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모
진해 거담 전립선비대증 영유아소화불량에 효험
▶ 진해거담작용, 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 청열윤폐, 화담지해, 폐열조해, 건해소담, 음허노수, 객담대혈, 전립선비대증, 영유아의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패모
패모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패모(貝母)
[기원]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중국패모 Fritillaria verticillata var. thunbergii Bak.의 비늘줄기. 중국에서는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 cirrhosa D. Don 사용한다. 여름과 가을 두 계절 혹은 눈이 쌓였다가 녹을 때에 채취하여 수염뿌리, 거친 껍질 및 진흙을 제거시키고 난 다음 햇볕에 건조하거나 혹은 낮은 온도에서 건조한다.
[성미] 맛은 쓰고 달며, 약성은 약간 차다.
[귀경] 폐경(肺經), 심경(心經)
[효능주치] 청열윤폐(淸熱潤肺), 화담지해(化痰止咳)의 효능이 있어 폐열조해(肺熱燥咳), 건해소담(乾咳少痰), 음허노수(陰虛勞嗽), 객담대혈(喀痰帶血) 등에 응용한다.
[임상응용]
1. 전립선비대증의 치료 : 패모, 고삼, 당삼 각 25g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35례중 배뇨곤란, 급성요저류로 입원한 환자가 가장 많아 98.4%를 점유하였다. 이 처방으로 치료한 결과, 치유 27예, 무효 8예(Ⅰ˚비대 2예, Ⅱ˚와 Ⅲ˚비대 각각 3례)였다. 2예가 재발하여 수술로 치료하여 개선시켰으며, 25예가 5년 간 재발하지 않고 배뇨상태가 좋았다. 일반적으로 3∼5제를 복용한 후에는 바로 효과가 나타났으나, 개별 환자에게서 배뇨곤란이나 혹은 급성요저류가 있는 자는 우선 요를 빼내거나 혹은 방광에 천자를 한 후에 다시 이 약물을 복용시킨다.
2. 영유아의 소화불량 치료 : 천패모를 분쇄하여 80∼100目의 체로 거른 다음 봉지에 담아서 사용한다. 매일 체중 1㎏당 0.1g을 3차례 복용한다. 10예를 치료한 결과 2일만에 완치된 예가 4명이었으며, 3일만에 완치된 것이 3명, 4일만에 완치된 것은 3명으로 총 유효율은 100%였다.
[약리]
1. 진해거담(鎭咳祛痰)작용: 천패모의 진해작용에 대한 각계의 내용은 일치하지 않는다. 암모니아수로 유발한 생쥐의 해수(咳嗽)에 대한 연구결과, 천패모의 총 alkaloid 및 비alkaloid 부분을 마리당 0.25∼0.5㎎씩 경구투여 하였더니 모두 현저한 진해효과가 있었다. 천서북지구의 야생 및 재배한 암자패모(暗紫貝母)로부터 추출한 총 alkaloid, 패모saponin Ⅰ, Ⅱ, Ⅲ호로 진행한 약리실험 관찰결과, 총 alkaloid가 이산화황(sulphur dioxide)으로 유발한 생쥐의 해수에 대해서 진해(鎭咳)작용을 하는 것은 발견되지 못했다. 패모 saponin Ⅱ호 2g/㎏을 관위시켰더니 생쥐 해수의 잠복기를 현저히 연장시켜 진해효과를 표현하였다. 재배 및 야생의 천패모를 70% 에탄올에서 추출한 liquid extract 25㎎/㎏을 경구투여하였으나, 암모니아수로 유발한 해수에 대하여 현저한 진해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생쥐 phenol red 검사법의 거담실험에서 재배 및 야생의 천패모 200% liquid extract 25㎎/㎏, fritimine 11.3㎎/㎏ 및 패모saponin Ⅰ∼Ⅲ호 0.5㎎/㎏은 모두 비교적 현저한 거담효과가 있었으며, 이중에서도 alkaloid와 saponin Ⅲ호의 작용이 비교적 강하였다.
2. 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 fritimine 4.2㎎/㎏을 고양이에게 정맥주사 하였더니 지구성 혈압하강을 초래하였으며, 아울러 잠깐동안의 호흡억제도 수반하였다. sipeimine은 마취한 개에게서도 또한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있었다. Verticine이 극소량일 때에는 혈압을 상승시킨다. 대량의 alkaloid는 혈압을 하강시켰다.
3. 기타작용: 토끼에서 fritimine 7.5㎎/㎏을 정맥주사 하였더니, 혈당을 상승시켰으며 아울러 혈당상승을 2시간이상 지속시켰다. Sipeimine은 guinea pig의 이체한 장관과 토끼의 십이지장 및 개의 소장에 대하여 모두 현저한 이완작용을 하였다. 이 작용은 neostigmine과 barium chloride의 대항을 받지 않으며, 그 해경작용은 papaverine과 유사하다. 1 : 167000∼1 : 50000의 fritimine은 guinea pig의 이체한 자궁의 장력을 증가시킨다. 천패모의 알코올추출물 5g(생약 1㎏에 상당)은 생쥐의 정상 기압하에서 산소결핍에 견디는 능력을 제고시키며, 2㎎/L농도일 때는 Bacillus coli 및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장 및 번식을 억제시켰다. Fritimine 수침제(水浸劑)(1 : 25)는 시험관내에서 Nocardia asteroids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었다.
4. 독부작용 : Fritimine을 생쥐에게 정맥주사한 LD50은 40㎎/㎏이며, 토끼에서는 12∼15㎎/㎏이다.
[화학성분]
1. 천패모: chinpeimine, sonpeimine과 sonpeimine B 등을 함유하고 있고, 물론 fritimine과 sipemine를 포함하고 있다.
2. 암자패모: sucrose와 songbeis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songbeisine의 구조는 22,26-Imino-17,23β-oxido-5α-jerv-12-en-11-oxo-3β-ol이다.
3. 감숙패모: minpeimine, minpeiminine을 함유하고 있다.
4. 사사패모: 선후에 Imperialine, Delavine, Delavinone, Chuanbeinone, Dalafrinone[(22S, 25S)-3β, 16β-dihydroxy-5α-cevanine-3β, 6β, 16β-triol]과 (22R, 25S)-Solanid-5-enine-3β, 5α, 6β-triol 등이 분리되어 나온다. 또한, beilupeimine, fritimin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성분분석]
1. 성분감별
(1) 천패모(川貝母), 절패모(浙貝母) 및 동패모(東貝母)중 패모소(貝母素) A와 패모소 B의 감별: sample에 암모니아수를 가한 뒤 benzene을 가하여 추출하고, benzene추출액을 증발건조하여 CHCl3용액에 용해시킨 후 aluminum oxide G판상에 떨어뜨리고, ethyl acetate : chloroform : methanol (30 : 20 : 3)을 이용하여 전개(developing)시킨 다음 자외선등 아래에서 검시하고, 다시 개량한 bismuth potassium iodide를 분사하여 현색시킨다.
(2) 절패모중의 peimine과 verticinone의 감별: (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sample액을 silicagel G-CMC판 위에 떨어뜨리고, ethyl acetate : methanol : 농축 ammonia water (17 : 2 : 1)을 이용하여 전개시킨 다음 bismuth potassium iodide으로 현색시킨다.
(3) 동패모중 peimine, verticinone의 감별: sample에 암모니아수를 가한 뒤에 CHCl3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silicagel G판 위에 점적하며, ethyl acetate : chloroform : methanol (30 : 20 : 3) 혹은 ether를 사용하여 전개시킨 다음 bismuth potassium iodide ethanol액으로 현색시킨다.
2. 함량측정
(1) 패모 및 그 제제중 총 alkaloid의 측정
① 중량법
a. 절패모꽃의 extract 중 총 alkaloid의 측정: sample액을 증발 건조한 다음 1% HCl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염기화한 다음 CHCl3로 추출하고 증발 건조하여 질량을 잰다.
b. 절패모중의 총 alkaloid의 측정: 표본품에 ether, 1, 2-ethylene dichloride 및 15% NaOH용액을 순서대로 가하고 잘 흔든다. 여과액을 1% HCI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용제를 증발시키고 20% silicotungstic acid용액을 가해 침전시킨다. 침전물을 중량이 일정할 때까지 불에 굽고(A) 다시 600℃에 중량이 일정해질 때까지 구워서(B) 함량을 계산한다(A-13/W표본품×100%).
c. 貝母 extract중의 총 alkaloid의 측정: 표본품의 1N HCl추출액을 NaOH로 알칼리화한 후 ether로 추출한다. Ether층을 0.05N HCl용액으로 추출하고 silicotungstic acid를 가하여 침전시킨다. 그 후는 b와 같다.
② 용량법
a. 산, 알칼리적정법: 청음환(淸音丸)에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윤습한 후 chloroform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증발건조하고 chloroform-ether-에탄올(8 : 25 : 2.5)으로 용해하여 정용한다. 표본품을 취해 증발건조하고 ether로 용해한다. 정밀하게 0.005NH2SO4 표준액을 가하여 ether를 제거하고 물을 가해 methyl red, bromocresol green을 지시제로 하고 0.007N NaOH용액으로 역적정(back titration)한다.
b. 양상적정법(兩相滴定法): 생약을 14% NH4OH용액으로 적시고 혼합용제(②a와 같은 것)를 가해 추출하여 증발건조한다. CHCl3로 남은 잔류물을 용해하여 pH 5의 완충액을 가하고 0.001M bromothymol blue용액으로 적정한다.
c. Silicotungstic acid적정법: 생약에 물과 수소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가하고 가열처리한 후 수지를 주(column)에 넣고 물로 씻어 다시 에탄올로 씻는다. 그 후 암모니아성 메탄올액[NH4OH-CH3OH(3ː7)]으로 alkaloid를 세탈하고 암모니아 및 메탄올을 증발시킨다. 0.6N H2SO4액을 가하여 0.01M silicotungstic acid액으로 적정하고 malachite green으로 종점을 지시한다.
d. 안배적정법 : 생약을 양상적정법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증발건조하고 0.1N H2SO4용액을 가한다. 다시 20% NaOH로 pH를 7로 조절한 후 극보지(전기분해기록지 : polarogram)로 옮긴다. 수은전극 및 염교(salt bridge)를 삽입하고 N2를 통과시킨다. 외부에 전압 -0.4V를 가하고 0.01M silicotungstic acid표준액으로 적정한다.
③ chromatometry법 - 천패모의 총 alkaloid와 산성염료 bromothymol blue가 pH 5의 완충액중에서 형성하는 화합물은 chloroform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410㎚에서 측정한다.
(2) 패모중의 단일 alkaloid 함량 측정
① 절패모중 peimine과 verticinone의 측정: silicagel G판 위에 표본품을 점으로 찍고 ether-무수에탄올(100 : 3)으로 전개하여 개량한 bismuth potassium iodide으로 현색하여 파장 λs=540㎚, λr=650㎚에서 scanning하여 측정한다.
② 서로 다른 품종의 패모 중 sipeimine함량 측정: 표본품추출액을 silicagel G판위에 점으로 찍고 ethylacetate-methanol-암모니아수(20 : 1 : 1)로 전개하여 개량 bismuth potassium iodide으로 현색한다. λs=505㎚, λr=600㎚에서 쌍파장거치(雙波長鋸齒)scan으로 sipeimine를 측정한다.
(3) 열해gas chromatography법 - 정밀하게 표본품 분말 10㎎을 취하여 백금그릇중에 두고 분해노중에서 30초 동안 분해(400℃)한다. 봉이 완전히 나타나면 귀일화법으로 면적을 파악하여 함량에 대한 각 분해산물의 색보봉상(色譜峰相)을 얻는다. 측정조건 : PYR-2A관식로열해기(管式爐裂解器). 2%OV-17chromosorbW(80∼100목). 2m유리색보주(琉璃色譜柱), 화염이온화검측기. 45∼200℃로 일정하게 승온하는데 45℃에서 5분 유지한 후 5℃/min의 승온률로 승온한다. 200℃에서 15분 유지하고 검측기온도는 250℃, N2 유속 : 60㎖/min, H2 : 0.7㎏/㎠, 공기 : 0.5㎏/㎠.
[제제학연구]
천패모의 총 alkaloid를 지표로 삼고 정교시험법(orthogonal test)을 이용하여 사담천패모액(蛇膽川貝母液)중 천패모 liquid extract의 제조기술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여과액(percolate)은 70% 에탄올을 선택하였으며, pH값이 4.5일 때에 제조된 liquid extract중 천패모의 총 alkaloid 함량이 최고로 높았으며, 담그는 시간은 결과에 대해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 하나의 결론을 놓고 볼 때, 실제로 생산에 가장 좋은 기술을 제공하였고, 생산품의 품질도 향상시켰다.
[포제학연구]
《中藥大辭典》의 포제방법에 다음과 같이 규정해 놓고 있다. 즉, 천패모를 물에 약간 담갔다가 꺼내고 밀폐시켜 물이 스미게 한 다음 내부의 心을 제거시키고 햇볕에 건조한다. 현재는 음편을 포제하기 전에 사포(gauze)로 싼 다음 1∼2시간동안 물에 담근 후 切片하는 방법을 매우 많이 채용하고 있으며, 이런 방법은 유효성분인 alkaloid의 유실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여러 품종의 패모를 물에 담근 후 유효성분인 alkaloid의 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물에 담그는 과정 중 패모의 유효성분인 alkaloid 함량에 있어서 손실 정도가 달랐으며, 담근 후에는 담그기 전보다 패모의 총 alkaloid 손실이 12∼39%에 달했다.
천패모는 귀중한 약재의 하나이다. 물에 담근 후 천패모의 고미는 현저히 감소됐으며, alkaloid의 손실도 비교적 컸다. 또한, 치료효과에도 영향을 미쳐 약재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포제한 절편을 임상응용할 때, 물에 담갔다가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상로패(象爐貝), 평패서(平貝舒)는 비교적 큰 패모로 응용시에 물을 뿌려 스며들게 한 후 편으로 자르거나 혹은 직접 분쇄하여 거친 가루로 만드는 방법을 채용하면, 모든 량의 alkaloid 유실이 감소되며, 밀폐하여 스며들게 할 때 적당량의 에탄올과 물을 혼합한 것을 가하여 스며들게 하면, 곰팡이의 형성을 방지한다.
일본학자들은 선패모와 석회처리를 거친 가공 포제한 패모의 diterpene계 성분을 비교연구한 결과, 이 두 패모에는 모두 특유한 성분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선패모중의 특유성분인 diterpene계 성분은 ent-16β,17-epoxy-kaurane과 ent-kaur-15-en-17-ol 등이며, 가공 패모중의 특유성분인 diterpene계 성분은 ent-17-norkauran-16-one, ent-15β, 16-epoxy-kaurar-17-ol과 ent-(16S)-atisan-13, 17-oxide 등이다.
별도로 또한 문헌에 보면 패모의 지방에 따른 관습품에 대해서도 포제연구를 진행하였다. 호북패모(湖北貝母)는 시장에 3종의 가공품이 있는데, ① 선패모를 직접 말린 것 ②석회수에 담갔다가 석회에 싼 다음 말린 것 ③ 유황에 훈증시킨 후 건조한 것이다. 가공 건조가 서로 다른 호북패모의 품질비교를 하였다. 표본품을 분쇄하여 60目짜리 체로 걸러 정밀하게 적당량의 가루를 취해 蒸?法을 사용하여 sulphur dioxide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양상적정법(兩相適定法, diphasic titration)을 이용하여 총 alkaloid 함량(peimine수치)을 측정해 냈으며, 보통의 방법으로 추출한 saponin과 정제하지 않은 saponin의 수득율을 측정하였다. 약전에 보면, 표본품의 수분을 측정하여 표본품을 환산한 것이 무수표본품이다. 측정결과, 유황으로 훈증시킨 후 건조한 것과 석회수에 담근 후 석회로 싸서 건조한 것을 비교해 보았을 때, 이 두 가지 품의 총 alkaloid와 정제하지 않은 saponin의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전자는 sulphur dioxide함량이 높았다. 선패모를 직접 건조한 것은 sulphur dioxide를 함유하지 않았다. 이와 별도로 두 종류를 비교하였더니 총 alkaloid의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정제하지 않은 saponin의 수득율이 1배 더 높게 나타났다. 선패모를 직접 건조한 것인 이 포제방법은 기타 두 가지 방법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또 문헌을 보면, 호북패모의 가공기술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유황훈증법을 채용한 것이 석회수침포법보다 우수하다고 하였다. 유황훈증법으로 표백, 살충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 빛깔이 좋게 하며, 미관상 보기 좋게 하며, 아황산 등을 함유시킨다. 이것은 전자과정을 거친 후에도 인체에 대해선 무해하였다.]
|
위에 자료를 올려주신 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자료를 보고계시는 님께 부탁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