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와 우리말의 일치 : 갭. 가운데. 물. 교육하다. 물을 뜨다
히브리어 표문
구분 | 히브리어 | 의미와 뜻 |
1 | גַּו 1459 [gav] | ◾남성형 명사 : 가운데, 중간. ◾남성형 명사: בְּגוֹא ,בְּגוֹ, 가운데에, 중간에, 단3:25,4:7(10), 7:15. ◾남성형 명사 : לְגוֹא, 가운데로, 단3:6. |
2 | גֵּו 1460 [gêv] | ◾남성형 명사 : 가운데, 중앙, 욥30:5. ◾남성형 명사 : 뒤, 후, 잠10:13, 19:29, 26:3, 사50:6,51:23 |
3 | lamad | ◾교육하다. 가르친다, 훈련시키다, 배우다. |
4 | [mûwl] | ◾물뿌리는 것인가. 할례를 행하다 |
5 | [shâʼab] | ◾물을 뜨다 ,퍼다, 물을 긷다, 물을 펴내다. |
◼ 이스라엘 언어는 히브리어, 수메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물론 우리말도 여기에 얽혀 있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 “ 가븐데 ⟶ 가운데” 로 발음 변화한다. 즉 “가븐데”의 ㅂ 발음이 약화되면서 가운데의 “우” 발음을 변화한다. 이러한 예는 “아름답+어 ⟶ 아름다우어 ⟶ 아름다워” 로 변화는 형태를 또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 위 표문 1.2번에서 히브리어 [gav][gêv]는 가운데 틈이 갈라진 영어의 gap과 일치한다. 그리고 이 말은 우리말의 가운데로 연결된다. 따라서 히브리어는 우리말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위 표문 3에서 보듯이 히브리어의 “라마드(lamad)”란 단어는 “교육하다, 가르친다, 훈련시키다” 는 뜻과 배운다는 뜻을 함께 갖고 있습니다. 물론 페르시아어도 마찬가지입니다. 페르시아어의 예는 아래 표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페르시아어 표문
페르시아어 | 의미와 뜻 | 페르시아어 | 의미와 뜻 |
موز [āmūz] | 가르치다, 교수하다 | آموختن의 어근 | 배우다 |
آموزنده | 배우는 이, 피교육자 | آموختن [āmūkhtan] | یاد دادن 가르치다, 교수하다 |
◼ 위 표문 4,5번에서 보듯이 히브리어 “[mayim] 마팀 ⟶마심” 으로 발음이 변화한다. 히브리어 마팀은 t에서 y까지 변화한다. 터키어도 적용되는데 “ㅌ ⟶ ㄷ ⟶ ㄹ⟶ ㄴ ⟶ ㅇ” 이렇게 발음이 변한다. 또한 “흘리다, 흘러”라는 뜻을 갖는 [rîy]는 라틴어의 “강”을 뜻하는 rio랑 서로 발음이 유사하다. 히브리어 [shâʼab]는 우리말의 경상도 사투리 “떠버려”에서 변형된 말이다. 즉 우리말 “떠버려”의 “떠버 ⟶ ㅅ + 떠뿌” 로 변해 “물을 뜨다, 퍼다, 물을 긷다, 물을 펴내다.”의 뜻이 된 것이다. 히브리어 [mûwl, 물] 역시 물 뿌리는 것을 말하며, 할례를 행하다. 라는 뜻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