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일제 찌꺼기, 혜존(惠存) 유감/작성자 서정사랑”에서 퍼온 글입니다.
원래의 구어체를 문어체로 바꾸어 게시합니다.
[揭示者 註];
옛 文獻을 詳考해 보니, 우리의 先祖들은 “惠存” 과, “惠書”를
같은 의미(남에게서 받은 편지)로 사용한 事例들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일제 찌꺼기, ‘혜존(惠存)’ 유감
혜존(惠存), 책이나 서화 등을 선물할 때, 상대의 이름 아래 흔히 쓰는 표현이다.(‘김ㅇㅇ惠存’처럼) 그런데 ‘혜존’의 진짜 뜻은 이게 아니라고 한다. 흔히 생각하듯이 책을 주는 사람이 상대에게 ‘받아 간직해 달라’는 뜻이 아니라, 반대로 책을 받는 사람이 저자(著者)한테 ‘귀한 책을 주신 것이 은혜로워[惠] 잘 읽고 보존[存]하겠습니다.’는 뜻으로 쓰였던 것이다. 이는 우리의 선비들이 오래 전부터 써왔던 전통이었다.
이렇듯 좋은 뜻이 일제 강점기에 일본이 “이 책을 드리니 잘 보존해주면 감사하겠다.”는 일본 말 ‘혜존’으로 뜻을 거꾸로 바꿔 버렸고, 이후 지금 까지도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일본어대사전을 보면 ‘받아 간직해 주십시오.’ 라며 ‘저서나 작품 등을 남에게 줄때 상대방 이름 옆이나 아래에 덧붙여 쓰는 말’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 국어사전은 이를 그대로 올린 것이고, 결국 오늘날도 우리는 책을 주니 은혜로 알고[惠] 잘 보존해 달라[存]며 책 첫 장에 잘못된 '혜존'을 남발하고 있는 꼴이 됐다. 게다가 이 표현을 윗사람은 물론 심지어 대학원생이 논문을 심사하는 교수님 이름 옆에도 쓰고 있으니 참으로 불경스럽고 민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옛 조상들은 어떻게 표현했을까? 조상들은 스승이나 윗사람께는 ‘아감(雅鑑)’이라 써 드렸다. ‘제 작품을 보여드립니다.’ 라며 정중한 예를 갖춘 최상의 존칭이라고 한다. 또, ‘감하(鑑下)’라 써서 드리기도 했다. ‘거울 같이 맑은 눈으로 쭉 살펴보시고 좋은 가르침을 내려주십시오.’ 라는 뜻이다. 또 비슷한 또래나 조금 선배께는 ‘청람(淸覽)’ 이라고 했다. ‘맑은 눈으로 한번 읽어주시라’ 는 뜻이다. 또, 아랫사람에게는 ‘일람(一覽)’이라 하여 ‘별 것 아니지만 한번 읽어주게나’ 라고 써 주었다. 역시 우리 조상들의 아름다운 마음과 겸손을 알 수 있는 표현들이다.
이처럼 이치에 맞는 말이 있으니, 예(禮)에도 맞지 않고 의미도 틀린 말을 굳이 쓸 필요가 있을까? '혜존'이란 표현은 이제 퇴출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또 현대를 살면서 어려운 표현을 쓸게 아니라 아름다운 우리 글로 ‘◌◌◌ 님께 드립니다.’ 라고 써 드린다면 더 정겹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