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출처: [전물동] Specialist PT 원문보기 글쓴이: PT-정일*˘_˘*
이상근과 외회전근육들 | 정희원 |
![]() |
이상근과 외회전근육들 정희원 근육학강의 43-이상근과 외회전근육 이상근과 기타 짧은 외회전근들 ꡒ이중악당ꡓ ꡒ하지의 사각근 ꡓ(신경압박과 TP로 인한 증상) O.선골의 앞쪽면(1~4 ant. scaral foramina사이) I.대전자 윗면의 내측면 F.고관절 신전시(서서) 대퇴의 일차적인 외회전근 / 고관절 90도 굴곡시(앉아서) 외전 ․체중을 감당하는 활동에서 대퇴의 격렬한 또는 과다한 내회전을 견제-걷거나 달릴때 입각기초기에 ․고관절을 고정-관골구내에 대퇴골두가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 외회전은 장시간 고스톱을 치거나 책상다리로 앉아있는 경우. M.대퇴의 외회전-이상근과 나머지 짧은 외회전근들과 대둔근 1)활성화 ․넘어지려다가 중심을 잡으려다가, 달리기 ․차를 운전할 때(장시간 대퇴를 외전․굴곡 상태를 유지하는 것) ․출산과정, 비뇨기 치료를 위한 과정, 성교를 위해 양무릎을 벌리고 고관절에서 대퇴를 굴곡시키는 것 ․내전을 자주하면 내전근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당하고 만다. -다리 오므리고 사는 사람들 2)P&S "Piriformis Syndrom"- ①TP방사통 ②신경혈관올가미 ③천장관절장애 ┌TP1은 소둔근, 요방형근으로 위성TP를 방사, TP2보다 더 아프고 고약하다. └TP2는 대둔근지역으로 통증을 방사 ․엉치를 돌리게 만들고 팔자걸음을 만든다. ․통증과 이감각증은 요부, 서혜부, 회음, 둔부, 고관절, 대퇴후부, 하퇴, 발, 배변시 직장통에 있다. ․변비환자는 단단한 변 덩어리가 좌측 이상근TP를 압박하면 배변시 직장통을 일으킨다. ․상하 둔신경과 혈관의 압박은 둔부 전체의 통증을 일으킬 수 있고, 둔근의 위축을 촉진한다. ․앉아 있는 것에 의해, 장시간 고관절의 굴곡, 내전과 내회전이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증상이 악화. ․통증이 있는 다리의 부종 성기능 장애 ꡓ-여성에서는 성교불쾌증을 남성에서는 발기부전을 호소. ․천장관절장애- 선골에 반대쪽 사선축 회전-SI joint에 강한 회전분리력(선골기저부 앞으로, 꼬리뼈 뒤로) 【검사】 ․직립자세-좌골신경의 peroneal portion에 올가미: 경도의 하수족 ․좌골신경에 광범위한 신경올가미: 병변측의 다리를 끈다 ☞이상근은 전경골근을 고장낼 수 있다. ․앉은자세-뒤척이고 자주 자세를 이동(병변측의 대퇴를 반대측 무릎위에 걸치기 어렵다) -의사는 무릎외측면에 손을 놓고, 환자에게 무릎을 벌리라고 한다. 움찍거림, 통증과 약화가 관찰됨. ․똑바로 누운자세-대퇴가 지속적으로 외회전(발목에서는 45도이상의 외회전으로 입증됨) ․양반다리로 걷는 사람은 좌골신경통의 가능성이 농후하다. -SLRT를 하면 아프고 난리난다. 복잡한 신경증상 때문 ․옆으로 누운자세-특히 우측 이상근의 단축은 선골의 좌측 사선축 회전을 일으킨다.(꼬리뼈가 뒤로 옆으로 이동) 3)ASC A.․piriformis line(=대전자 위끝과 대좌골공 상부까지 직선; 이상근의 상부경계, 소둔근 후연을 이룬다) 에서 1/3이 TP1, 2/3이 TP2 C.무릎베개로 수면자세 교정 / 테니스공 허혈성 압박 ■연관TP ․다른 TP로 인한 위성으로는 발생하지 않는 경향 →오직 소둔근, 중둔근만이 같이 어울리며 고집불통의 3악당처럼 작용 ․항문거근, 미골근과도 병변이 잘 생긴다 |
첫댓글 이상한 근육이 이상근이라던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