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 오(午)자는 해가 남중했을 여름철에 한낮의 그림자를 그린 글자입니다. 해시계의 푯대의 그림자가 푯대와 겹치는 것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오전(午前) 오후(午後) 정오(正午) 오수(午睡)
다섯 오(五)자는 × 로 표시하였습니다. 오십원(五十圓) 오백원(五百圓) 오십견(五十肩)
물 댈 옥(沃)자는 물을 대는 것을 뜻하기에, 물 수(水,氵)자 변에 어릴 요(夭)자를 했습니다. 어릴 요(夭)자는 어린이의 특징인 머리가 큰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물을 대서 어린 곡식을 길러낸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자식 입에 밥들어가는 것과 마른 논에 물들어가는 것은 아주 즐겁고 기분 좋은 일이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옥정(沃丁) 옥동가(沃東加) 옥십주(沃什州) 옥륜(沃倫) 비옥(肥沃) 옥토(沃土) 옥야(沃野)
보배 옥(鈺)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옥 옥(玉)자를 했습니다. 옥 옥(玉)자는 임금 왕(王)자에 점 주(丶)자를 해서, 귀한 돌이라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또 옥구슬을 만들어서 한 줄에 죽 꾀었다는 뜻입니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꾀어야 보배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장옥(章鈺) 김정옥(金正鈺) 서세옥(徐世鈺) 이옥(李鈺, 1760~1812) 홍순옥(洪淳鈺) 청옥(淸鈺)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