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krihs.re.kr/galleryPdfView.es?bid=0025&list_no=29809&seq=1
도시권의 형태적-기능적 다핵화 측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충청권을 사례로 이세원 부연구위원 |
■ 도시권에서 ‘다핵화(Polycentric)’는 광역화된 공간구조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이지만, 역사적·지리적 배경의 차이에 따라 모호한 해석으로 유사 용어들을 사용함
- 일반적으로 다핵도시권은 ‘PUR(Polycentric Urban Region)’을 가정하고 사용하지만, PUR에서 핵은 유럽과 같이 과거부터 오랜 시간 지역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중소도시들을 의미함
- ‘PSR(Post- Suburban(Polycentric) Regions)’은 미국 대도시권의 교외화에서 발생한 종주성이 강한 중심도시와 위성도시 또는 주변 지역으로 묶인 다핵도시권을 의미함
- 도시권의 다핵화를 규정하는 4가지 관점(형태적·기능적·상징적·규범적)은 모호한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써 향후 한국 사회에서의 다핵도시권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됨
■ 다핵도시권의 공간구조 측정은 크게 ‘형태적(Morphological)-기능적(Functional)’ 분석방법론을 사용하며, 데이터의 양과 질이 향상됨에 따라 새로운 지표가 등장하나 전통적으로 ‘중심지 이론’과 ‘네트워크 이론’에 기초함
- 다핵 공간구조 측정 방법론을 실증 분석한 이유는 개별 지표가 갖는 의미와 수치를 해석해 실제 국내 도시권 공간구조에서 중심지 분포의 차이를 밝히는 것임
- 형태적 지표인 지니계수, 엔트로피 지수는 도시권에 속한 중심지에서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가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토지면적 대비 인구고용(밀도)가 얼마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측정함
- 기능적 지표인 기능적 다핵화지수는 도시권에 속한 중심지 간 통행이 다방향적 관계에서 수평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측정함
■ 한국 사회에 다핵화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도시권을 구성하는 ‘내부 지자체 간의 균형발전’으로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임
- 우리나라의 도시권 정책은 중앙정부 주도의 광역화된 권역 획정에 초점을 두어왔으나, 수도권과 광역시 중심의 초광역권 정책 외에도 중심도시의 역량과 공간적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다핵도시권 정책 수립이 가능함
- 종주성이 강한 중심도시의 성장이 주변으로 확산될 것을 막연히 기대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도시권 전체의 분산과 집중의 효율성을 지역 정책으로 구현하는 것이 다핵도시권 이론의 핵심임
- 도시권으로서 지자체 간 연계와 협력을 결정할 때 데이터를 근거로 ‘어느 지자체’와 ‘어떤 협력 관계’를 형성할 때 지역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하고 검증하는 과정이 필수임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