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키피디아
지난 5일(현지 시간)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사망 200주년을 맞은 #나폴레옹-보나파르트 (1769~1821) <왼쪽> 묘에 헌화했어요. 나폴레옹은 프랑스에서도 . #영웅 ' 과 ' #독재자 ' 로 평가가 갈리는 인물인데요, 사망 200주년을 맞아 전 세계에서 그의 공적을 기리고 평가하는 '나폴레옹 다시 보기'가 한창입니다.
거의 전 유럽을 석권한 나폴레옹은 '전쟁의 신'으로 기억되지만, 마지막으로 치른 1815년 #워털루전투 에서는 처참하게 졌습니다. 그러곤 대서양의 외딴섬 #세인트헬레나 로 #귀양 가 1821년 5월 5일 세상을 떠났죠.
당시 워털루 전투에서 승리해 나폴레옹 시대를 저물게 한 사람은 바로 #영국 의 #웰링턴장군 (1769~1852) 이에요. 나폴레옹과 같은 해 태어난 #동갑내기 웰링턴은 나폴레옹을 물리쳐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었고, 이후 #영국총리 까지 올랐어요. 그런데 200년이 지난 오늘날 #패자 인 #나폴레옹 이 #승자 인 #웰링턴 보다 더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시골 출신 황제 vs 귀족 출신 총리
나폴레옹과 웰링턴의 삶은 시작부터 달랐어요. 나폴레옹은 1769년 #프랑스식민지 였던 지중해의 작은 섬 #코르시카 에서 #하급귀족출신 으로 태어났어요. 그는 열 살 때 아버지를 따라 프랑스 본토로 건너가 육군유년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갔어요. 프랑스 #귀족자제 가 즐비한 #사관학교 에서 시골 출신 나폴레옹은 코르시카 #사투리 를 쓰는 #촌놈 으로 놀림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나폴레옹은 나중에 지휘관이 됐을 때 시골 섬 출신 특유의 거칠고 솔직한 태도로 농민 출신 사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고 해요.
반면 웰링턴은 #아일랜드 #귀족출신 이었죠. 본명은 #아서-웰즐리 인데, 1814년 #영국왕 에게 #공작작위 를 받아 1대 #웰링턴공작 이 됐어요. 평소 사람들 앞에서 자기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을 뿐 아니라, 신분이 낮거나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에겐 거들먹거렸다는 평가가 전해질 만큼 뼛속까지 귀족이었던 모양입니다. 부하들에게도 인기가 없었다고 해요. 그는 열두 살 때 #명문 #사립학교 인 #이튼칼리지 에 들어갔는데, 나중에 워털루 전투에서 승리한 후 "워털루의 승리는 이튼의 교정에서 시작됐다"는 말을 하기도 했어요. 이튼칼리지는 웰링턴 장군을 포함해 영국 총리를 20여 명 배출한 학교예요. 현 보리스 존슨 총리도 이튼 출신입니다.
쿠데타로 권력 장악 후 황제 즉위
나폴레옹은 사관학교 졸업 후 장교로 활약했어요. 당시 유럽 지배층은 시민들이 #절대왕정 을 무너뜨린 #프랑스혁명 (1789~1794) 바람이 유럽 전역에 확산될까 봐 두려워했어요. 그래서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 여러 나라가 '대(對)프랑스 동맹'을 맺고 프랑스와 싸우기 시작합니다. 나폴레옹은 #대프랑스동맹 과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우며 인기가 높아졌고, 1799년 #쿠데타 로 권력을 장악했어요. 5년 뒤엔 #황제 에 #즉위 했죠. 이후 군사, 법전, 교육,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변혁 을 일으켰어요. 또 유럽 국가들과 전쟁을 벌여 #스페인 부터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 까지 유럽 대부분을 점령했고, 프랑스 영토를 3배로 넓혔습니다.
승승장구하던 나폴레옹은 1812년 #러시아원정 으로 #몰락의길 을 걷습니다. #굶주림 과 #추위 로 많은 병사를 잃었죠. 마침내 1814년 영국 등 대프랑스 동맹군에게 파리를 함락당하고, 이탈리아 서해안 #엘바섬 으로 #추방 당했어요. 이에 프랑스 혁명으로 처형당한 #루이16세 의 동생이 #루이18세 로 즉위하면서 프랑스는 #왕정이복고 (復古·과거로 돌아감) 됐죠. 나폴레옹은 1815년 2월 동맹군의 감시를 피해 엘바섬을 #탈출 했어요. 그가 프랑스에 돌아왔을 때 많은 지지자가 환영했어요. 루이 18세는 벨기에로 도망갔고, 나폴레옹은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기까지 100일간 프랑스를 다시 지배했답니다.
웰링턴은 이튼칼리지에서 성적이 그다지 좋지 못하고 아버지가 사망한 뒤 가세가 기울자 1785년 프랑스 #육군사관학교 로 옮겼어요. 1796년부터는 #식민지 #인도 의 #총독 이었던 형을 따라가 10년 동안 폭동을 진압하며 공을 세웠죠. 이후 유럽으로 돌아와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의 수많은 전투에서 활약했습니다. 나폴레옹이 엘바섬으로 유배된 후 #전후질서 를 논의하기 위해 유럽 각국이 참여한 ' #빈회의 ' 가 열렸는데, 웰링턴은 #영국대표 로 파견될 정도로 높은 지위에 올랐습니다.
나폴레옹 시대를 끝낸 워털루 전투
1815년 나폴레옹이 다시 프랑스 권력을 잡자 영국 등 동맹국들은 그를 타도하고자 했어요. 이에 나폴레옹의 프랑스군과 웰링턴이 이끈 #영국·프로이센연합군 이 벨기에 남동부 워털루 지역에서 격전을 벌인 게 '워털루 전투'입니다.
나폴레옹은 먼저 프로이센군을 공격해 퇴각시킨 다음 영국군을 총공격했어요. 전투는 프랑스군의 승리로 기우는 듯했는데, 갑자기 퇴각하던 프로이센군이 돌아와 프랑스군을 기습 공격하면서 영국·프로이센 #연합군 이 승리합니다. 이렇게 프랑스와 유럽 국가들의 23년에 걸친 오랜 전쟁도 끝났어요. 하지만 웰링턴은 추후 동시대 가장 훌륭한 장군이 누구냐는 질문에 "현재에도, 과거에도, 미래에도 바로 나폴레옹입니다"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전투에선 이겼지만, #군사전략가 로서 나폴레옹 능력에 경의를 표한 것입니다.
☞곳곳에 이름 남긴 웰링턴 장군
웰링턴 장군 이름은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어요. #뉴질랜드 #수도 웰링턴이 그의 이름을 딴 것이고, 많은 사람이 신는 고무 장화 ' #웰링턴부츠 ' 도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어요. 웰링턴은 당시 장식품이 달린 가죽 군화가 거추장스러워 개선하라고 지시했고, 단순하고 실용적인 부츠가 탄생했어요. 이 부츠는 처음엔 '웰링턴 장군의 부츠'로 불리다가, 아예 제품명이 '웰링턴 부츠'로 굳어졌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고무로 된 웰링턴 부츠를 신어요. 소고기에 #푸아그라 ( #거위간 ) 와 버섯 페이스트를 바르고 페이스트리 반죽으로 얇게 감싸 구워 낸 영국 음식 ' #비프웰링턴 ' <사진>도 웰링턴 이름을 딴 것으로 전해져요. 워털루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온 웰링턴 장군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등 여러 설이 있어요.
▲ 위키피디아
출처: 프리미엄조선|[윤서원]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기획·구성=김연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