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質)로서의 오행과 기(氣)로서의 오행
오행의 질(質)은 땅에 갖추어져 있으면서 일정한 본체를 가지고 있다. 오행의 기(氣)는 하늘에서 운행되면서 무궁한 변화를 한다.
- 홍범연의 오행편.
질로서 생겨나는 오행의 순서를 말하면 수-화-목-금-토이고, 기로서 행하는 순서를 말하면 목-화-토-금-수이다.
- 주자의 말씀 ; 홍범연의 오행편의 주.
2. 태극에서 음양이 성립되고, 음양에서 오행이 생기며, 오행에서 사계절이 운행됨
태극(太極)이 활동하여 양(陽)이 생기며, 그 활동이 극에 달하면 고요하게 되니[靜], 고요하게 되면 음(陰)이 생긴다. 고요함이 극에 달하면 다시 활동[動]의 상태로 복귀한다. 활동했다가 고요했다가 하면서 서로가 서로의 근원이 되며, 음으로 치우쳤다가 양으로 치우쳤다가 하면서 음양이라는 두 가지 거동[兩儀, 陰陽]이 성립된다. 양이 변화하고 음이 이에 부합됨으로써 수·화·목·금·토가 생긴다. 이 오행의 기[五氣]가 순조롭게 번져나가 사계절이 운행된다.
- 주돈이의 말씀 ; 홍범연의 오행편.
3. 토(土)가 중요한 이유
토(土)라는 것은 수(水)와 화(火)가 의탁하는 곳이며, 금(金)과 목(木)이 바탕을 두는 곳이며, 가운데 머물면서 사방에 응하고, 본체를 하나로 하여 온갖 것을 싣는 것이다. (...) 맹자께서 사람의 사단(四端)을 논하시면서 감히 신(信)을 그 사이에 나열하여 서술하지 않으셨다. 그것은 아마도 어디에 적용하든 이것이 아닌 것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 홍범연의 오행편 ; 장계향연구회 엮음 홍범연의 6쪽.
토(土)는 중앙에 자리하면서 때의 변화를 따라 왕성함을 이루어 사계절이 그 차례대로 공을 이루도록 해주지만, 지칭하는 이름이 없다. 그것이 토의 지극한 덕인 것이다.
- 홍범연의 오행편 ; 장계향연구회 엮음 홍범연의 10쪽.
4. 대대와 유행과 역
질(質)을 수-화-목-금으로 말하는 것은 대개 음양을 서로 떼어놓고서 말하는 것이니, 동-서-남-북으로 말하는 것과 같고, 이른바 대대(對待, 서로가 대립되면서도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라고 하는 것이다.
기(氣)를 목-화-금-수로 말하는 것은 대개 음양을 서로 의지시켜서 말하는 것이니, 동-남-서-북으로 말하는 것과 같고, 이른바 유행(流行, 기의 영향으로 계절이 순환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질은 비록 하나로 고정되어서 바뀌지 않으나, 기는 변화하면서 다함이 없으니, 이른바 역(易)이라고 하는 것이다.
- 홍범연의 오행편 ; 장계향연구회 엮음 홍범연의 8쪽.
5. 토(土)의 지극한 덕
토는 오행의 중앙에 자리하면서 때의 변화를 따라 왕성함을 이루어 사계절이 그 차례대로 공을 이루도록 해 주지만, 지칭하는 이름이 없다. 그것이 토의 지극한 덕인 것이다.
- 홍범연의 오행편 ; 장계향연구회 엮음 홍범연의 10쪽.
6. 수(水)가 적시며 내리지 않는 이유
전한서 오행지에서 말하였다. “종묘에 드리는 제사를 소홀히 하고, 사당에 기도하지 않으며, 제사를 폐기하고, 천시를 거스르면 수는 적시며 내리지 않는다”라고.
- 홍범연의 오행편 ; 장계향연구회 엮음 홍범연의 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