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국립국어원,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
-ㅅ-
사라[皿, さら] ➡ 접시
♦ 맛있는 음식이 사라(→접시)에 담겨 있다.
사라다[サラダ, salad] ➡ 샐러드
♢ 신선한 사라다(→샐러드)는 건강에 좋다.
사료[飼料, しりょう] ➡ 먹이
♦ 애완동물은 사료(→먹이)를 먹여 키운다.
사루비아[サルビア, salvia] ➡ 샐비어
♢ 사루비아(→샐비어)의 원산지는 브라질이다.
사물함[私物函, しぶつ-] ➡ 개인 (물건) 보관함
♦ 교실에는 사물함(→개인 보관함/개인 물건 보관함)이 있다.
사시미[刺身, さしみ] ➡ 생선회
♢ 여름에는 사시미(→생선회)를 잘 안 먹는다.
사양[仕樣, しよう] ➡ ① 설명(서) ② 품목
♦ 제품을 살 땐 사양(→설명/설명서/품목)을 잘 따져 봐야 한다.
사입[仕入, ←仕入れ(しいれ)] ➡ 사(들이)기
♢ 새 자동차를 사입했다(→샀다/사들였다).
삭도[索道, ちくどう] ➡ 밧줄, 하늘 찻길
♦ 짐을 삭도(→밧줄)로 묶었다.
삽목[揷木, ←揷し木(さしき)] ➡ 꺾꽂이
♢ 국화는 삽목(→꺾꽂이)이 가능한 식물이다.
상신[上申, じょうしん] ➡ 여쭘, 알림
♦ 선생님께 상신한(→여쭌/알린) 문서에 대한 답변이 오늘에야 도착했다.
색소[色素, しきそ] ➡ 물씨
♢ 색소(→물씨)에는 천연 색소(→물씨)와 인공 색소(→물씨)가 있다.
샷다[←シャッター, shutter] ➡ 덧닫이, 여닫개, 셔터
♦ 카메라 셔터(→셔터/덧닫이/여닫개)를 누르세요.
샷시[←サッシ, sash] ➡ (알루미늄) 문틀/창틀, 새시
♢ 우리 집 샷시(→새시/문틀/창틀)는 방음이 잘 된다.
선반[旋盤, せんばん] ➡ 돌이판, 갈이판
♦ 선반(→돌이판/갈이판) 위의 꿀단지.
선불[先拂, ←先拂い(さきばらい)] ➡ 선지급
♢ 월급을 선불(→선지급)로 받았다.
선착장[船着場, ふなつきば] ➡ 나루(터)
♦ 선착장(→나루/나루터)에 나룻배가 몇 척 있다.
선취[先取, せんしゅ] ➡ 먼저 얻음
♢ 상대편이 점수를 선취하는(→먼저 얻는) 바람에 끌려가는 경기를 했다.
세공[細工, さいく] ➡ 공예
♦ 보석 세공(→공예)을 정밀하게 해서 팔면 값을 더 받을 수 있다.
세대[世帶, せたい] ➡ 가구, 집
♢ 그 동네에는 다섯 세대(→가구/집)가 산다.
세대주[世帶主, せたいぬし] ➡ 가구주
♦ 나의 세대주(→가구주)는 아버지다.
세라복[セーラー服, ←sailor suit] ➡ 세일러복, 해군복
♢ 세라복(→세일러복/해군복)을 입은 남자 친구가 참 멋있게 보였다.
세무가죽[セーム-, chamois-] ➡ 섀미 가죽
♦ 내 구두는 세무가죽(→섀미 가죽)으로 만들었다.
센베이[煎餠, せんべい] ➡ 전병 과자
♢ 노인들은 센베이(→전병 과자)를 좋아한다.
센치하다[センチ-, ←sentimental-] ➡ 감상적이다
♦ 가을이 되면 으레 사람들은 센치해진다(→감상적으로 된다).
센타[センター, center] ➡ 본부, 중앙, 중심(지)
♢ 정부는 소비자 보호 센타(→본부)를 건립했다.
소데나시[袖無し, そでなし] ➡ 맨팔(옷), 민소매, 소매 없는 옷
♦ 여름엔 소데나시(→맨팔옷/민소매/소매 없는 옷)를 즐겨 입는다.
소라색[空色, そらいろ] ➡ 하늘색, 하늘 빛깔
♢ 소라색(→하늘색)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색이다.
소매[小賣, ←小賣り(こうり)] ➡ 산매
♦ 도매상으로부터 싼값에 물건을 받아서 소비자들에게 소매(→산매)로 팔아 이문을 남겼다.
소바[蕎麥, そば] ➡ 메밀(국수)
♢ 겨울엔 뜨끈한 소바(→메밀국수)가 생각난다.
소보로빵[そぼろパン, そぼろpão] ➡ 곰보빵
♦ 소보로빵(→곰보빵)은 못생겼지만 맛은 달콤하다.
송달[送達, そうたつ] ➡ 보냄, 띄움
♢ 편지 송달(→보내는) 과정에서 사고가 많이 생긴다.
쇼바[←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shock absorber] ➡ 완충기
♦ 쇼바(→완충기)는 충격을 줄여 준다.
쇼부[勝負, しょうぶ] ➡ 흥정, 결판
♢ 가격을 쇼부해서(→흥정해서) 많이 깎을 수 있었다.
수갑[手匣, てじょう] ➡ (쇠)고랑
♦ 경찰이 도둑에게 수갑(→쇠고랑)을 채웠다.
수당[手當, てあて] ➡ 덤삯
♢ 수당(→덤삯)이 얼마 되지 않아 불만이다.
수령[受領, じゅりょう] ➡ 받음
♦ 퇴직금을 수령하고(→받고) 나면 집을 살 생각이다.
수리[受理, じゅり] ➡ 받음, 받아들임
♢ 사장은 직원이 낸 사표를 수리하지(→받지) 않고 반려했다.
수반[首班, しゅはん] ➡ 우두머리
♦ 정부의 수반(→우두머리)은 국민의 신망을 얻어야 한다.
수속[手續, ←手續き(てつづき)] ➡ 절차, 순서
♢ 퇴원 수속(→절차)을 밟으려면 병원비를 모두 내야 합니다.
수순[手順, てじゅん] ➡ 차례, 순서
♦ 차곡차곡 수순(→차례/순서)을 밟아 가면서 일을 진행해야 합니다.
수입고[輸入高, ゆにゅうだか] ➡ 수입량
♢ 매년 석유 수입고(→수입량)가 증가하고 있다.
수제품[手製品, てせいひん] ➡ 손치
♦ 이 악기는 명인이 만든 수제품(→손치)이어서 음색이 뛰어나다.
수출고[輸出高, ゆしゅつだか] ➡ 수출량
♢ 수출고(→수출량)를 늘려야만 경제가 살아난다.
수취[受取, ←受け取り(うけとり)] ➡ 수령, 받음
♦ 배달된 상품을 수취하였다는(→수령하였다는/받았다는) 서명을 해야 한다.
수취인[受取人, ←受け取り人(うけとりにん)] ➡ 받는 이
♢ 수취인(→받는 이)을 정확히 기재하지 않아 배달을 하지 못했다.
수타국수[手打-, ←手打ち(てうち)-] ➡ 손국수
♦ 기계로 뽑은 것보다는 역시 수타국수(→손국수)가 맛있다.
수하물[手荷物, てにもつ] ➡ 손짐
♢ 트럭에 수하물(→손짐)을 규정량 이상 실으면 사고의 원인이 된다.
수확고[收穫高, しゅうかくだか] ➡ 수확량, 소출
♦ 올해는 홍수 피해로 수확고(→수확량/소출)가 작년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
숙박계[宿泊屆, しゅくはくとどけ] ➡ 숙박 장부
♢ 여관에서 자려면 숙박계(→숙박 장부)를 기록해야 한다.
순번[順番, じゅんばん] ➡ 차례
♦ 순번(→차례)을 정해서 한 명씩 들어와라.
스뎅[ステン, ←stainless] ➡ 안녹쇠, 스테인리스
♢ 이 냄비는 스뎅(→스테인리스/안녹쇠)으로 만들어서 녹이 전혀 슬지 않습니다.
스라브[スラブ, slab] ➡ 바닥판, 평판, 슬래브
♦ 스라브(→평판/슬래브) 지붕을 얹어서 간이 건물을 세웠다.
스리[刷り, すり] ➡ 교정쇄
♢ 스리(→교정쇄)를 이용하여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원고를 살펴보기로 했다.
스리(쓰리)[掏摸, すり] ➡ 소매치기
♦ 지갑을 스리(→소매치기)당하는 바람에 집까지 걸어와야 했다.
스시[鮨/壽司, すし] ➡ 초밥
♢ 생선이 신선해야만 스시(→초밥)의 맛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승강장[昇降場, ←昇りり降場(のりおりば)] ➡ 타는 곳
♦ 승강장(→타는 곳)에서 버스를 기다리다가 옛 애인을 만났다.
승차권[乘車券, じょうしゃけん] ➡ 차표
♢ 기차를 탈 때 승차권(→차표)을 구입하지 않으면 처벌을 받는다.
시다[←下, した] ➡ 밑일꾼, 곁꾼, 보조원
♦ 우리 누나는 그 가게에서 시다(→보조원/곁꾼/밑일꾼)로 일한다.
시다바리[←下張り, したばり] ➡ 보조원, 곁꾼, 밑일꾼
♢ 그는 시다바리(→보조원/곁꾼/밑일꾼)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공장장을 맡고 있다.
시마이[仕舞/終い, しまい] ➡ 끝냄, 끝남, 마감, 끝(마침)
♦ 하루 일과를 시마이하고(→끝내고/마감하고/마치고/끝마치고) 나니 홀가분하다.
시보리[絞り, しぼり] ➡ 물수건
♢ 이 시보리(→물수건)로 손을 닦은 다음에 음식을 드십시오.
시사[示唆, しさ/じさ] ➡ 귀띔, 암시, 일러 줌
♦ 야당 대변인의 논평은 정계 개편과 관련하여 시사하는(→암시하는/일러 주는) 바가 크다.
시합[試合, しあい] ➡ 겨루기
♦ 오늘은 태권도 시합(→겨루기)이 있다.
식비[食費, しょくひ] ➡ 밥값
♢ 식구가 늘어나니 식비(→밥값) 부담도 만만치 않다.
식상[食傷, しょくしょう] ➡ 싫증 남
♦ 드라마 내용이 너무 식상해서(→싫증 나서) 시청률이 낮다.
신삥[←新品, しんぴん] ➡ 새것, 신품
♢ 이 구두는 신삥(→새것/신품)이어서 윤이 반짝반짝한다.
십팔번[十八番, じゅうはちばん] ➡ 단골 장기, 단골 노래
♦ 그녀의 십팔번(→단골 노래)은 노사연의 ‘만남’이다.
쓰레빠[←スリッパ, slipper] ➡ 실내화, 슬리퍼
♢ 쓰레빠(→슬리퍼)를 질질 끌고 다니면 보기가 안 좋다.
쓰메키리[爪切り, つめきり] ➡ 손톱깎이
♦ 손톱을 쓰메키리(→손톱깎이)로 깎다가 살까지 베고 말았다.
쓰봉[←スボン, jupon] ➡ 양복바지
♢ 키가 훌쩍 커서 지금 가지고 있는 쓰봉(→양복바지)은 모두 짧아서 못 입을 것 같아요.
쓰부 (다이야)[粒ダイヤ, ←つぶdiamond] ➡ 알갱이 (다이아몬드)
♦ 결혼기념일 선물로 쓰부(→다이아몬드) 반지를 선물하기로 했다.
쓰키다시[突き出し, つきだし] ➡ 곁들이 (안주)
♢ 이 집은 회보다 오히려 쓰키다시(→곁들이 안주)가 더 마음에 든다.
-ㅇ-
아나고[穴子, あなご] ➡ 붕장어
♠ 소주 안주로 아나고(→붕장어) 회만 한 것도 없다.
아이롱[←アイロン, iron] ➡ 다리미, 머리 인두
♤ 바지를 아이롱(→다리미)으로 빳빳하게 다려 놓아라.
아키바레(아끼바레)[秋晴れ, あきばれ] ➡ 추청(秋晴) 벼
♠ 아키바레(→추청 벼)는 한동안 온 국민의 밥상에 오른 품종이었다.
악세사리[←アクセサリー, accessory] ➡ 장식물, 노리개, 치렛감, 액세서리
♤ 여자 친구에게 백일 기념으로 악세사리(→액세서리)를 선물했다.
앙꼬[←餡子, あんこ] ➡ 팥소
♠ 앙꼬(→팥소) 없는 찐빵은 맛이 없다.
야스리[鑢, やすり] ➡ 줄
♤ 쇠의 거친 면은 야스리(→줄)로 다듬어야 한다.
야끼만두(야키만두)[燒き饅頭, やきまんじゅう] ➡ 군만두
♠ 중국 음식은 서비스로 야끼만두(→군만두)가 흔히 나온다.
양도[讓渡, じょうと] ➡ 넘겨주기
♤ 내 전 재산을 복지 단체에 양도했다(→넘겨주었다).
양생[養生, ようじょう] ➡ 굳히기
♠ 시멘트를 양생(→굳히는) 중이오니 바닥을 밟지 마십시오.
양식[樣式, ようしき] ➡ 서식
♤ 양식(→서식)에 따라 정확하게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언도[言渡, いいわたし] ➡ 선고
♠ 그 죄수는 존속 살해죄로 사형을 언도(→선고)받았다.
에리[襟, えり] ➡ 깃
♤ 외투 에리(→깃)가 헤져서 더 이상 입기가 어려울 것 같다.
엑기스(엑키스)[←エキス, ←extract] ➡ 진액
♠ 홍삼 엑기스(→진액)는 맛은 좀 씁쓸하지만 건강에는 그만이다.
엔고[円高, えんだか] ➡ 엔화 상승
♤ 엔고(→엔화 상승) 현상이 지속되면서 우리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엔코[えんこ] ➡ 떨어짐, 바닥(남)
♠ 자동차 기름이 엔코가 나서(→떨어져서/바닥나서) 기름을 구하기 위해 주유소까지 걸어가야 했다.
여비[旅費, りょひ] ➡ 노자
♤ 전국 일주를 하는데 여비(→노자)가 생각보다 많이 들어서 때때로 노숙을 하기도 했다.
역할[役割, やくわり] ➡ 소임, 구실, 할 일
♠ 이곳에서 내 역할(→소임/구실)이 무엇인고?
연면적[延面積, のべめんせき] ➡ 총면적
♤ 도서관 연면적(→총면적)은 꽤 넓다.
염료[染料, せんりょう] ➡ 물감
♠ 옷에 염료(→물감)가 묻어 지워지지 않는다.
엽기적[獵奇的, りょうきてき] ➡ 괴기적
♤ 그 사람의 행동은 너무나 엽기적(→괴기적)이어서 오히려 웃음이 날 지경이었다.
오뎅[←おでん] ➡ 어묵, 꼬치(안주)
♠ 역시 겨울엔 오뎅(→어묵)이 최고야.
오바[オーバー, ←overcoat] ➡ 외투, 겉옷, 오버코트
♤ 날이 추우니 오바(→외투/겉옷/오버코트)를 입고 나가거라.
오방떡[大判-, おおばん-] ➡ 왕풀빵
♠ 예전엔 오방떡(→왕풀빵)으로 한 끼 식사를 때운 적도 많았다.
오봉[御盆, おぼん] ➡ 쟁반
♤ 그릇들은 오봉(→쟁반)에 담아서 나르는 것이 안전하다.
오야[親, おや] ➡ ① 우두머리, 두목 ② 계주
♠ 여기 오야(→우두머리/두목)가 누구냐?
오야붕[←親分, おやぶん] ➡ 우두머리, 두목, 책임자
♤ 김두한은 한국 건달들의 대표적인 오야붕(→우두머리/두목)이다.
오지[奧地, おうち/おくち] ➡ 두메(산골)
♠ 강원도 오지(→두메/두메산골)라서 겨울엔 정말 춥다.
옥도정기[沃度丁幾, ヨードチンキ(Jodtinktur)] ➡ 요오드팅크
♤ 할머니는 상처 난 손에 옥도정기(→요오드팅크)를 바르면서 후 불어 주셨다.
와리바시[割り箸, わりばし] ➡ 나무젓가락
♠ 와리바시(→나무젓가락)가 부러져서 라면을 제대로 먹을 수가 없었다.
와사비[山葵, わさび] ➡ 고추냉이
♤ 와사비(→고추냉이)를 너무 많이 넣는 바람에 매워서 눈물이 날 지경이다.
와이로[賄賂, わいろ] ➡ 뇌물
♠ 구청 공무원이 와이로(→뇌물)를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와쿠(와꾸)[枠, わく] ➡ 틀
♤ 창문 와쿠(→틀)가 뒤틀려서 제대로 닫히지 않는다.
왔다리 갔다리[←いったりきたり] ➡ 왔다 갔다
♠ 저 고양이가 왔다리 갔다리(→왔다 갔다) 해서 정신없다.
요지[楊枝, ようじ] ➡ 이쑤시개
♤ 이에 낀 음식을 빼내려고 요지(→이쑤시개)를 찾았으나 찾을 수가 없었다.
용달[用達, ようたし] ➡ 심부름
♠ 그는 용달(→심부름) 전문 사무실을 열어서 소형 화물을 배달해 주는 일을 주로 하고 있다.
우나기[鰻, うなぎ] ➡ (뱀)장어
♤ 그는 몸에 좋다며 우나기(→장어/뱀장어) 구이를 시켜 먹었다.
우니[雲丹, うに] ➡ 성게 젓
♠ 어머니는 우니(→성게 젓)로 담근 김치라며 먹어보라고 권하셨다.
우동[←饂飩, うどん] ➡ 가락국수
♤ 눈 내리는 저녁에 먹곤 하던 뜨끈한 우동(→가락국수)이 그립다.
우라[裏, うら] ➡ 안(감)
♠ 아이 옷은 우라(→안감)가 부드러운 것을 써야 피부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우메보시[梅于し, うめぼし] ➡ 매실(절임)
♤ 우메보시(→매실절임)는 반찬으로도 먹을 만하다.
우와기[上衣, うわぎ] ➡ 윗도리, 상의, (양복)저고리
♠ 우와기(→윗도리/상의/양복저고리)를 벗고 앉으세요.
우키(우끼)[浮き, うき] ➡ 찌, 띄우개, 튜브
♤ 넓은 바다 곳곳에 우키(→튜브)가 둥둥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운임[運賃, うんちん] ➡ 찻삯, 짐삯
♠ 고속열차 운임(→찻삯)은 비행기보다는 싸다.
운전수[運轉手, うんてんしゅ] ➡ 운전기사, 운전사
♤ 그 택시 운전수(→운전기사/운전사)는 친절하다.
워카(워커)[ウォーカー, walker] ➡ 군화
♠ 군인은 워카(→군화)를 신는다.
원금[元金, がんきん/もときん] ➡ 본전, 본밑
♤ 사업을 하다가 원금(→본전/본밑)마저 날리고 지금은 거리로 쫓겨날 판이다.
원망[願望, がんぼう] ➡ 소원, 바람
♠ 철장의 새들은 자유를 원망한다(→소원한다/바란다).
원족[遠足, えんそく] ➡ 소풍
♤ 간밤에는 원족(→소풍) 가는 아이처럼 잠을 못 잤다.
월부[月賦, げっぶ] ➡ 달붓기
♠ 냉장고를 12개월 월부(→달붓기)로 샀다.
월부금[月賦金, げっぶきん] ➡ 달돈
♤ 자동차 월부금(→달돈)을 대느라 다른 데에는 쓸 돈이 없다.
위촉[委囑, いしょく] ➡ 맡김
♠ 홍길동 교수에게 위원장직을 위촉하였다(→맡겼다).
유도리[←ゆとり] ➡ 융통(성), 여유
♤ 그는 유도리(→융통성/여유)가 없어서 일을 원칙대로만 처리하려고 한다.
유지[油脂, ゆし] ➡ 기름
♠ 유지(→기름)는 물과 섞이지 않는다.
유착[癒着, ゆちゃく] ➡ 엉겨 붙기
♤ 정경 유착(→엉겨 붙기)은 한국 사회의 주요한 병폐이다.
육교[陸橋, りっきょう] ➡ 구름다리
♠ 육교(→구름다리)는 횡단보도에 비해 도로 교통에는 도움을 주지만 보행자 입장에선 매우 불편한 시설이다.
융통[融通, ゆうずう] ➡ 변통
♤ 자금을 융통(→변통)하려면 신용이 있어야 한다.
음용수[飮用水, いんようすい] ➡ 먹는 물, 마시는 물
♠ 음용수(→먹는 물/마시는 물)는 위생상 안전해야 한다.
이자[利子, りし] ➡ 길미, 변(리)
♤ 예금 이자(→길미/변리)가 대출 이자보다 낮다.
이지메[苛め, いじめ] ➡ (집단) 괴롭힘
♠ 이지메(→집단 괴롭힘)를 당한 학생들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익년[翌年, よくねん] ➡ 다음 해, 이듬해
♤ 익년(→다음 해/이듬해)부터는 다른 일을 해 볼 생각이다.
익월[翌月, よくげつ] ➡ 다음 달
♠ 익월(→다음 달)에는 새로운 사장이 취임할 것이다.
익일[翌日, よくじつ] ➡ 다음 날, 이튿날
♤ 익일(→다음 날/이튿날)부터 5시까지 근무하기로 했습니다.
인계[引繼, ←引き繼ぎ(ひきつぎ)] ➡ 넘겨줌, 넘겨받음
♠ 새로 입사한 사람에게 업무를 인계하도록(→넘겨주도록) 하십시오.
인도[引渡, ←引き渡し(ひきわたし)] ➡ 건네줌, 넘겨줌
♤ 주문한 상품을 인도해 주십시오(→건네주십시오/넘겨주십시오).
인상[引上, ←引き上げ(ひきあげ)] ➡ (값) 올림
♠ 집값이 인상되어(→올라) 내 집 마련을 몇 년 늦춰야 할 것 같다.
인수[引受, ←引き受け(ひきうけ)] ➡ 넘겨받음
♤ 가게를 인수하고(→넘겨받고) 나서 단장을 새로 했다.
인출[引出, ←引き出し(ひきだし)] ➡ (돈) 찾음
♠ 현금을 인출해서(→찾아서) 일단 빚부터 갚았다.
인하[引下, ←引き下げ(ひきさげ)] ➡ (값) 내림
♤ 불황에 시달리다 못해 옷 가격을 인하하기로(→내리기로) 결정했다.
일조[日照, にっしょう] ➡ 볕 쬠
♠ 일조(→볕 쬐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건강에도 해롭다.
일착[一着, いっちゃく] ➡ 한 벌
♤ 그는 정장이 딱 일착(→한 벌) 있다.
임금[賃金, ちんぎん] ➡ (품)삯
♠ 노동자들이 임금(→품삯)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였다.
임차[賃借, ←賃借り(ちんがり)] ➡ 세냄
♤ 살던 집을 임차해서(→세내어서) 마련한 돈으로 아들을 유학 보내기로 했다.
입간판[立看板, たてかんばん] ➡ 세움 간판
♠ 인도에 입간판(→세움 간판)을 세우면 안 된다.
입구[入口, ←入り口(いりぐち)] ➡ 들어오는 곳, 어귀, 들목
♤ 주창장 입구(→들어오는 곳/어귀/들목)가 좁아서 사고가 잦다.
입방미터(입방메타)[立方-, りっぽうメーター(meter)] ➡ 세제곱미터
♠ 이 유조선에 실을 수 있는 기름양은 100 입방미터(→세제곱미터)이다.
입장[立場, たちば] ➡ 처지
♤ 어느 편을 들어야 할지 입장(→처지)이 난처하다.
입하[入荷, にゅうか] ➡ 들어옴, 들여옴
♠ 신상품 입하(→들어온) 기념 20% 세일!
입회[立會, ←立ち會い(たちあい)] ➡ 참여, 참관
♤ 클럽에 입회(→참여)하려면 회비를 내야 합니다.
잇파이(이빠이)[一杯, いっぱい] ➡ 가득, 한껏, 많이, 가득들이
♠ 차에 기름을 잇파이(→가득/한껏) 넣었어도 하루가 채 가지 않아 바닥이 났다.
잉꼬부부[鸚哥夫婦, いんこ-] ➡ 원앙 부부
♤ 그들은 워낙 사이가 좋아서 동네에 잉꼬부부(→원앙 부부)로 소문이 났다.
잉여[剩餘, じょうよ] ➡ 나머지
♠ 잉여(→나머지) 자본은 많으나 투자할 곳이 마땅치 않아 돈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