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0년 동안 우리는 일제 식민지와 6.25, 그리고 근대화의 격동기를 거쳤다. 격동기에는 아픈 댓가도 많이 치렀다.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과 조상들이 후손들에게 남겨 준 값진 전통 등, 특히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반드시 지켜야할 요소들을 많이 잃었다. 구례 운조루는 이런 점에서 그 동안 우리가 잊고 살았던 이웃에 대한 배려와 나눔의 정신들을 일깨우는데 좋은 본보기라 할 수 있다. 특히, 아름다운 고택 운조루 뿐 만 아니라, 고택에 살고 있는 후손들의 지난한 삶을 통해 우리가 앞으로 어떤 생각과 마음가짐으로 살아가야 하는지를 느끼게 할 수 있는 것 같다.
노블레스 오불리제로 일컫는 가진 자의 배려는 생각만 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행동함으로써 더욱 아름답고, 행동할 때에 배려로 인해 부담스러워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배려라 생각한다. 고택 운조루가 오늘날 다시 각광받는 것은 단순히 아름다운 고택, 집으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운조루 곳곳에 담겨있는 가슴 따뜻하게 하는 훈훈한 정신이 아닌가 생각한다.
아름다움을 실철한 건축가 류이주
구례 운조루는 1776년 정조때 류이주라는 분이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99칸으로 지은 대저택이다. 류이주라는 분은 조선시대 무관으로서 성곽 건축과 궁궐공사를 담당했던 어른이다. 류이주 어른이 쌓은 성곽은 수원화성, 남한산성, 상담산성, 낙원읍성 등 이름 만 들어도 익히 알 수 있는 건축물들이 많다. 류이주 어른의 능력은 수원화성을 쌓은 후 너무 견고하고 아름답게 쌓아올려 완공기념 낙성연을 임금께서 하사한 것만으로도 익히 짐작할 수 있다. 풍수에도 일가견이 있어 전국 팔도를 두루 돌며 명당터를 보기도 했다. 구례 운조루는 조선의 3대 길지 중 하나인 바로 토지면 오미리에 류이주 어른이 낙안군수로 부임하면서 짓게된다.
나눔의 정신 타인능해
운조루에는 몇가지 정신이 있다. 그 중에 타인능해(他人能解)정신을 최고 으뜸으로 들 수 있는데, 운조루 안채와 사랑채에는 곡식이 닷섬 들어가는 커다란 목독(나무로 된 뒤주)가 있고, 곡식을 꺼낼 수 있눈 구멍을 만들어 그 입구에 타인능해라 써 놓은데에서 유래한다. 타인능해 정신은 이웃의 가난한 사람들이 곡식이 떨어졌을 때 언제든지 운조루에서 먹을 만큼 꺼내갈 수 있도록 하였다. 비단 굶는 이웃 뿐만 아니라 지나가는 과객이나, 걸인들도 운조루를 자주 찾았다 전한다. 류이주 어른은 아들 유덕호에게 남에게 베풀어야 복을 받는다고 하며, 며느리에게도 항시 타인능해 목독에 쌀이 남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보살피라 일렀다. 만약 살이 남거나 떨어지면 며느리를 혼냈다 할 정도였다고 전한다.
타인에 대한 배려, 굴뚝
이웃을 생각하는 나눔과 배려의 마음은 단순히 곡식을 나누어 주는데서 그치지 않는다. 운조루의 굴뚝은 굴뚝이라 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낮게 되어 있다. 그것은 가난한 이웃들이 운조루의 굴뚝에서 밥짓는 연기가 높이 솟아 오르면 마음이 상할까 생각해 류이주 어른이 굴뚝을 모두 낮게 하였다.
요새 이웃돕기를 하면 방송에서 누가 얼마를 냈느니 하면서 자기를 알리기 위해 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적선이다. 받는 사람이 부끄러워하지 않도록 타인능해 목독이 있는 곳에는 안사람들이 출입을 할 수 없도록 항상 닫아 놓았다고 한다.
233년이 지난 운조루는 지금도 후손들이 고택에 살고 있다. 해방 전까지 만 해도 운조루에는 200여명의 하인들이 있었다. 6.25전쟁으로 시대가 바뀌어 반상이 없어졌을 때도 이미 하인들을 내보냈지만, 많은 하인들이 운조루가 유지되도록 도왔다 한다. 구례 운조루는 지리산 피아골에서 지근거리에 있다. 그 만큼 이념 대립이 치열했던 곳이다. 그런 와중에서도 운조루는 살아남았다. 역사의 격동기를 눈으로 목격한 노종부 이길순 할머니는 그때의 일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KBS 수요기획 구례 운조루
[8:30] 인간이 베푸는 은혜가 신보다 더 크다
1 신보(神報)가 인보(人報)만 같지 못하니라.
2 인망(人望)을 얻어야 신망(神望)에 오르느니라.
덕은 음덕이 크니라
3 크게 덕을 베풀고도 베풀었다는 생각을 하지 말라.
4 외식(外飾)을 버리고 음덕에 힘쓰라. 덕은 음덕이 크니라.
[11:257] 덕은 음덕이 크니라
1 다른 사람에게 공덕(功德)을 베풀었을지라도 그 대가를 받으려고 생각하면 덕(德)이 되지 못하며
2 번거로운 소리를 내면 그 또한 덕이 사라지나니 덕은 음덕(陰德)이 크니라.
3 너희 아버지가 이 세상에 오시어 인간사업 하고 가셨느니라.
4 이 덕 저 덕 다 버리고 음덕 하나 보내노니
5 너희가 아버지를 따라야 할진댄 음덕을 주장하라.
6 남이 좋고 나머지 차지가 많으니라.
[2:29] 우리 일은 남 잘되게 하는 공부
1 우리 일은 남 잘되게 하는 공부니 남이 잘되고 남은 것만 차지하여도 우리 일은 되느니라.
2 전명숙(全明淑)이 거사할 때에 상놈을 양반 만들어 주려는 마음을 두었으므로 죽어서 잘되어 조선 명부대왕(冥府大王)이 되었느니라.
동방 신교문화의 두 성인, 신농씨와 태공의 은혜
3 신농씨(神農氏)가 농사짓는 법과 의술로 천하 만세를 윤택하게 하였고
4 태공(太公)이 병법과 정치로써 천하 만세에 은혜를 주었나니
5 이제 하늘과 땅이 성공하는 가을철을 당하여 천지의 모든 신명들이 그들을 높이 받드느니라.
증산도도전 중