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달러/텡게 평균 환율 달러당 341.76텡게로 전년대비 53.77% 상승 -
- 2016년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수출은 전년대비 19.9% 감소, 수입은 전년대비 6.5% 감소 -
1. 주요 경제 지표
ㅇ 카자흐스탄의 2016년 명목 GDP는 43조8000억으로 전년대비 증가했으나, 환율 변동으로 달러 환산 금액은 전년대비 감소한 128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됨.
- 2016년 1인당 명목 GDP 또한 1만 달러를 넘었던 2014~2015년 대비 줄어든 7151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됨.
ㅇ 카자흐스탄 국가경제부에 따르면 2016년 인플레이션은 8.5%를 기록했음.
구분 | 상세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GDP | 명목GDP(10억 달러) | 218.5 | 179.3 | 128.0 | 146.9 | 153.5 |
명목GDP(10억 텡게) | 39,150 | 39,757 | 43,806 | 47,945 | 52,720 |
실질GDP성장률(%) | 4.3 | 1.0 | 1.0 | 1.8 | 2.0 |
인구&소득 | 인구(백만 명) | 17.4 | 17.6 | 17.9 | 18.1 | 18.3 |
1인당 GDP(PPP 기준, 달러) | 24,401 | 25,241 | 24,585 | 25,188 | 26,029 |
1인당 명목 GDP(달러)* | 12,557 | 10,188 | 7,151 | 8,116 | 8,388 |
평균 실업률(%) | 5.0 | 5.0 | 5.0 | 5.2 | 5.2 |
환율&물가 | 달러/텡게 환율 | 182.35 | 339.47 | 333.28 | 323.26 | 353.86 |
유로/텡게 환율 | 221.97 | 371.31 | 348.94 | 342.65 | 382.17 |
소비자물가 상승률(%) | 7.3 | 13.4 | 8.2 | 7.3 | 5.5 |
경상 수지 | 상품 수지(백만 달러) | 36,245 | 12,679 | 9,221 | 14,579 | 17,500 |
- 수출(FOB) | 80,309 | 46,516 | 35,610 | 43,316 | 45,509 |
- 수입(FOB) | -44,064 | -33,837 | -26,388 | -28,737 | -28,008 |
서비스 수지(백만 달러) | -6,298 | -5,123 | -4,882 | -4,573 | -4,706 |
본원소득수지(백만 달러) | -22,659 | -11,440 | -9,373 | -11,108 | -12,737 |
이전소득수지(백만 달러) | -1,331 | -1,580 | -1,128 | -1,294 | -1,199 |
경상 수지(백만 달러) | 5,957 | -5,464 | -6,161 | -2,396 | -1,141 |
대외 부채 | 대외 부채(백만 달러) | 157,651 | 154,288 | 159,970 | 158,164 | 153,701 |
외환보유액 | 외환보유액(백만 달러) | 29,209 | 27,871 | 30,379 | 31,762 | 31,816 |
주: *는 추정치, **는 전망치
자료원 : EIU, 알마티 무역관
□ 달러/텡게 환율 동향
ㅇ 2015년 8월 20일 자율변동환율제 도입 이후 유가에 따라 조금씩 변동이 있기는 했으나, 환율이 지속 증가해 2016년 최저 327.66(4.30), 최고 383.91(1.22)텡게를 기록했음.
ㅇ 2016년 12월 31일 기준, 전체 평균 환율은 달러당 341.76텡게로 전년도 평균 환율 222.25텡게 대비 53.77% 상승
1월 평균 | 2월 평균 | 3월 평균 | 4월 평균 | 5월 평균 | 6월 평균 |
361.53 | 359.19 | 344.90 | 337.31 | 332.74 | 336.79 |
7월 평균 | 8월 평균 | 9월 평균 | 10월 평균 | 11월 평균 | 12월 평균 |
341.09 | 344.14 | 338.70 | 332.19 | 339.19 | 333.97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평균환율
| 증감률
| 평균환율
| 증감률
| 평균환율
| 증감률
| 평균환율
| 증감률
|
152.14
| 2.03
| 179.12
| 17.73
| 222.25
| 24.08
| 341.76
| 53.77
|
자료원: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2. 한국과의 교역 동향(12월)
□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수출입 동향
ㅇ 2016년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수출은 3억6413만 달러로 전년대비 19.9% 감소했고, 수입은 2억8530만 달러로 전년대비 6.5% 감소했음.
ㅇ 한-카 교역 이래 최고 수출 규모를 기록했던 2013년 10억7450만 달러 및 최고 수입 규모를 기록했던 2014년 5억6077만 달러 대비 대폭 감소한 수치임.
- 경제불황으로 인한 실제 교역량 감소 뿐만 아니라 달러/텡게 환율 변동으로 인한 달러환산 금액 변동 이유도 있을 것임.
(단위: 천 달러)
수출: 76위 | 수입: 64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4년 | 2016년 | 증감률 |
906,958 (-15.6%) | 454,475 (-49.9%) | 364,129 (-19.9%) | 560,771
(125.1%) | 305,027 (-45.6%) | 285,295 (-6.5%)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주요 품목별 수출입 동향
ㅇ 2016년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주요 수출품목은 기타 화학공업제품, 합성수지, 자동차부품, 볼트 및 너트, 승용차 등임.
- 그 외에 운반하역기계(11위), 화장품(12위), 무선전화기(14위), 화물자동차(15위), 의료용 전자기기(16위) 등도 수출됐음.
ㅇ 2016년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주요 수입품목은 합금철, 우라늄, 원유, 기타비철금속제품, 동물성 한약재 등임.
(단위: 천 달러)
NO | 수출 |
|
| 수입 |
|
|
품목명 | 금액 | 증감률 | 품목명 | 금액 | 증감률 |
1 | 기타 화학공업제품(2900) | 33,911 | 2,138.0% | 합금철(6181) | 136,239 | 31.0% |
2 | 합성수지(2140) | 19,555 | -16.8% | 우라늄(1360) | 68,186 | -39.0% |
3 | 자동차부품(7420) | 16,299 | 2.2% | 원유(1310) | 53,377 | -22.7% |
4 | 볼트 및 너트(7511) | 14,630 | 2,384.3% | 기타 비철금속제품(6290) | 17,498 | 144.4% |
5 | 승용차(7411) | 11,648 | -71.4% | 동물성 한약재(0233) | 5,921 | -8.7% |
6 | 제어용 케이블(8421) | 11,572 | 6,139.0% | 기타 정밀화학원료(2289) | 1,901 | -29.4% |
7 | 철강 및 비합금강형강(6111) | 11,496 | 318.2% | 동괴 및 스크랩(6221) | 540 | -82.2% |
8 | 연초류(0154) | 11,287 | -23.8% | 보조기억장치(8132) | 400 | 1,819,218.2% |
9 | 기타 가구(5290) | 10,594 | -25.4% | 식물성한약재(0156) | 314 | 348.2% |
10 | 철강재 용기(6161) | 10,199 | 137.4% |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6211) | 152 | 67.8%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3. 주요 국가들과의 교역 동향(12월)
□ 카자흐스탄의 수출입 동향
ㅇ 2016년 카자흐스탄은 EAEU 회원국(러시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을 포함해 전 세계 국가에 수출한 규모는 총 367억8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0% 감소했고 수입한 규모는 251억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7.6% 감소했음.
(단위: 천 달러) |
수 출 | 수 입 |
2014년 전체 | 2015년 전체 | 2016년 전체 | 2014년 전체 | 2015년 전체 | 2016년 전체 |
79,459,858 (-6.2%) | 45,955,777 (-42.2%) | 36,775,606 (-20.0%) | 41,295,480 (-15.4%) | 30,567,754 (-26.0%) | 25,174,826 (-17.6%) |
주: EAEU 회원국 포함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 주요 국가별 수출입 동향
ㅇ 카자흐스탄의 주요 수출국과 수입국의 교역 규모는 대부분 전년대비 감소했음.
(단위: 천 달러)
순위 | 수 출 | 수 입 |
국가명 | 2016년 | 비 중 | 증감률 | 국명 | 2016년 | 비 중 | 증감률 |
1 | 이탈리아 | 7,474,770 | 20.3% | -8.1% | 러시아 | 9,129,774 | 36.3% | -13.3% |
2 | 중 국 | 4,214,926 | 11.5% | -23.1% | 중 국 | 3,665,656 | 14.6% | -27.9% |
3 | 러시아 | 3,509,161 | 9.5% | -22.8% | 독 일 | 1,443,521 | 5.7% | -27.3% |
4 | 네덜란드 | 3,255,796 | 8.9% | -34.6% | 미 국 | 1,269,524 | 5.0% | -10.0% |
5 | 스위스 | 2,687,769 | 7.3% | 1.2% | 이탈리아 | 834,333 | 3.3% | -29..% |
6 | 프랑스 | 1,798,128 | 4.9% | -32.9% | 프랑스 | 660,821 | 2.6% | -1.5% |
7 | 스페인 | 992,230 | 2.7% | -18.6% | 터 키 | 618,147 | 2.5% | -16.3% |
8 | 우즈베키스탄 | 922,532 | 2.5% | -2.1% | 우즈베키스탄 | 587,801 | 2.3% | -19.0% |
9 | 우크라이나 | 911,193 | 2.5% | -22.5% | 일 본 | 552,884 | 2.2% | -5.4% |
10 | 영 국 | 888,047 | 2.4% | 7.1% | 한 국 | 453,126 | 1.8% | -25.3% |
기타 | 한 국(29위) | 223,513 | 0.6% | -71.0% |
|
|
|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카자흐스탄 통계청(통계는 한국무역협회 통계와 상이할 수 있음)
□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회원국별 수출입 동향
ㅇ 2016년 EAEU 회원국과의 수출입 규모는 대부분 감소했음.
(단위: 천 달러)
NO | 수 출 | 수 입 |
국가명 | 2016년 | 비중 | 증감률 | 국가명 | 2016년 | 비중 | 증감률 |
1 | 러시아 | 3,509,162 | 9.5% | -22.8% | 러시아 | 9,129,774 | 36.3% | -13.3% |
2 | 키르기스스탄 | 376,249 | 1.0% | -27.4% | 벨라루스 | 332,607 | 1.3% | -31.8% |
3 | 벨라루스 | 31,891 | 0.1% | -40.4% | 키르기스스탄 | 200,581 | 0.8% | 10.2% |
4 | 아르메니아 | 280 | 0.0% | -60.9% | 아르메니아 | 2,993 | 0.0% | -29.7 |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 시사점
ㅇ 2016년 카자흐스탄은 대 한국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수출입 규모가 감소했음
ㅇ 2016년 KOTRA 사업에 참가했던 현지 바이어들에 따르면, 2015년 8월 자율변동환율제 도입으로 현지 텡게화가 평가절하돼 수입물가가 크게 올랐음. 고품질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으나, 품질보다 가격에 민감한 상황임을 언급했음.
- 국민의 상대적 소득감소로 구매력이 악화돼 자국 내 대체가 어렵거나 꼭 필요한 제품 위주로 수입했음.
ㅇ 다만 높은 환율이지만 안정적 수준이 지속되면서 바이어들도 이 환경에 점차 적응해 나가고 있으며 2017년 초부터는 카자흐스탄 경제가 완만한 속도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됨.
- (자동차) 자동차 무이자 할부 프로그램 도입 등으로 자동차 수요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해당 산업이 점차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함.
- (자동차부품) 자동차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부품 수요 또한 늘어날 것으로 예상. 문, 범퍼, 라이트 등을 비롯 자동차용 액세서리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임.
- (가전) 2017년 평균 급여 인상율이 10~40%로 노후화 가전 교체 등으로 인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 특히 다리미, 청소기,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 (무선통신기기) 환율 안정화 추세로 제품 가격 안정 및 수요가 꾸준히 있을 것으로 예상. 2017년 한국 제품의 대카자흐스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나 중국 제품과의 경쟁으로 큰 폭으로 성장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EIU, 한국무역협회,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카자흐스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 및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