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장
(이른바, 임금은 백성을) 일삼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한다. 사안을 처리하되, 일부러 일삼아 처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한다. (음식) 맛을 내되, 일부러 일삼아 맛을 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한다. (나라를) 키우되, (유위가) 작은 바(小; 無爲)로써 해야 한다. (백성을) 늘리되, (유위가) 적은 바(少; 無爲)로써 해야 한다. 원망을 갚되, 덕스러움(德; 無爲)으로써 해야 한다. 어려운 일을 꾀할 때에는 그것이 쉬울 때 해야 한다. 큰 일을 일삼을 때에는 그것이 작을 때 해야 한다. (이른바, 임금이) 천하에서 (일부러 일삼아) 어렵게 되는 일은 (무위를 일부러 일삼아) 쉽게 여기는 일에서 일어난다. 천하에서 (일부러 일삼아) 커지게 되는 일은 (무위를 일부러 일삼아) 작게 여기는 일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끝끝내 (일부러 일삼아) 크게 되는 바를 일삼지 않았는데, 따라서 그 (저절로 그러하게) 크게 되는 바를 이루기를 잘하게 되었다. 이른바, (임금이 스스로 유위를) 가볍게 허락하게 되면, 반드시 (백성의) 믿음을 (일부러 일삼아) 줄어들게 하게 된다. (스스로 유위를) 쉽게 여기는 바를 많아지게 하게 되면, 반드시 (일부러 일삼아) 어려워지게 되는 바를 많아지게 하게 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이른바 (스스로 유위를 가볍게 허락하고, 쉽게 여기는 바를 많아지게 하는 일) 그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따라서 끝끝내 (일부러 일삼아) 어렵게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다.
爲, 無爲. 事, 無事. 味, 無味. 大, 小. 多, 少. 報怨以德. 圖難乎其易也. 爲大乎其細也. 天下之難, 作於易. 天下之大, 作於細. 是以聖人, 終不爲大, 故能成其大. 夫輕諾, 必寡信. 多易, 必多難. 是以聖人, 猶難之. 故終無難.
무위無爲를 일부러 일삼아 작게 여긴다細는 말은 무위無爲를 일부러 일삼아 하찮게 여긴다는 뜻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