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량사 입구

청량사 관음전

청량사 경내

청량사 유마어린이집

청량사 사적비

청량사 설선당

청량사 대법전

청량사 무량수전
1991년 김동숙(金東淑) 비구니 스님의 원력으로 건립된 무량수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다. 잘 다듬어진 장대석의 기단 위에 연화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올렸으며, 전면 어칸에는 4분합의 꽃살문을 달고, 좌우측에는 2분합의 꽃살문을 달았다. 그리고 3면의 벽채에는 상하로 2분하여 상단에는 심우도, 하단에는 부모은중경을 벽화로 그렸다.
내부에는 중앙에 금동아미타여래좌상과 금동관음보살좌상, 금동대세지보살좌상의 아미타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탱화는 아미타후불탱화 비롯해 신중탱화와 감로탱화가 있다. 이중 불상들은 무량수전을 건립된 해인 1991년에 조성되었으며, 탱화들은 하단에 있는 화기에 의해 모두 1993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미타후불탱화와 신중탱화는 석정스님이 그렸으며, 감로탱화를 그린 금어는 조정우다.

청량사 무량수전 벽화

청량사 요사채

청량사 삼층석탑

청량사 극락보전
청량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1894년 석고사(石串寺, 돌꽂이승방)에서 옮겨와 복원한 것이다. 이후 1897년, 1939년, 1959년에 중수 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1989년에 서까래와 기와를 전면교체하고 단청을 새로 하였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이며, 팔작지붕을 올렸는데 지붕에는 질병통이 올려져 있다. 전면 3칸에는 각 4분합의 만살문을 달았으며, 3면의 벽채에는 팔상도를 그려 장엄하였다.
내부에는 중앙의 불단에 목조아미타여래입상과 목조관음보살입상, 목조대세지보살입상의 아미타삼존불과 아미타후불탱화가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로 석조지장보살좌상과 독성상, 그리고 신중탱화와 감로탱화 등이 봉안되어 있다. 이중 아미타삼존상을 비롯해 지장보살상, 그리고 독성상은 극락보전을 이전하여 중건 할 때 함께 모셔온 것이라 전한다. 한편 신중탱화는 화기에 의해 1871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화기를 확인할 수 없는 후불탱화는 역시 이때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청량사 아미타불

청량사 극락보전내 지장보살상

청량사 극락보전내 신중탱화

청량사 대법전 건립부도

청량사 대법전

청량사 종각

청량사 산신각
청량사 찾아가는 길
동대문에서 청량리역 방향으로 간 다음 청량리역을 지나면 떡전교 사거리가 나온다. 이 떡전교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홍릉사거리 방향으로 향하면 나지막한 고갯길이 나오는데 언덕에 올라섰을 때 쯤 우측으로 한신아파트가 있다. 아파트로 들어서 후문 쪽으로 나가면 바로 청량사가 위치하고 있다.
첫댓글 일전에 물어물어 찾아 참배를 했네요...무량수전이 예불후에는 문을 잠가놔서....부탁부탁해서 인사를 드렸던 기억이....ㅎㅎ
저도 문이 잠겨있어 무량수전 참배는 못했네요. 비구니스님의 정진도량이라 참으로 조심스러운 청량사 참배였습니다.
청량사... 이름이 참 좋습니다.
관음전은 안으로 들어가서 2층이고, 대법전은 대웅전으로 좌측 불단 양 옆문이 출입문입니다. 아담한 극락보전은 가장 오랜 전각으로 현대적 신행공간으로 확장한 것이 무량수전입니다. 극락보전만 제대로 보셨으면 청량사 참례는 마친 것이나 진배없습니다^^ 극락보전에서 한가?로이 염불하시던 해인스님의 모습이 떠오르는 尼僧房(니승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