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장
三十輻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30개 바퀴살은 하나의 바퀴통에 모여 꽂히는데, 마땅히 (바퀴테와 바퀴통 사이, 바퀴통) 그것이 (그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수레로서의 쓰임새를 가지게 된다.
輻, 輪轑. 亦稱直指, 轂, 則輻所輳也. 盖輪之爲制, 以三十輻, 外貫干郭, 內貫干轂, 使相撑持. 而虛無其轂心, 得以受軸. 然後萬轉不滯, 有車之用. 是, 無者, 有之樞也.
“바퀴살輻”은 바퀴(테의 배에 돌려 꽂히고, “바퀴통”의 등)에 모아 꽂히는 바이다. 이른바, (바퀴의 각 부분으로 나누어) 불러서 그대로 가리키면, “바퀴통轂”은 이른바 “바퀴살”이 모여 꽂히는 (바이자, 바퀴축이 가로 꽂히는) 바이다. 이른바, 바퀴가 일삼아질 때, “30개의 바퀴살”이 안쪽으로 바퀴테(의 배)에 (돌려) 꽂히게 하고, 바깥쪽으로 바퀴통(의 등)에 (모아) 꽂히게 함으로써, (바퀴테와 “바퀴통”이) 서로 잡아끌게 하고, 잡아끌리게 한다. 그리고 그 “바퀴통”의 가운데를 (뚫어서) 텅 비게 하고, (깎아서 채워진 바가) 없게 함으로써, (그 “바퀴통”의 가운데가) 바퀴축을 받아들이게 한다. 그렇게 한 다음에야, (바퀴가) 끊임없이 돌아가지만, 멈추지 않게 되고, (따라서) “수레로서의 쓰임새를 가지게 된다.” (요컨대, 이 문장의 요지) 그것은 (비유컨대) ‘없음無’이 ‘있음有’의 문지도리가 되는 바라는 것이다.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치대 이긴) 찰흙을 두드려 펴고 붙여 쌓아 그릇을 일삼는데, 마땅히 (가운데) 그것이 (찰흙을 가지는 바가) 없어야, 그릇으로서의 쓰임새를 가지게 된다.
埏, 搏凝也. 埴, 粘土也. 鑄器者, 鑿地爲範, 而空其中. 搏土納之, 而成其用. 是, 無者, 有之生也.
“연埏”은 두드려 펴고, 붙여 쌓는다는 말이다. “식埴”은 찰흙을 가리킨다. “그릇”을 빚을 때, (그 치대 이긴) 찰흙을 “뚫어” 틀을 잡거나, 이른바 그 (치대 이긴 찰흙의) 가운데를 (파내어) 텅 비게 하거나, (치대 이긴) 찰흙을 두드려 펴고 붙여 쌓(아 틀을 잡)는데, 따라서 그 (“그릇”으로서의) “쓰임새”를 이루게 된다. (요컨대, 이 문장의 요지) 그것은 “없음無”이 “있음有”이 생겨나는 바라는 것이다.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문과 창을 뚫어 집을 일삼는데, 마땅히 (문과 창) 그것이 (모두 그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집으로서의 쓰임새를 가지게 된다.
戶, 所以出入. 牖, 所以通明. 皆, 虛無. 其室壁, 而爲之. 若無戶牖, 雖有室, 亦不能居止. 是, 無者, 有之主也.
“문戶”은 (집 안으로) 들고 나는 까닭이 된다. “창牖”은 (집 안에서 밖과) 어우러지고 (집 밖에서 안을) 밝히는 까닭이 된다. (따라서 “문”과 “창”은) 모두 (“뚫린 채”) 텅 비어 있고, (그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다.” 그 “집”의 벽은 이른바 (“문”과 “창” 모두의 뚫린 채, 텅 비어 있음과 그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음”) 그것을 일삼는다. 만약, (그러한) 창”과 “문”을 가지는 바가 “없는”, 이른바 (그러한) “집”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면, 이른바 (그러한 집에) 자리하지 못하게 되고,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이 문장의 요지) 그것은 “없음無”이 “있음有”의 주인이 되는 바라는 것이다.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따라서 (마땅히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 그것을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이로움을 일삼아야 하며,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 그것을 가지는 바가 ‘없음’으로써 쓰임새를 일삼아야 한다.
有之以爲利, 指車器室也. 無之以爲用, 指轂埴牖也. 上三者, 若無下三者, 則不可以爲用. 譬如精氣神, 若不以虛無之道煉之, 則不足以爲精氣神之用也.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 그것을 가지는 바가 ‘있음有’으로써, (마땅히) 이로움을 일삼아야 할 바”는 “수레”, “그릇”, “집”을 가리킨다.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 그것을 가지는 바가 ‘없음無’으로써, (마땅히) 쓰임새를 일삼아야 할 바”는 “바퀴”, “찰흙”, “(문과) 창”을 가리킨다. (요컨대, 이 문장의 요지, 그것은) “(‘이로움’을 일삼는) 앞 3가지가 만약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뒤 3가지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면, (앞 3가지의) ‘쓰임새(用; 利)’를 일삼을 수 없게 된다. 비유컨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가진) 면밀한 바, 기氣, 신령스러운 바, 이것을 불어나게 하는 데 있어서, 만약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비고 없는 도(道; 自然)로써 하지 못하게 되면, (그 불려진) 면밀한 바, 기氣, 신령스러운 바의 ‘쓰임새(用; 功能)’를 일삼기에 부족하게 되는 것과 같다.”
右第十一章.
여기까지가 제11장에 대한 풀이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