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싱글세'로 곤욕을 치렀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 몇년 후에는 싱글세를 매겨야 할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가
거센 역풍을 맞고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물러섰다.
보건복지부로서는 '독신인 박근혜 대통령부터 싱글세를 납부하라"는 조소가 나왔으니까.
그래도 '징벌적 과세'를 입에 올린 사정만큼은 공감이 간다.
인구정체에 대한 걱정이 오죽했으면...
적절한 인구는 동서고금을 통틀어 모든 국가가 고민하는 최우선 과제다.
인구가 적으면 생산도 안보도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삼는 형사취수제나 역대 중국 왕실에서 선대왕의 첩실을
아들이 취하는 궁중비사도 윤리의식 결여가 아니라 생산력과 전투력의 근간인 가임여성을
그냥 놓아둘 수 없는 북방유목민 풍속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서양은 더 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독신자는 부랑자 취급을 받았다.
로마 5현제의 마지막 인물로 철인(哲人) 황제로도 기억되는 아우구스투스는
'생명을 만들지 않는 것은 살인에 버금가는 중죄'라며 기원전 18년 총각세를 물렸다.
네델란드는 1663년 미혼 가임여성에게 50길더씩 벌금을 매겼다.
병사가 필요했던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슬리니도 미혼세를 거뒀다.
옛 소련에서는 무자녀 노동자에게 임금의 6%를 미출산세로 떼어갔다.
근대 이후 서구에서 부과된 징벌적 미혼세나 무자녀세는 두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강력한 독재권력이 추진했으며 결말이 좋지 않았다는 점이다.
반대 사례도 있다.
나폴레옹이 천재전략가라고 칭송한 프리드리히 1세와 그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
치세의 프로이센은 적극적인 출산장려책으로 인구를 두 배로 늘렸다.
짧은 순간에 인구 증가가 가능할까.
문화인류학자 마빈 헤리스에 따르면 그렇다.
'성인 전사의 75%가 사망해도 출산이 극대화하면 한 세대 안에 인구가 회복될 수 있다
(문화의 수수께끼)'.
징벌적 과세와 젊은이들이 마음 놓고 결혼해 아이를 낳는 환경 마련...
둘 증 어느 것에 힘써야 할까. 권홍우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