生水)의 오행(五行)의 상생(相生)운동이며 이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환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오행의 상생(相生)운동은 유행(流行)하는 순환운동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상극(相剋)이란 오행 에너지간의 억제나 제어, 조절을 의미하는데 이는 대자연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필수적인 운동이라 볼 수 있습니다. 상생의 운동에 의한 한 기운의 무한한 증가에 대해 적당히 억제를 하여 주는 작용으로서 조화와 중용을 이루게 합니다. 만약 봄의 목(木)운동만 무한히 계속되어 성장만 계속된다면 세상은 유지되고 이어져 갈 수 없을 것입니다.
봄의 목(木)운동에 의해 만물이 솟아오르고 생겨났다면 가을의 금(金)운동으로 생장을 멈추고 결실을 맺어 아래로 떨어뜨리는 운동이 일어나야만 대자연의 생명을 이어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성장과 팽창 발전의 이면에는 억제하고 조절하는 정지의 작용이 필요한 것입니다.
겨울(水)은 여름(火)의 발산하는 기운을 통제하고 여름(火)은 가을기운(金)이 쉽게 견강하여 결실치 못하도록 제어하며 가을(金)은 솟아오르고 펼쳐지는 봄(木)운동을 수축 응고하는 기운으로 억제시킵니다. 봄의 목(木)운동은 토(土)의 가두려는 기운을 이기고 올라갑니다. 토(土)운동은 밑으로 내려가고 응집하는 수(水)운동을 가두어 제어합니다.
즉 수(水)운동은 화(火)운동을 제어하고 화(火)운동은 금(金)운동을 제어하며 금(金)운동은 목(木)운동을 제어하고 목(木)운동은 토(土)운동을 제어하며 토(土)운동은 수(水)운동을 제어하는 기운을 가집니다.
이것이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목극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 즉 오행의 상극(相剋)운동입니다.
이렇듯 오행(五行)의 기운들끼리 생하거나 극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라 하며 우주만물의 모든 변화는 이 오행의 생극원리(生剋原理)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운동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번갈아 가며 일어납니다. 따라서 상생(相生)이나 상극(相剋)은 서로 돕고 조절하며 생명력을 유지하는 대자연의 존재방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한의학은 음양오행이론(陰陽五行理論)을 기초로 질병에 접근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오행(五行)의 속성을 인체에 있는 장부와 기관에 연관시키고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이치를 응용하여 인체에 있는 장기의 상호연관을 설명합니다. 또한 상생과 상극의 법칙으로 생리현상과 병리변화를 파악하며 그 이치를 응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중요한 기본원리로 쓰고 있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오행의 상생 상극 정리~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상생과 상극 을 알려 주심에 이해의 범위가 넓어져 감에 감사드립니다.
오행은 생하고 제어,조절하면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지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