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09:00~10:00 | 오전 공부 | 실습생 전체 | - 이야기 나누기 | 발표, 경청, 기록 |
10:00~12:00 | 기획단 회의 | 성현동팀 실습생 | - 소망나무 꾸미기&사진찍기 겨울놀이 게임 확정 겨울놀이 활동 계획 세우기 | 경청, 기록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3:00~15:00 | 기획단 회의 | 성현동팀 실습생 | - 오전 회의 내용 전달 겨울놀이 포스터 제작 | 경청, 기록 |
16:00~17:00 | 슈퍼비전 | 성현동팀 실습생 | - 슈퍼비전 및 활동 피드백 (겨울놀이 게임 확정 및 방식) | 경청, 기록, 질문 |
17:00~18:00 | 성현동팀 회의 | 성현동팀 실습생 | - 겨울놀이 논의 (슈퍼비전 바탕의 논의) | 회의,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오전 공부 (09:00~10:00)
: 오늘 오전 교육시간에는 총괄 슈퍼바이저 김별 선생님과 함께 지금까지의 오전 공부 시간을 통해 배운 점과 남은 실습기간 혹은 그 이후에 이루고 싶은 희망에 대해 실습생 모두가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돌아가며 각자 배운 점과 앞으로의 희망을 이야기하며, 동료 실습생들의 사업 현황과 그를 통해 배운 점들을 들을 수 있었는데, 저와 비슷한 점을 배운 동료들에게는 공감할 수 있었고, 새로운 관점에서는 배우고 싶은 내용들을 메모하며 오전 공부시간을 마무리했습니다.
앞으로도 동료실습생들과 자발적으로 오전 공부 시간에 각자의 사업과 배움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계속 가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기획단 회의 (10:00~12:00, 13:00~15:00)
: 단기사회사업인 ‘겨울방학사용설명서’를 기획하는 기획단 친구들과 여덟 번째 만남을 가졌습니다. 오늘 회의부터는 아이들과 본격적으로 회의 시작 전에 ‘오늘의 회의 안건’을 칠판에 적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그 내용을 회의 시작하며 읽는 시간을 가지며, 오늘 정한 안건을 다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동시에 안건을 다 끝내면 자유시간을 주겠다 약속했습니다.
기획단 아이들과 처음 안건인 소망나무 꾸미기 작업을 했습니다. 병욱이는 재성선생님, 민서선생님과 미리 만들었던 나무 기둥을 3-4층 계단에 붙이는 작업을 했고, 연주는 저와 함께 나무 기둥을 만들고 남은 박스 부분을 활용해 줄기를 만들었습니다. 수연이와 예린이는 나무를 조금 더 화사하게 보일 수 있게 꾸밀 수 있는 것들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나무기둥을 다 붙인 후에는 병욱이와 재성선생님, 제가 함께 마스킹테이프를 활용해 풍성한 나뭇잎을 표현해줬습니다.
병욱이는 소망 포스트잇 뒤에 양면테이프를 붙이고 있고, 연주는 줄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
중간중간 병욱이가 “아 쌤, 이거 하기 싫어요. 백만원 주면 할게요.”라고 하기도 했지만, “병욱아, 이것 좀 부탁할게~”라고 부탁하면 툴툴거리면서도 다 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연주 또한 처음 줄기를 함께 그리자고 제안했을 때 “쌤... 제가 그림을 못그려서”하며 거부의사를 보여줬으나, 같이 함께 그려보자는 저의 부탁에 나서서 그리고, 또 자르고, 꾸미며 스스로 나무 줄기를 완성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수연이, 예린이, 연주가 수다를 떨면서 꾸밀 캐릭터들을 그리고 있네요 ㅎㅎ
또, 수연이와 예린이는 301호에서 자신들의 캐릭터와 을사년을 의미하는 푸른 뱀 캐릭터와 같은 소망나무를 꾸밀 수 있게 많은 캐릭터 그림을 완성해줬습니다. 양면테이프로 소망 포스트잇과 나무 줄기, 캐릭터를 다 붙이곤 앞에서 사진도 찍었습니다. 더하여, 지나다니는 많은 사람들이 나중이라도 소망나무를 구경하고, 소망을 작성할 수 있도록 펜과 포스트잇을 배치하며 ‘소망나무 꾸미기’ 활동을 마무리했습니다.
열심히 꾸민 소망나무 앞에서 다들 사진 한 컷씩 찍어보았습니다 :)
다시 활동실로 돌아와서 아이들과 전날 병욱이와 기획단 친구들을 위해 사준 음료를 나눠 먹고, 5분 정도의 쉬는 시간을 가지고 다음 안건인 ‘겨울놀이 게임 확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1주일 전 아이들에게 겨울놀이에서 하면 좋을 게임을 생각해보라고 미션을 줬었는데, 오늘 그것을 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이들과 하나씩 얘기하다보니 9가지 정도의 게임이 나왔고, 선생님들과 함께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투표를 통해 선정된 ‘제기차기, 판뒤집기, 벽피구, 양세찬게임’에 대한 룰은 다음주 회의 때 정하는 것으로 하고 오전 기획단 회의를 마쳤습니다.
오후 회의에서는 세현이와 함께했습니다. 세현이는 먼저와서 저희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세현이와는 무엇을 하면 좋을지 고민하다 겨울놀이 포스터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세현이는 포스터를 만들어 본 경험은 있다고 했으나 미리캔버스를 사용해본 적은 없다고 말했었습니다. 하지만 잘할 수 있다며 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세현이가 직접 포스터 템플릿을 고르고, 재성선생님과 함께 포스터를 만들었습니다. 동시에 민서선생님과 저는 신청폼을 만들었습니다. 세현이는 앞서 말했던 미리캔버스를 써본 적 없다는 것과 달리 정말 능숙하게 만드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뚝딱뚝딱 잘 만들어줘 빠른 시간 내에 포스터를 완성했고, 남은 시간은 선생님들과 함께 수다를 떨며 회의를 마쳤습니다.
세현이가 만든 포스터입니다 !! 정말 잘 만들지 않았나요 ? 특히 저 눈사람이 너무 귀여운 것 같아요 ..ㅎㅎ
- 슈퍼비전 (16:00~17:00)
: 성현동팀 담당 슈퍼바이저 문은선 선생님께 슈퍼비전을 받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 회의에서 아이들과 함께 소망나무를 완성하고, 겨울놀이 때 진행할 게임과 포스터를 제작했음을 공유드렸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아이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들은 현실가능성을 생각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셨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정한 게임을 하나하나 생각해보며 단체게임으로써 원활히 진행가능한지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더불어 기존 부스형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던 각각의 게임부스를 본관 지하에 위치한 강당까지 확보하며 장소에 맞는 게임을 구상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하며 마칠 수 있었습니다.
- 성현동팀 회의 (17:00~18:00)
: 슈퍼비전 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회의를 했습니다. 현실적으로 진행하기 어렵다는 슈퍼비전을 받았던 양세찬 게임을 바꾸자는 생각으로 회의를 진행했으나 동료 실습생들과의 회의를 통해 전체적으로 수정을 했습니다.
처음 강당에서 집합해 전체적인 행사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하고, 다같이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진행한 후 단체로 별관으로 이동하여 A, B조를 나눠 피구형 게임과 좀비게임을 302호와 401호에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20분정도 한 게임을 진행한 뒤 이동하여 두 게임을 바꿔 진행하고, 게임이 마무리된 후에는 옥상으로 올라와 준비한 핫초코와 간식을 먹으며 겨울놀이 행사를 마무리하기로 정했습니다.
회의가 끝나고 전날 진행했던 소망 나무 행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음을 기획단 부모님께 공유드렸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 오전 공부 ‘드디어 저희 팀이 회의와 놀이를 병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오늘 오전 공부 시간은 지금까지 오전 공부 시간을 통해 배운 점과 앞으로 이루고 싶은 희망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0명의 동료 실습생들이 배운 점이 각각 다를 만큼 정말 많은 내용을 배운 것을 알 수 있었고, 다들 얼마나 이 오전 공부 시간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았는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명지 선생님의 차례가 되자 말했습니다. “드디어 저희 팀이 회의와 놀이를 병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라매동팀의 명지선생님도 저희와 같은 어린이 기획단 사업을 맡아 활동하고 있어, 지금까지도 서로 활동에 대해 얘기도 많이 나누고, 문제가 발생한다면 그것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많이 가졌습니다. 항상 말했던 공통점은 아이들과 회의를 진행할 때 자유시간이 주어지면, 회의가 아닌 놀이로 빠진다는 것에 두 팀 모두 고민을 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오늘 공부 시간을 통해 보라매동팀은 ‘회의와 놀이를 병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직전 회의인 수요일 회의까지만해도 아직까지 병행한다라는 표현은 이른 감이 있었기에 우리 기힉단 아이들에게도 병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줘야겠다 생각했습니다. 회의에 시작하기에 앞서 아이들에게 안건에 대해 미리 공지하고 노출을 시켜줌으로써 아이들에게도 오늘의 안전을 인지시켜주고, 안건에 대한 논의를 다 한다면 원하는 자유시간을 주는 것으로 회의를 운영해보면 좋을 것 같아 곧바로 적용해보았습니다. 아이들도 처음 안건을 적고, 읽을 때 어색한 것 같아 보이긴 했지만 더더욱 활동 참여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회의 시작에 앞서 안건을 함께 읽고 상기시키며 회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보완점
- 오늘 처음으로 오전 회의 때 아이들보다 먼저 회의장소에 도착했습니다. 회의장소가 너무 추워 히터를 트니 문득 아이들과 항상 회의를 할 때, 아이들보다 일찍 도착한 적이 한번도 없었고, 히터도 항상 켜져있었음을 자각했습니다. 물론 오전 공부시간이 있어 어쩔 수 없었지만, 앞으로는 아이들보다 10분정도 일찍 내려가 히터도 틀어놓고, 아이들을 맞이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오늘 기획단 회의 때 아이들과 함께 정했던 게임이 슈퍼비전 시간과 실습생 회의 시간을 거치며 많이 변경되었는데, 이후 기획단 회의 때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실망하지 않고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