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6018E3D55F94ECC31)
![](https://t1.daumcdn.net/cfile/cafe/2274973D55F94ECE3C)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A363D55F94ECE19)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30F3D55F94ECF2F)
![](https://t1.daumcdn.net/cfile/cafe/270DCF3D55F94ED024)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A223D55F94ED027)
![](https://t1.daumcdn.net/cfile/cafe/211B4D3D55F94ED218)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3913F55F94ED330)
----------------------------------------------------------------------------------------------
1. hiberfil.sys 라는 은 최대절전모드시에 쓰이는 파일입니다.
최대 절전모드의 경우 램의 내용을 모두 파일로 저장한 다음 전원을 끄고, 다시 전원을 킬때 최대절전모드 실행전의 사용환경으로 바로 복귀하는 절전모드를 말합니다. 때문에 저 hiberfil.sys 파일의 크기는 컴퓨터 마다 다릅니다.
xp 에선 제어판에서 최대절전모드를 해제하면 됩니다.
윈도우7에선 아무리 그런메뉴는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음에 실행 --> cmd ---> 검은색 화면에서 powercfg -h off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2. 여기까지가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를 실행하다 보면 "이를 실행할 권한이 없다"는 메세지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관리자 계정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1) 로컬보안정책 편집기
시작메뉴의 검색란 - secpol.msc - 엔터 - 로컬정책 --> 보안옵션 폴더를 펼친후 계정:Administrator 계정상태 정책을 더블클릭 - 대화상자에서 사용을 선택
2) 로컬 사용자 및 그룹 스냅인
시작 메뉴의 검색란 - lusrmgr.msc - 로컬사용자 및 그룹 스냅인 - 사용자 항목을 열고 Administrator 더블클릭 - Administrator 속성 대화장사에서 계정사용안함 체크박스 클릭해 체크를 품
************ 하지만 위의 두가지 방법은 윈7 홈베이직과 프리미엄을 비롯한 일부 버전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3) 가장 확실한 방법은
3-1) 시작 메뉴의 검색란에 '명령'을 입력한 수 명령 프롬프트를 오른쪽 클릭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하면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가 열린다.
3-2) 커맨드라인에 다음 명령을 입력해 실행시킨다.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3-3) 이제 로그오프 하면 Administrator 계정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